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30대

선거 때마다 찾아오는 40대 기수분들. 이번 지방선거 때도 다르지 않았다. 40대가 기수가 되어야 한다고. 그리고 영남에서 한 기수가 서울로 올라왔고, '양파'총리라는 오명을, 아니 별명을 얻고선 낙마하기에 이른다. 40대 기수론의 핵심은 세대교체로 압축된다.

 

'늙은 정치'의 낡은 프레임을 깨고자 김대중 전 대통령이 신민당 대통령 후보가 되기 전 주창했던 얘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바로 40대 기수론이다. 그 때는 박정희가 있었고, 그에 대항한 젊은 정치인의 등장이 돌풍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이에 위협을 느낀 박정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발모가지를 분질러 놓고, 빨갱이라는 희발유에 지역감정이라는 산불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그 때 그랬다.

 

40대의 인물론이 아니라 그 당시 들고나왔던 공약은 여전히 현재분사형이다.  인물의 문제가 아니라 그 세대를 대표하는 핵심의제가 무엇인가,는 빠져 있는 40대 기수론이 지금의 모습일 뿐이다. 그런 40대 기수론에 '반기'를 들 세대가 바로 30대다. 그러나 지금 30대는 무엇을 하고 있나. 아니 지금 나는 무엇을 하고 있나. 20대는 학점으로, 취업으로 숨통이 조여만 가면서도 한 쪽에서는 40대가 이미 걷어간 바리케이트를 세우랍시고 짱돌까지 들라 주문받고 있다. 고달프기 짝이 없다.

 

그러나 30대 일부는 이미 바리케이트 축성의무에서 벗어나 짱돌 거수의무에서도 해방된 것처럼 보인다. 우리에게 유일한 문제는 결혼, 육아, 집...이런 것들이다. 취업, 결혼이라는 통과의례를 벗어난 우리들 중 일부는 우리가 포함되어 있는 씨족공동체의 책임이나 부담에서 다소 유예되어 인적 생산과 물적 생산에 매진할 것을 스스로 선택받게 이른다. 그러나 30대라는 존재가 이러한 존재로 전락한 이유는 무엇인가.

 

정치의 모든 핵심적 의제로 등장하는 취업, 육아, 교육, 의료 등은 30대인 우리에게 가장 절실한 것들이 아닌가. 그러나 왜 직장에서, 주말에, 가족에게서 나오지 못하고 있는 것이며, 그런 일상적 문제를 사회적으로 발언하고 행동하지 못하고 있을까. 과연 한국사회에서 30대는 뭔가. 허린가? 허리라도 되는가? 허벅진가? 무릎인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