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WTO 반대 홍콩의 장대업

홍콩 콩이샤무 (장대업)

생협운동

네팔뉴스 4

no chr.!님의 [네팔 뉴스 #4] 에 관련된 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네팔뉴스

no chr.!님의 [네팔 뉴스 #5(총파업)] 에 관련된 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결혼 이야기

손을 내밀어 우리님의 [주례가 둘이더라] 에 관련된 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교육개혁-교수노조-

Our Fight for Workers Rights

 

Our Fight for Workers Rights


 (Rev) Jang Chang Weon                             22nd October 2005



Greetings to you from South Korea.


Thank you very much to Gwynnyth Evans and AAWL for organising this event, and providing the opportunity for us to meet.


Thank you for the invitation to this Open Day.


The situation of workers in the Asia Pacific Region is extremely difficult, even to the extent of workers being killed by the actions of imperialist capital.


Thirteen workers from Korean APWSL visited the Philippines in August this year and met with the President of the Nestle Trade Union who shared with us the details of their struggle for justice. Within a month of returning to Korea we were devastated to hear the news that he had been killed.


Among our purposes for visiting had been to join an international protest against the killing of farmers and students in the Philippines in November 2004.


Already this year in Korea at least 4 workers have suicided in protest to draw attention to the desperate struggle of their comrades.


These include workers dismissed for their trade union activism and casual workers who are fighting for their right to organise.


And this is occurring in countries with an active trade union movement, which is able to tell the story to the world. In some other parts of Asia and the Pacific workers are dying but their story is not even heard.


In the midst of this situation, however, there are many signs of hope.

Jailed trade unionists from Samsung in Korea are on hunger strike demanding the recognition of their trade union; Korean truck drivers are now on strike over the huge debts they are carrying because they are not paid adequately; 3000 Korean farmers have committed to go to Hong Kong for the protests against the WTO in December this year.


Another one of those signs of hope is this APWSL meeting as we make plans for our activities for solidarity and struggle across the region, so that we can work together to overcome violence against workers, struggle for secure and fulfilling lives for workers and create a new world.



In 2004 in Mumbai we held an APWSL representatives special meeting and made a new commitment to gather our strength at the grassroots and work together in solidarity to overcome capital and make a new world for workers. In June this year at our APWSL general meeting in Malaysia we formally made a new start.


APWSL reasserted our commitment to exist as a network to link trade union and labour activists in Asia Pacific to:


1) Promote democratic, independent, genuine and pro-worker trade unionism


1) Promote international worker solidarity especially at the grass roots level


1) Promote gender equality in is own work and the wider trade union movement


1) Promote workers’ and other human rights


This weekend we are putting our minds to the task of making our organising stronger.


I believe what we need to do is bring together our strengths. We need to share with each other the stories of international solidarity activities each country is engaged in, and identify the best methods to share with the labour movements in our countries.


These should be promoted as models for others to follow, in order to build our solidarity across Asia and the Pacific.


For example, Korean Textile Union Federation representatives have visited Indonesia and after visiting many areas decided to develop a partnership with the Suraba regional union.


They have formalised this partnership and made written commitments to each other to build solidarity. This kind of partnership can be replicated by other unions and labour movement groups.


We have established a Migrant Workers Union in Korea. The Nepalese leadership within the Migrant Workers Union are not only organising and working on issues for migrant workers in Korea but are also protesting and working closely in solidarity with the Nepalese APWSL in the struggle for democracy in Nepal.


On May Day last year APWSL representatives from Korean and Nepal met and made a commitment to build solidarity around these issues.


We must also discuss specific issues and how they impact on each of our countries. The migrant workers issue mentioned here is one of them.


In addition to the use of migrant workers, capitalists are also increasing the use of casual workers to break down union strength and reduce wages. Unlike Australia, casual workers in Korea are paid only one third or one quarter of the wages of permanent workers. Until 1998 Korean workers expected to have a job for life.


Since the intervention of the IMF during the 1998 economic crisis in Korea and Asia, job security has dramatically reduced. Permanent workers have been sacked and offered casual employment, and new employees are only offered casual employment in many workplaces. In the space of 7 years from 1998 to now casual workers have risen to 60% of the Korean workforce. But they still only represent 10% of unionised workers and are generally from large corporations.


They continue to struggle for their right to unionise. For the Korean community the issue of casualisation of the workforce, and the associated drop in living standards and security, is the single biggest social issue.


Building international solidarity around the struggles for casual worker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future work of APWSL. Communication, education and solidarity struggles can increase the community’s recognition of this issue and bring about changes.


One of the questions APWSL faces is how do we build our international solidarity with limited resources. The internet is a significant tool to help build our closeness and our communication. In addition I believe we can increasingly use opportunities created by international protests like anti-APEC and anti-WTO to get together.


Many APWSL members are attending these events anyway, and we can organise to gather for APWSL business while we are together, to meet and strengthen our activities.


I would like to make my final comments about issues of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Recently a Korean worker applied for Workers Compensation for the stress he was experiencing as a result of the constant monitoring of his work by video cameras around his workplace. His application was refused.


With the increase in technology we live in an age of potential constant monitoring 24 hours a day. This technology can be our enemy, invading our privacy and breaching our human rights. But we can also use this revolution in media and technology as a tool for our labour revolution.


For 2 years APWSL has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a website and last year Korea and Japan agreed to work on making this a reality. Today I would like to introduce you to laborasia.net as a tool to communicate about our labour struggles, labor cultural activities and solidarity.


If you look up at the screen you can see a demonstration of what is on the site.


- Members from different countries in Asia can use this website in their respective languages


- http://laborasia.net can be used for both online and offline for communication about the meetings, news, solidarity activities and so on


- we can share the information about each country's news, data, photos, videoa and so on, in your own language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the languages of other countries in Asia - such as English, Korean,Indonasian, Hindi, Nepali, Sinhali, Tamil, and so on.


- All those who have signed in to this webmaster will be members of this site


- Each country will have one or two people as part of the webmaster and these people will hold an offline conference or meeting once or twice a year.


- We support the building up of laboutnet sites of all countries in Asia and their consolidation with the Asialabornet.


Asia Pacific Workers Solidarity Link invites the webmaster from each country in Asia to translate the news and information into their own language for the benefit of the local labor movements.



We are all engaged in the Fight for Workers Rights. In Korea we say

“Dan-Kyol! Too Jeng! Seung Nee!”

– United!! We Struggle!! For Victory!!!!


