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눈물이 울컥할 때...

'하나의 유령이 유럽을 배회하고 있다.'

맑스의 공산당 선언이 아니었다. 버스안에서 뒤척이던 신문의 어떤 칼럼의 첫줄이었다.

'바로 영`미 시장자본주의라는 유령이다.'라는 말이 곧바로 이어진다.

 

인간의 역사를 다시 쓰게 하고, 프로메테우스라는 찬사가 가장 어울리는 맑스, 

인류에 끼친 그 기여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대접받지도 못해서 더 안타까운...

그의 공산당 선언을 처음 읽었을 때 두근거렸던 기억, 

바람과도 같은 유령.... 공산주의 그 감격스러움에 대한 그리움과 함께

영미 시장자본주의가 이제 맑스의 자리를 넘본 것만 같은 서글픔이

몰려와 그 좁은 버스안에서 갑자기 눈물이 울컥 튀어나오려 했다.

 

며칠이고 그 신문을 가방에 넣고 다녔다.

다른 신