Thank you for this opportunity to speak with you.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노동목사의 야생 캉가루 만남 기행문

 

  아시아태평양노동자연대(APWSL)임원회의 참가한

                          노동목사의 야생 캉가루 만남 기행문  

                                                       


                                장 창 원 (오산다솜교회 목사, 오산노동문화센터 소장,

                                            한국노동넷트웍크협의회 대표, APWSL 공동대표) 



* 여행 기간 : 2005년 10월 17일 - 10월 31일(15일간)

* 방문 장소 : 싱가폴 , 시드니, 멜버른

* 방문 목적 : - APWSL 임원회의 

              - APWSL / AAWL 현장방문 프로잭드,

              - APWSL뉴 코디네이터 실무훈련 

              - APWSL 싱가폴/ 태국의 이주노동자교환방문 프로그램 참관



   ( 국제노동자연대 활동의 경과와 기행문을 쓰는 취지 )


한국에서 노동자 민중들과 함께하는 산업선교(URM)선교는 반세기 세계교회협의회(WCC)가 아시아교회협의회(CCA)를 통하여 이루어 놓은 현장의 특별한 선교역사이다. 도시산업선교(UIM)를 통하여 시작한 노동선교의 역사 속에는 군사독재가 두려워한 국제연대활동을 1970년대 활발하게 활동하였고, 특히 호주노동선교사들은 차분하게 연대활동을 하며 한국노동 상황과 민주화운동을 아시아와 세계사회에 알려서 연대투쟁을 선도하였다.


1980년대 이전부터 노동운동의 역사와 활동 속에는 APWSL조직에 한국교회가 함께 참여한 국제노동운동가들의 진보적인 활동조직이다. 오늘 자본을 넘어선 또 다른 세상을 추구하는 세계사회포럼과 민중들의 요구와 다른 WTO를 반대하는 민중운동을 세계교회협의회(WCC)가 함께 하고 있는 전통의 원류에는 한국산업선교전통이 있다.


이런 선교활동의 연장선상에서 지난 말레이시아 APWSL(Asis Pacific Workers Solidarity Links) 정기총회 (2005년 5월 30일 -6월 1일)는 2005년부터 3년간 새 임원은 공동대표 장창원목사(한국, 남자대표) Gwynnyth Evans(호주, 여성대표)와 코디네이터 Parat(태국, 치앙마이 이주노동자센터)을 선출한 여러 가지 과제를 논의하고 향후 사업을 결정한 후 폐회를 하였다. 그중 호주 APWSL(aawl.org.au)는 지난 말레이시아 총회에서 결정하고 위임한 APWSL 공동대표 선임을 Gwynnyth Evans(VTHC representative, RHSP )결정 수락한 후 첫 총무단(임원)회의를 호주 멜버른의 AAWL 공식행사에 맞추어서 소집을 요청하였다. 임원들이 공개적으로 응답하고 준비과정을 거쳐 열리게 되었다.


필자가 APWSL 활동을 시작한 것은 1994년 영등포산업선교회에서 활동하면서 부터 이지만 비정규직 노동운동을 조직하고 지원하는 활동과 노동자의 연대와 소통을 통한 노동네트웍 건설과 노동자정보인권과 미디어 문화활동의 그리고 현재 오산노동문화센터에서 남인도교회 선교사와 함께 이주노동자들의 조직과 교육, 상담을 함께 하며 살아가는 국제노동자연대의 활동을 하고 있고 APWSL 한국위원회를 대표하여 APWSL 공동대표로 선출된 근거이다.


호주 AAWL이 주최하고 APWSL이 공동주관하는 이 임원회의와 방문행사에는 새로 선출된 3명의 임원과 함께 지난 5월 말레이시아 APWSL 총회를 유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 TIE-Asia(Transnationals Information Exchange-Asia; http://www.tieasia.org/) 총무 Irene(APWSL말레이시아 대표)를 언권회원으로 함께 초청하였다. 장창원목사가 회의소집 내용을 7월 전체회원들에게 공개한 후 동아시아 코디네이터 Yamasaki(일본 APWSL공동대표 ; http://www.jca.apc.org/apwsljp/ )가 지역대표들이 참가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가지고 함께 참여하기로 하였다.


호주의 AAWL은 수차례의 공문을 통하여 방문자들의 활동영역을 관심 있게 분석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짧은 기간 호주방문을 통하여 여러 사람을 만나 노동자조직과 삶을 돌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그리고 정성을 다하여 AAWL회원들이 안내하여 연석회의와 현장방문이 동시에 이루어졌다. 


오랜 동지관계를 가지고 있던 호주출신 노동선교사들을 10여년 간 만나면서 지금까지 연대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들을 통해 말로 듣고 사진으로만 보았던 1856년 8시간 노동제 쟁취 탑이 서있는 그들의 고향마을 멜버른, 노동자도시를 2005년 10월 17일 - 31일까지(15일간) 아시아태평양노동자연대의 임원회의를 주관자로 방문을 하고 돌아왔다.


이 방문을 통하여 아시아 태평양은 물론하고 세계 노동자들의 삶과 생명살림을 위한 연대와 단결, 투쟁이 강화되고 의미 있는 현장연대의 소통이 강화되기를 바란다. 반갑게 맞이하고 소중하게 시간과 정성으로 삶의 자리와 노동의 자리를 안내하며 맞이해준 AAWL모든 동지 분들께 감사하며 캉가루 만남 기행문을 쓴다.



   ( 호주로 가는 아시아의 길목 싱가폴에서 태국 교환방문단의 교류, 연대 활동참관 )



10월 17일(월)

인천공항을 4시30분 출발하여 밤늦게 싱가폴에 도착하였다. APWSL 태국대표단(파랏 외 2명)이 머물고 있는 숙소 워터루 호텔로 가서 교환방문단과 합류하였다.


10월 18일(화)

APWSL태국 3명의 싱가폴 교환방문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일정에 합류하였다. 싱가폴 노동자의집(대표 Sinapan Samydorai)의 안내로 싱가폴 국가주도노동총연맹 간부를 만나서 현황설명을 듣고 노동역사자료실 등을 둘러보았다. 싱가폴의 노동 상황과 문화를 알 수 있었다.


  태국이주노동자센터와 생활지역을 방문하여 이주노동자들과의 상황을 이해하고 그들이 운영하는 노동자학교를 둘러보고 활동가들과 만남이 있었다. 싱가폴에서 이주한 맛사지 건강센터을 방문하여 그들이 만든 태국음식으로 저녁 식사대접을 받고 이국생활의 어려운 상황을 이해하였다.


10월 19일(수)

APWSL 새로선출된 코디네이터 Parat(태국)과 함께 그 동안 싱크센터 운영한 Samydorai는 앞으로 노동센터를 중심으로 이주노동자센터 활동과 APWSL 활동계획을 듣고 지난 ALE의 총회에서 총무역할을 사임하였다고 한다.


제국자본의 세계화 논리 속에 노동운동이 어려운 아시아의 상황과 아직도 식민독제 국가의 반민주 상황속의 나름대로 노동운동을 하고 있는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영국식민지 영토의 상징적인 항구, 역사적인 유적지 현장과 유럽풍의 발전하는 도심의 중심지역, 역사가 배어있는 강변을 돌아보며 긴 식민지 역사와 현대화된 아시아의 도시문화를 둘러보고 앞으로의 활동에 대한 대화 하였다. 



   ( 공항세가 가장 비싼 호주의 시드니 방문)


10월 20일(목)

19일 밤늦게 싱가폴 창기공항을 출발하여 20일 새벽 5시30분 호주 시드니에 도착하였다. 공항출구를 나서니 환영표지판을 들고 마중 나온 신준식박사가 반갑게 맞이하여 준다. 간단한 인사와 방문일정계획을 들으며 한인문화원 황재성총무의 자동차로 공항근처에 살고 있는 노동선교사 데이비카슨의 집으로 갔다. 그곳에 짐을 풀고 인사를 나눈 후 오늘 하루의 일정을 정한 후 시드니 중심가로 나아갔다.


아침 출근시간 시드니 거리를 배회하며 시드니 한인들의 역사와 삶에 대한 일반적인 역사의 설명을 듣는다. 약간은 서늘하지만 춥지는 않은 날씨이다. 호주는 우리와 정반대의 계절 늦봄이며 꽃이 만발 하는 봄날이다. 시내를 걸으며 문화와 현실의 문제 등 이야기를 하고 한인들이 운영하는 찻집, 식당을 둘러보았다. 유럽의 유적 같으면서도 자연미가 있는 도시이다.


쉬지 않고 설명하는 신 박사는 대단한 열정과 사랑이 마음에 와서 닫는다. 18년전 호주로 유학을 와서 공부하며 활동하는 운동가이며 노동박사다. 묻고 답하고 불길 같은 대화로 입을 맞춘다. 그 동안의 호주한국인들의 삶과 운동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전달받았다. 최근 교통사고로 죽은 한국유학생의 문제대응부터 시드니 중심부의 역사, 지난 신선생의 삶까지 짧은 시간 큰이야기를 들으며 호주와 시드니 한인과 사회를 체감한다.


오후에는 시드니 거주 한인 타일, 청소, 가사 노동자들이 조직되고 관계하는 호주건설노동조합 본부를 방문하였다. 노동자의 종합복지센터의 역할을 겸하는 노동조합의 첨단종합기능을 갖춘 조합본부를 돌아보았다. 그리고 한인노동자들의 투쟁과 삶이 진하게 묻어나는 소식을 접하며 조직책임을 맞고 있는 이 현수 활동가를 만났다. 최근 조직과 투쟁의 결과로 한인조직을 확대하는 기쁜 소식을 한다. 


저녁은 그동안 보고 싶었던 노동선교사들의 부부와 아이들, 한국건설연맹노조에서 활동하던 활동가와 함께 베트남식당에서 만찬을 하였다. 늦게까지 살아가는 이야기와 주변 사람들의 근황을 물으며 귀한 대접을 받았다. 생각하지 않았던 캉가루 고기를 먹고 어린이때 꿈속 호주의 상징을 먹는 일은 충격도 함께 먹었다. 그리고 노동문화활동을 전념하던 한인들의 신앙적인 갈등을 듣기도 하였다.


시드니 둘째 날(21일)

노동선교사 아이들 둘과 함께 아침식사를 한 후 그들과 대화를 한다. 나를 안내하려 아이들도 유치원에 가지 않고 함께 동행을 하기로 하였다. 호주연합교회가 운영하는 신학교를 방문하였다. 오랜 해외연구를 거듭하는 에큐메니칼학 전임교수 장종식 박사를 만났다. 호주연합 교회가 추진하는 다문화선교를 설명하여 느낄 수 있었다. 몇 명의 유학생들과 인사도 한다. 장박사가 안내한 식당에서 점심식사를 하며 대화를 나누었다.


오후 호주 원주민들이 사는 동네를 차량으로 돌아 본 후 원주민운동가의 사무실을 겸한 아파트 집을 방문하였다. 여러 분야 중 범법자로 재판과정과 감옥에서 죽어가는 원주민들이 많아서 인권지킴 활동을 하는 노인분이다. 대략의 설명을 듣고 홍보테이프도 받았다. 방문을 마치고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근처에서 아이들과 즐겁게 산책을 한다. 건너편 시드니의 명물인 시드니대교 철교 밑 바닷가에서 풍광을 즐긴다. 아이들의 언어가 나의 언어와 호주문화를 적응시키는 과정으로 좋았다.


오후 5시 한인문화원에서 신 박사를 만나고 아이들은 집으로 먼저 돌아갔다. 시드니한인타일노동자들의 10월 정례모임에 참석하였다. 문화원은 초기 이민노동자들이 밀집되어 살아가는 지역의 마을회관 같은 경노, 여성, 한인들이 사용되는 센터이다. 10여명의 임원들과 인사하고 논의 현안내용을 지켜보았다. 10월 말 한인노동자의 총 단결과 결집을 보여주는 집회를 준비, 조직하고. 한인년말송년회일정도 준비한다. 투쟁의 현안들과 삶의 내용을 관심 있게 보았다. 모임이 끝난 후 대표자들이 근처의 클럽으로 나를 초청하여 호주의 지역사회클럽문화를 소개한다. 오락과 만남의 자리를 종합한 재향군인회가 운영하는 마을의 한 복지기관이다. 보수적 호주의 전통이 벽과 장식장을 참전용사의 기념유물과 명패를 통하여 과거와 현제의 상황을 볼 수 있다. 클럽주도자들이 지역사회의 상당한 영향력이 있다고 한다.


자정 무렵 한인회총무, 겸 한누리신문 발행인 황재성총무와 신 박사의 안내로 숙소에 귀가하였다. 내일 발표할 주제 발제물은 혼자 할 수 없는 영문 작업이다. 콩글리시로 발제한다고 준비하는데 마음을 알았는지 노동선교사가 서재로 온다. 새벽 1시30분부터 그녀의 도움으로 원고를 영문으로 정리하여 5시까지 마쳤다. 짐을 정리하여 6시 30분발 멜버른 행 비행기를 탄다. 그녀의 집이 공항근처라 쉽게 공항까지 가서 짧은 만남의 아쉬운 작별인사를 한다. 비행기에서 1시간30분 단잠, 아침 8시 멜버른공항에 도착하였다.



   ( 노동의 도시 멜버른 도착과 아시아호주노동자연대 OPEN DAY )


AAWL 코디네이터 만리고가 공항까지 마중을 나와서 인사를 나눈다. 멜버른에서 가장 먼 공항이며 고속도로로 50분정도 떨어진 새로운 공항이라고 알려준다. 인터넷을 통하여 가장 저렴한 비행티켓을 이용하였다. 만리고는 자동차로 속에서 이동하며 근황과, 멜버른 노동자들의 준비상황, 임원회의 준비 등 앞으로의 멜버른 일정을 설명한다. 넓은 평야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를 달려 멜번 공단지역을 지나 도심으로 연결하는 상징적 큰 다리(서부대교)를 건너 호주의 노동자 중심도시를 방문하였다. 120여년 이상 노동자들이 사용한 고전미 가있는 빅토리아노동조합건물은 사회단체의 총본부 건물이다. 이미 도착한  파랏, Irene, 호주 친구들과 만나서 인사를 한다. 시드니의 신 박사도 곧 도착하였다. 특별하게 한국인 통역으로 멜번 한인교회가 추천한 교우가 함께 자리를 한다. 이렇게 첫날 AAWL Open Day의 만남과 행사는 시작되었다.


먼저 회원들과 인사와 만남의 시간, 해외에서 온 4명의 손님이 정중하게 소개된다. 이미 소개의 글과 행사내용이 포스터로 제작되어 노동운동사회에 알려져 있었다. 1998년 한국을 방문하여 내가 안내를 감당하였던 호주전력노조의 제프게스트 동지가 인사를 하며 반긴다.

간단한 다과와 차를 들며 아침을 대신한다. 중 강당으로 이동하여 OPEN DAY 개회식은 참가자 소개로 약 40여명의 대표자들이 참가를 하였다. 호주노동자를 대표한 개회인사와 AAWL대표의 환영인사와 APWSL호주대표의 환영사가 있었다. 이어서 “우리는 왜 노동인권을 위해 투쟁하는가?” 라는 제목으로 나는 주제발제를 20여분간 하였다. (별첨자료)


어제 밤을 세워 번역한 원문을 가지고 연설을 한다. 여성 통역자가 중간에 통역도 한다. 점식 식사를 하기 전 함께 마음을 담은 노래를 불렀다. 한국의 노동자 투쟁노래 부르기를 원한다. 민중, 노동자들의 연대 투쟁 민중가요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를 모두 알았다. 나는 선창으로 부르고, 함께 따라 불러 본다. 파랏은 다시 태국말로 번역된 “사랑도 명예도”를 태국 리듬과 곡으로 노래를 부른다.


점심 식사 후에는 주제별 토론시간을 가졌다. 회의 준비하는 측에 제안을 하였다. 회의장에 인터넷 시설과 빔 프로잭트를 설치하여 기록을 영상화 하고 준비된 자료를 프리젠테이션 할 수 있도록 요구하였다. 건강과 산업안전을 위한 노동운동의 조직 활동. 환경운동과 노동운동의 활동. 비정규직과 계약직노동자와 노동운동의 조직화활동의 주제별토론을 하였다.

참가자들은 호주, 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일본, 태국으로 각 국의 노동현황과 핵심이슈를 이야기하며 투쟁 상황을 공유하였다.

부분별 토론으로 원주민운동의 투쟁, 이주난민투쟁, 태평양지역의 노동자의투쟁을 토론하였다. 몇 차례의 휴식시간을 거치며 노동자와 활동가들을 위한 의사소통 웍 샆이 진행되었고 AAWL의 CAW, TIE-ASIA, ALE 와 APWSL의 연대관계의 새로운 모색의 웍샆 가운데 톤론 되기도 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이 모여 한일공동으로 제작한 싸이트(http://www.laborasia.net) 을 통하여 연을 한다. “세계화 반대하고 투쟁해야하는가?”를 보았다. 그 후 교육노동운동가 마크는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의 바닥 민중들의 세계화의 대응투쟁과 상황이해를 돌아보는 특별교육을 프리젠테이션 이용하여 하였다. 종합토론과 논의내용을 정리한 후 모두 마쳤다.


함께 인사를 나누며 만찬 장소인 북 시드니의 해상노조(MARITIME UNION AUSTRAIIA) 대강당으로 이동하여 환영만찬이 이루어졌다. 해상노조의 부위원장 데이비쿠션은 1998년 국제미디어행사에 한국을 방문했던 일원으로 반갑게 재회 할 수 있었다. 회원들과 해양노조 간부들 약 100여명이 참가한가운데 만찬이 이루어졌다.


각국대표들의 소개와 간단한 인사말과 환영사를 나눈 후 바비큐파티가 이루어진다. 함께 건배를 한 후 식사를 한다. 오랜 만에 만난 지프와 데이비는 각별하다. 행사가 끝날 무렵 우리는 함께 춤을 추어 음악을 담당한 문화활동가들을 즐겁게도 하였다. 제프는 내가 멜번 방문기간 중 가장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물어서 나는 캉가루를 볼 수 있는 야생지역을 방문과  허기의 집을 방문하고 싶다고 하였다.



  ( 조용한 전원마을 안드루의 집 숙소와 임원회의, 노동현장방문의 시작 )


첫날부터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넘어선 국제연대의 모범을 만들기 위한 AAWL 동지들의 노력들이 소중하게 느껴지고 정성이 넘쳐 보인다. 숙소는 안드루 라빙의 집으로 그는 호주공산당 빅토리아지역 사무총장(건축공학엔지니어)으로 겸손하고 성실한 사람이다. 전원마을의 그의 집은 멜버른에서 동북쪽으로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40분 거리의 지역으로 새소리가 들리는 조용한 마을이다. 한국, 태국, 일본, 말레이시아에서 온 4명의 손님이 머물기에 불편함이 없었다.

우리는 아침 일찍 간단한 식사를 한 후 출발하여 밤늦게 돌아와 쉬는 곳이지만, 자연속의 언덕위의 편안한 숙소였다. 집주인 안두루는 매일 아침 멜번 도심으로 운전을 하며 우리를 안내하고 전통찻집에서 차를 대접한 후 다음 일정 안내자에게 우리를 안내 후 출근을 한다. 늦은 저녁식사 후 다시 시내에서 만나 집으로 안내한다. 차분하게 쉴 수 있도록 배려를 하였다. 그의 부인이 고향집 이탈리아로 여행 중 이어서 우리가 돌아오기 전날 하루만 부인을 만날 수 있었다. 자식들은 모두 커서 독립하였다고 한다. 여러 가지로 좋은 쉼과 만남의 게스트하우스가 되었다.



   ( 박물관 같은 고전풍의 노동조합 건물에서 열린 임원회의)


10월 23일 오전 9시 30분  임원회의 장소는 Trades Hall 54 Victoria Street Carlton South  멜버른 노동조합의 총본부 건물로 학생총연맹 등 운동적 활동가들이 사용하는 박물관 같은 큰 건물이다.  2층 회의실에서 공동대표인 Gwynnyth Evans와 나(장목사) 그리고 태국의 파랏이 총회에서 위임된 사항을 검토하고 큰 틀의 상황을 점검하였다. 요약된 몇 가지 의제를 중심논의로 만들었으며 임원회의의 논의 확장과 폭 넓은 의견수렴을 위하여 AAWL 회원들과 일본위원회 대표이며, 동아시아 코디네이터 야마사기, 말레이시아 대표이며, 타이아시아코디네이터 아이 린을 언권회원으로 하여 임원회의를 폭넓게 진행하기로 하였다. 회의 안내, 서기, 연락, 준비는 Jiselle Hanna와 Manrico Moro 가 담당하며 확대회의를 하였다. 오전 11시부터 진행된 확대회의로 오후 5시 까지 종일 진행하였으며 미진한 안건을 위하여 24일, 25일 오후 5시 전체 현장방문 일정이 끝난 후 계속 진행하여 회의는 3일간 계속된 것이다. 



   ( 지난 6월 말레이지아 총회에서 논의되어 위임된 현안들은 )


1. 바닥 현장노동자들의 협력으로 민주적인 노동조합건설과 현장연대 교류를 넓혀나감.

1. 재정의 자주적인 확보방안과 연대자금의 여유(OECD)국 각 나라의 회비납부, 일정 부    분 파트너 쉽 지역을 정하여 교류와 지원의 확대 이행.

1. 세계정세와 각국의 상황을 총화하고 이해하며 투쟁의 방향성 확립한다.

1. 심각한 탄압을 받고 있는 네팔, 필리핀, 버마 등의 상황공유와 향후대책, 일정공유 그리    고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중국 등 각국의 노동자들의 어려움의 대처.

1. 필리핀 하시다 루시다지역 국제 ISM 대회 참가, 교류협력방문단보고

1. 이주노동자, 비정규직 문제의 현황과 대처 방안 수립하고 연대와 지위확보의 문제.

1. 교류와 연대 호주, 말레이시아, 일본, 한국위원회의 실천사례를 모으기

1. 세계 초국적 자본과 미국의 폭력전쟁 반대의 선언과 실천

1. 11월 한국부산의 아펙반대대회, 한국노동넷(http://nodong.net/) 인터넷 생중계와 미디어    활동단 준비, 국제 참가의 미디어 활동단 웍샆과 간담회 준비

1. 12월 홍콩의 WTO반대 투쟁조직과 참가계획을 세워서 미국중심의 제국자본주의 반대    와 제 3세계 연대전선 형성하고 해방세상 만드는 일 등. 

1. 임원들의 구체적인 활동방안 모색하여 강구한다.



( 지난 말레이시아 총회내용의 확인 )

자주적인 단결과 연대로 국제 노동운동의 사회화를 이루기 위하여 민중들의 바닥 요구와 정세가 무엇인지를 알아서 함께 해야 하는 일들을 확인하였다. 앞으로의 대안, 실천과 대응책을 논의하는 시간을 4가지 안건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 번째 안건은 지난 뭄바이 사회포럼 임시모임과 APWSL 말레이시아 총회의 정치적인 결의를 확인하고 따라서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한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활동을 노동현장의 민주적인 조직화과 풀뿌리 현장노동자의 국제연대참여 활성화를 새로운 시대적인 결의로 확인한다.

APWSL 역사와 정신을 돌아보며 중심 주체의 정리안건으로 그 동안의 6년간의 APWSL 역사와 총회과정과 회계, 프로잭트, 교환방문을 돌아보며 미진한 회의록과 결의내용, 예, 결산의 불투명에 대한 입장을 깨끗하게 정리하기로 논의하였다.


전 임원들에게 미진한 부분에 대한 정리를 요구하고 이전의 사업과 진행을 정리하도록 하며 새로운 임원들은 APWSL의 고유한 정신과 특성을 실천하고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사업방안과 깨끗한 재정, 사무관리를 할 수 있도록 코디네이터가 활동하는 방콕에 사무국을 마련하여 새롭게 출발한다는 내용을 결의하였다.


둘째는 소통과 연대를 위한 프로잭트 점검과 주요 국가들의 이슈점검의 안건으로 회원국 직통의 메일링과 언어소통을 위한 다국어 사용 홈페이지(http://laborasia.net.) 작업을 돌아보고 메일링은 일본이 만든 정회원메일링과 한국의 국가 메일링이 구분이 되도록 하기로 하였다. 홈페이지는 한국에서 주로 관리를 하기로 하며 아시아네트웍크를 만드는 발전적인 사업방향을 계속 모색하기로 하였다. 전체 소식지를 일본과 호주가 편집과 자료검증을 통한 협력으로 각국의 국가별소식을 취합하고 총무가 만드는 일을 적극 돕기로 하였다. 이를 통한 각국의 노동 상황과 정치, 회원들의 활동을 공유하고 사건과 문제의 대처를 함께 하기로 하였다.


셋째는 국제연대 활동의 더욱 중요하게 대두되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시대적인 대응전략으로 더욱 긴밀한 연대와 소통을 통한 조직화의 도구로서 인터넷“아시아레이버넷”망을 구축 하고 이주노동자의 조직화와 비정규직등 노동현안에 대한 연대적인 대응을 통한 활성화를 쾌하기로 한다.


각국의 상황과 아펙반대부산대회, WTO반대 홍콩대응과 다음회의일정을 논의하기로 하였다. 네팔과 필리핀의 노동자탄압 등 각국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연대하고 최대한 소통과 공유를 하며 다음 모임은 2006년 5월 메이데이쯤 방콕에서 지역코디네이터 모임으로 하면서 앞으로의 중, 장기적인 사업계획과 예산을 세운 6개월의 활동을 토대로 평가와 계획을 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결의를 모았습니다.


넷째 안건은 어떻게 하면 태국의 파랏 코디네이터가 힘차게 활동 할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가장 많은 시간을 논의하였으며 다음날까지 회의시간을 연장하며 진행하였다. 우선 파랏의 현제 활동상황에 대한 보고를 듣고, 사무국의 전체의 사업을 계획하고 진행하기로 하였다. 코디네이터의 활동을 위해서 일정액의 사례를 6개월간 파랏에 지급하기로 하였다. 파랏은 특별히 랑싯지역 노동변호사가 제공한 사무실을 APWSL국제본부로 사용하며 사무력을 보강하기로 하여 필요하면 한국위원회에서 지원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코디네이터의 사무력과 실무력 훈련을 호주 AAWL방문기간에 진행하고 미진한 실무운영 부분은 말레이시아 아이린이 교육과 훈련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 일주일간의 멜버른 노동현장방문 )


호주의 멜번에서 노동조합과 단체, 노동현장, 가정방문을 진행하였다. 짧은 기간이지만 깊이 있게 멜번 노동현장과 동지들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려 동분서주 하였다. 풀뿌리 노동자의 연대와 소통의 새로운 힘을 노동현장 바닥에서 충전하고 다시 살아나도록 생생하게 체득하기 위함이었다.  


24일, 현장방문 첫날

 아침 9시 현장방문 첫날 야마사키씨는 동일직종 사업장 호주 청소 써비스노동조합 현장을 방문하고 나는 아이린, 파랏과 섬유, 옷, 신발 노동자들의 노동조합(TCFAU)으로 미셜과 제니의 안내로 방문하였다.


(방문 사례) TCFUA (Textile Clothing and Footwear Union of Australia)

1. 총 회원 수: 호주 10,000명 , 빅토리아주 5,000명

2. 위원회: 4년마다 선거로 선출 (섬유 산업체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자여야 함)

3. 정부의 보조를 받기는 하지만, 그에 구속되지 않는 민주적/자주적 조합 임.

4. 역할:

l 회원들이 정당한 임금과 대우를 받도록 함: 휴가, 병가, 시간외 근무 수당, 연금, 출산 휴가 등등

l 회원들의 근무 환경이 안전하고 건강에 위험을 주지 않는 지 조사 함.

l 회원들에게 산업재해가 발생할 경우 적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 줌.

l 부당하게 해고를 당할 경우 회원을 대표해서 고용인과 투쟁 함.

l 이주 노동자 회원들의 고용주와 그들이 회사 내에서 무료로 영어 수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협상 함.

5. 현재 치중하는 Issue는 재택근무(Home worker)하는 사람들이 산업체 노동자들이 보장 받는 권리를 동등하게 보장 받도록 하는 것 임.  15년 전에는 재택근무 하는 사람들을 산업체에서 일하도록 격려하는 것으로 그들의 권리를 보장 받도록 하려고 했으나 재택근무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사회적 상황에 맞지 않는 실패한 방법이었다. 그 부작용으로 오히려 재택근무자들이 조합에 가입하는 것을 회피하기도 했다. 재택근무자들이 가지고 있는 가장 어려운 점은 그들의 고용주가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기 때문에 노동자의 권리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어떤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TCFUA는 재택근무자들의 권익을 위해 그들의 노동 환경에 대한 자세한 조사를 하고자 하며, 그들을 찾아가 union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고 신뢰를 회복 시켜 회원이 되게 함으로써 스스로의 권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 주고자 한다.  또한 노동자 권익 보호를 내용으로 한 무료 영어 수업을 제공하여 하여 언어교육뿐만 아니라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그들이 고용주에게 영어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현재 대부분의 재택근무자들이 베트남 사람들인데 매주 라디오 프로그램을통해 그들에게 노동자 권리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6. 질 문: 오늘 모인 회원들은 어떤 개인적인 이유로 TCFUA의 회원이 됐는가?

헬레나의 경우: 고등학교 선생님이었는데 공장 지대안에 있는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노동자들의 권리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들을 돕기 위해서 노동법에 대한 정보나 지식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가입하게 되었다. 사실, 본인의 부모님도 호주에 이주하여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였고 특히 어머니는 섬유 공업 쪽에서 일하던 노동자였다.


제니의 경우: 21년 동안 공장에서 일을 했는데 고용주의 착취가 심해서 그에게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 union에 가입했다.


APWSL 대표자들의 보고는 IMF이후로 많은 여성 노동자들이 직장을 잃었다. 따라서 직장을 잃은 여성회원 노동자들이 급속도로 늘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열악한 노동 환경일수록 그에 종사하는 여성노동자들이 많은데 반해 union 조직 안에서 여성노동자의 리더십이 무척 약한 편이라 그들의 권리 보장을 위한 정확한 목소리가 반영이 안 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여전히 yellow union이 주도 세력이라는 것도 문제다.



   CEPU (Communications Electrical & Plumbing Union) 방문


1. 정부에 구속되지 않는 자주적/민주적 노동조합이다.

2. 통신, 전기와 같은 분야는 정부가 독점적으로 관리하는 정부 산업 분야였는데     20년 전부터 점점 더 사기업화 되었다. 따라서 좀 더 많은 이득을 남기기 위해     하청을 해외(인도와 같이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에 줌으로써 저임금 노동력을 이용하기 시작했고 많은 비 정규직을 창출해냈다. 최근 호주 통신 회사TELSTRA는 50,000명을 구조 조정하기도 했다.

3. 앞으로의 계획:

l CEPU가 더 단결하고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내실을 다진다.

l 노동자들의 적정한 임금 보장과 노동 환경을 개선을 위해 노력한다.

l 많은 회사의 조합들이 'yellow union'화 되고 있는것을 막고, CEPU와의 연대를 강화해 노동자 편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CEPU (Communications Electrical & Plumbing Union) 방문


1. 정부에 구속되지 않는 자주적/민주적 노동 조합이다.

2. 통신, 전기와 같은 분야는 정부가 독점적으로 관리하는 정부 산업 분야였는데     20년 전부터 점점 더 사기업화 되었다. 따라서 좀 더 많은 이득을 남기기 위해   하청을 해외(인도와 같이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에 줌으로써 저임금 노동력을 이용하기 시작했고 많은 비 정규직을 창출해냈다. 최근 호주 통신 회사TELSTRA는 50,000명을 구조 조정하기도 했다.

3. 앞으로의 계획:

l CEPU가 더 단결하고 영향력을발휘할 수 있도록 내실을 다진다.

l 노동자들의 적정한 임금 보장과 노동 환경을 개선을 위해 노력한다.

l 많은 회사의 조합들이 'yellow union'화 되고 있는것을 막고, CEPU와의 연대를 강화해 노동자 편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호주노동조합총연맹  ACTU(Australian Council of Trade Union) 방문


1. 국내: 현 호주 정부가 새로 재정한 노동법에 반대하는 대규모의 캠패인을 11월 15일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할 계획이다.

    새로 재정된 노동법의 문제점:

l 더 낮아진 최저 임금

l 고용주의 부당한 노동자 해고 방지 규정 폐지

l 고용주에게 고용된 사람들과 일대일 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근무 시간 외 수당을 줄이고, 고용주가 보장해야 하는 고용 조건을 단지 5가지 조항으로 줄였다.

l 현재의 Award Safety Net을 겨우 5개의 조항으로 대체하였다.

l 노동 조합을 일터에서 몰아내려고 하고, 고용주와의 단체 협상 능력을 저하시키려한다.


2.  해외:

l 50가지의 다양한 노동자들을 위한 교육 시스템을 15개국에 지원하고 있다.

l 미성년 노동자를 포함해서 국제적인 노동자들의 노동 환경의 수준 향상을 위해서 캠페인을 벌인다. (12월 홍콩에서 있을 캠패인에 6명 파견 예정)

l 노동 조합의 권리를 보호한다.

l 노동 조합 회원의 국제적 단결과 연대의식을 강화하는데 앞장선다.

  

오후 5시 현장방문을 마친 후에는 본부에서 임원회의를 계속하였다.


25일, 현장방문 둘째 날


 아침에는 일찍 서둘러 집을 나서 빅토리아 마켙 근처의 고전적 카페를 들러 차 한잔을 하며 일정을 시작한다. 파랏은 재무, 회계에 관한 훈련으로(CFMEU) 회계 메니져를 방문하고 다른 일행은 항만 노동조합(MUA)을 방문하였다. 방문길에 늘 접하는 빅토리아 시장의 역사와 유래를 들었다. 지젤과 미셜 와킨의 안내로 Maribyrnang의 강제수용소를 방문하여 비자기간이 넘어선 이락, 이란 유학생들을 면회하였다. 우리나라의 이주노동자들을 수용하는 시설과 같았다.  늦은 점심으로 이테리 식당을 방문했는데 소스가 강한 밥과 스파케티를 먹어서 배탈이 생겼다. 오후 현장방문은 올림픽스타디움과 진입로 다리공사의 건설현장을 방문하였다. 젊은 감독관의 현장안내와 신준식선생의 건설노동자의  현황설명으로 건설현장의 안전과 근무조건, 생활상태를 잘 알 수 있었다. 마치고 돌아와서 저녁 식사 전까지 계속 임원회의를 진행하였다.


26일, 현장방문 셋째 날


일찍 집을 나서 여유 있게 사무실 근처에 도착하여 시내 중앙공원지역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옆 큰 전시회의장에서 제 2회 산업안전세미나와 콘퍼런스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종일 계속되었다. 약 3.000명이 참가하는 큰 규모의 행사이며 모든 산업안전과 연대단체들이 부스를 만들고 홍보물을 배포하며 선전하였고 개회식과 주제발제, 산업안전, 건강, 산업별 현장에서의 안전교육, 사례 등의 발제가 계속되었다. AAWL 역시 부스를 설치하고 하루 종일 상주하며 홍보, 선전을 한다. 내일 출국하는 일본의 야마사카와 신준식선생과 한국과 일본의 대표 모임을 갖고 이번 회의의 내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APWSL 한일간의 협력을 모색하였다.


야마사키가 귀국하기 전에 초청 대표자들과 방문자들이 모여 4가지 질문을 바탕으로 방문종합평가의 시간도 갖었다. 이번 방문을 통하여 배운 것과 느낀 점은 무엇인가? APWSL을 위하여 AAWL이 어떻게 함께 하기를 바라는가? 만남과 음식 등의 진행절차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 최고의 프로그램은 무엇이었으며 나쁜 프로그램은 무엇이었는가?


언어소통과 통역. 회의진행시 프로잭트 사용 등 진행의 내용공유을 이야기 했다.. AAWL의 강력한 APWSL 지원을 바라며, 파랏은 훈련프로그램이 매우 좋았고 많은 프로그램들을 배워 만족했으며 이린은 종합적으로 이번방문과 회의는 성공적인 프로그램이 되었다. 우리는 APWSL 국제노동운동이 노동조합운동과 구체적인 현장활동속에 활동을 우리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 전체 진행, 준비팀은 일정 진행을 위해 총동원되어 힘들게 짜여졌다. APWSL방문자들과 AAWL성원들은 이번방문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다. 

  

저녁식사는 MUA 홀에서 AAWL연대하는 노동조합 정치 활동가, 단체의 연대 담당자들과 만나 인사와 소개의 시간을 갖고 근처 이탈리 식당에서 만찬을 하였다. 한 조직의 대표자가 생일을 맞기도 하여 생일 축하 파티를 겸하였다. 후에는 가장 가까운 동지인 허기(집 게스트)의 집으로 초대되어 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을 하는 그의 부인과 인사를 나누고 대화를 한 후 그 집에서 하루를 묵었다.


27일, 현장방문 넷째 날


 아침 식사를 허기의 집에서 한 후 그의 가장 친한 친구인 건설현장노동가의 집으로 가서 만남의 시간을 갖고 대화를 한다. 그의 집에는 새와 개를 가족처럼 삼으며 살고 있으며 부인과는 이혼하여 혼자 살고 있었다. 그는 동티모르 노동자연대활동으로 국제 활동의 경험이 있었고 건설현장의 경험과 자료를 선물로 받았다. 야마사키상은 아침 일찍 출국하였다.


오전 철도, 버스노동조합 현장간부모임을 방문한 후 금속연맹을 방문하였다. 금속노동자들의 조합원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모임의 장소를 참가하여 연대의 인사를 전하였다. 공단지역과 해변을 둘러보는 시간을 갖고, 멜번의 명물 남부대교의 현장노동자추모비를 찾았다.  남부대교 건설시 1973년 강판붕괴사고로 숨진 36명의 노동자의 추모하는 상징물로 추모의 돌36개를 세우고 기념공원을 만들었다. 호주의 기념비 문화는 공적인 죽음을 맞은 이들의 업적을 곳곳에 세워 간직하는 문화를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점심때 원주민을위한 캠페인이 선전활동이 시내중심가에서 열렸다. 새악처럼 활동가들도 많이 나오지 않고 시민들의 반응도 생각보다 냉냉하여 만리코 등이 큰 걱정을 한다. 늦은 점심식사는 한국식당을 방문하여 돌솟 비빔밥, 김치지게 등 한식으로 하였다. 스파케티 소스로 배탈이 났는데 치료약을 먹는 기분이다. 저녁 시간에는 베트남식당에서 난민운동가들과의 저녁식사 시간을 갖었다. 그들의 입장과 상호아을 듣고 여러 난민들을 대표하여 입장을 인터뷰하기도하였다. 작은 공간에서 여러 사람들이 서로 이야기를 하여 대화를 알아  듣기가 힘들었다. 


28일 , 현장방문 다섯째 날


아침부터 빅토리아총연맹 본부에서는 연맹대표자들이 현 호주 정부가 새로 재정한 노동법에 반대하는 캠패인( 11월 15일)을 대규모로 준비하는 대표자 회의를 하고 있었다. 만리코의 안내로 회의장을 방문하여 지지와 연대의 인사를 하였다.


곧 금속연맹본부를 방문하였고 간단한 인사말을 나누고 연대사를 하였다. 통 티모르와 해외지사노동자들이 함께 자리를 하였다. 이어 전력노조방문(ETU)을 방문하여 현황과 관심을 알아보며 대표자들과 연대협력의 방안도 이야기 나누었다. 큰 노동조합 연맹들이 빅토리아지역 본부를 중심으로 근처에 본부사무실을 두고 있어서 방문하는데 어렵지는 않았다.

우리는 교육운동가 마크씨와 빅토리아시장을 둘러보며 그의 활동과 철학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들었다. 11월 15일 대규모 집회를 홍보하는 실천단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빅토리아시장 근처를 집중선전의 장소로 택하고 주말을 가족과 함께 홍보물을 나누는 활동을 하는 아름다운 풍경을 보기도하며 남미 짚시 풍의 악사들의 거리연주도 보면서 여유있는 시간을 갖었다. 우리를 대표하여 이린은 라디오(RCA) 인터뷰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오후에는 공정한 상품 입기(Fair Wear Campaign) 캠패인 담당자 미셜 오닐등과 운동에 대한 대담의 시간을 갖었고 가사노동자들의 권익을 위한 입법투쟁을 비롯한 여러 활동에 시드니의 이주여성센터를 운영하는 데이비카슨(차민희)이 함께 하여온 활동임을 알 수 있었다.

끝난 후 총본부 건물의 옥상에 올라가서 노동자 깃발을 올리는 의식을 하며 노동자연맹 건물 관리자와 그의 집을 둘러보며 대화를 나누었다. 저녁 만찬을 필리핀 이주노동자들의 조직인 카사마코와 함께 하였다. 공단지역의 노동자가정으로 오랜 필리핀공동체의 구심체 역할을 하는 대표자의 집에서 필리핀 음식을 함께 하며 흥겹고 뜻 깊은 만남의 시간을 갖었다.


10월 29일, 현장방문 여섯째 날


 마지막 날 밤을 제프 게스트(허기)가 나의 요청을 받아들여 컹거루가 살고 있는 야생지역에서 하룻밤을 보내기로 하여 안두르의 집에서는 작별 인사를 정중하게 한 후 짐을 챙겨서 집을 나왔다. 빅토리아마켙 근처를 돌아본 후, 본부사무실 근처에서 퀘네스, 캐티를 만났다. 그들의 차량으로 2 -3시간 비가온는 고속도로를 달려 나가 콜 밧트(Calbarat)지역으로 일행은 출발하였다. 이 지역은 호주를 부의 상징으로 일으켰다는 금광도시이다. 금을 채취하려는 노동력으로 중국인들이 들어오고 새로운 노동문화를 만들었다고 한다. 8시간 노동제도가 만들어진 상황이 금을 케는 사람들의 건강을 위한 조치였으리라는 감이 온다.


넓게 펼쳐진 광야에 한가로운 농장의 풍경 땅은 넓고 노동력이 부족하다는 일반적인 호주의 상황이 눈에 들어온다. 한적한 시골마을을 들어서서 금이 나올 것 같은 작은 산이 어우러진 농장집에 들어서는 무지개 깃발이 걸려있고 오래된 저택과 여러 조각품들 널찍한 주차장엔 작은 보트가 실려 있는 것이 여유 있는 삶을 사는 사람들의 오래된 집이다. 안드리아는 동티모르 건강안전 프로잭트 책임자로 후원하는 빅토리아사무노동조합총연맹의 대표적 여성지도자이다.

집안과 밖을 호기심 있게 둘러본 후 점심준비가 되어 있어서 식탁에 앉았다. 나를 제외한 3명의 호주 노동운동의 여성지도력 해외여성 운동가 2명, 여성의 지도력과 활동이 왕성함을 볼 수 있는 자리이다. 식사가 끝날 무렵 허기와 그의 친구 죤이 나를 안내하려 그 집에 도착하였다. 함께 대화를 나눈 후 나는 짐을 옮겨 실고 기대되는 캉커루가 야성하는 지역으로 출발하였다.


영성으로 노동운동하는 친구와의 만남과 대화가 계속된다. 1998년 한국을 방문하였던 전기통신노동조합의 ETU 인터내셔날 허기와의 만남은 아름다웠다. 그의 자동차로 3-40분 시원한 시골길을 달려 산길로 접어든다. 호주에서는 높은 산을 거의 볼 수 없고 광활한 산림이다. 산에는 들 꽃이 널부러져 있는데 색깔릉 다양하다. 한적한 농장에 들어서니 개가 짖고 맞이한다. 새의 울음이 요란하다. 차에서 내리니 호주 개 2마리와 공작새 한 쌍이 우리 일행을 맞이한다. 주인과 인사가 끝나니 날깨를 활짝펴는 공작이 우리를 맞이하는 환영의 공연을 아름답게 한다. 주인은 20년째 이집을 가꾸며 묵상과 기도를 하고 가까운 시내에 기 치료소를 운영한다고 한다. 묵상과 경건을 통하여 여러 환자를 돌보며 살아가고 있다. 이곳의 한가함은 자연과의 대화가 일우루어지고 평화의 기도가 늘 행해지는 성스러운 산림이다. 비밀스런 묵상의 장소를 마련하고 여러 사람들이 쉴 수 있는 방과 기도처를 마련중이다. 농장에서 고요한 정적과 침묵 가운데 믿음직한 ETU 친구들과 호주방문을 정리한다. 옆농장의 친구가 손님이 왔다고 인사를 하러왔다. 그들은 어려운 사람 2-3명을 가족으로 돌보며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30일, 방문 마지막 날


다음날 아침 일찍 나 농장주인과 캥가루를 보기위하여 집을 나서서 아침이슬로 발을 적시며 30분 산책 끝에 야생의 캉가루를 볼 수 있었다. 옆집 농장을 방문하여 아기들과 인사를 하고 돌아와 아침식사를 한다. 농장주인은 미술가 딸의 작품을 상표로하여 특별하게 만든 농장의 특산물 포도주를 선물하고 나는 여성노동자의 날 기념품으로 한글이 쓰여진 손수건 하나를 기념품으로 전달하고 농장 친구들과 아쉬운 작별 인사를 하였다. 바쁘게 그 집을 나설 때, 길을 가로막는 공작새의 멋진 열정의 춤 공연을 감상하느라 출발이 한동안 지체되었고 공작새의 이별 공연은 헤어짐의 아쉬움을 달래고 인간적인 서운함을 없애며 감사를 하였다.  

죤의 운전과 제프의 안내로 고속도로를 달려 100년 전통의 멜버른 한인교회에 도착하였다. 주일 예배와 모든 일정을 마친 후 목회자들과 반갑게 인사를 하였다. 지프는 밤에 공항에서 만나자는 이야기를 한 후 집으로 갔고, 유학을 와서 있는 변창배 목사와 멜버른 도심을 가르는 강가를 산책하며 도시의 유래와 호주역사발전과정을 듣는다. 원주민과 호주인들의 차이를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봉이 김선달의 이야기는 호주에도 있었다.


짧지만 시간이지만 동료목사가 유학하며 느낀 멜버른과 호주사회의 간결하고 요약된 설명은 노동사회를 방문한 기간에 알 수 없었던 여러 가지 교훈을 들을 수 있었다. 강가의 보트 클럽에는 영국의 왕실 자손들이 유학을 와서 새로운 차별적 귀족문화를 형성하고 바로 옆의 공원의 한 모퉁이 장소가 늘어가는 노숙자 급식소로 줄을 서서 급식을 기다리는 노숙자과 대조적인 현실을 이야기한다. 저녁 내내 요약된 호주유학생활이야기를 들으며 시내 중심 관광객이 찾는 번화가를 돌아보았다. 변 목사를 만나지 않았으면 멜번의 중심 강가 와 다리 밑 시장 등은 보지 못했을 것이다. 공항으로 출발하기 전에 만리코는 교회로 찾아와서 마지막 배웅을 안내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동지의 따뜻한 배려와 정성을 보인다. 정리 안 된 짐들 넘치는 자료꾸러미를 동료목사에게 풀어놓고 쉽게 공항으로 출발한다. 일반적인 사람이 느끼는 사회의 모습과 운동가들이 살아가는 모습의 차이를 생각하며 공항에 도착한다. 목회자 동료 두 분, 호주노동 운동동지 두 분이 배웅을 나왔다. 출국수속을 마치고 함께 차를 들며 마지막 감사의 인사를 나눈다.


31일 0시 30분 멜버른을 출발하는 비행기로 싱가폴을 경유하여 하여 귀국길에 올랐다.

최소한의 경비를 사용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보려니 싱가폴 경유 비행일정, 싱가폴 창기공항에서 두세 시간 밀린 인터넷 업무를 한 후 인천으로 출발한다. 호주 체류기간의 비용은 모두 초청한 AAWL이 지불하였고, 각 국의 왕복 비행기표(여행자건강 보험 포함)는 코디네이터 Parat(태국)는 호주AAWL에서, 장창원목사(한국)는 한국 APWSL에서, 말레이시아는 Irene(APWSL말레이시아)는 TIE-ASIA에서, 일본은Yamasaki(일본)은 일본APWSL대표가 비불하기로 하였다. 나의 비행기티켓은 80만원인데 공항세가 26만원으로 106만원, 한국식당에서 한번 점심식사를 대접한 비용과 비디오 6mm 카메라 필림 값을 포함하여 최소한의 용돈을 사용하였다. 약 150만원을 전체경비로 예상을 했는데 130만원을 사용하였다.


호주방문중 이동한 비행기 값을 포함하여 모든 체류경비를 AAWL이 부담하였다. 어느 곳이나 운동가들은 가난한데 손님 접대하느라 고생한 AAWL 성원들에게 축복을 빈다. 

인천공항에 도착하니 4시30분이다. 오산노동자센터에 도착하니 불빛이 밝게 빛나고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인터뷰

no chr.!님의 [12.30 MTU Interview in K. Times] 에 관련된 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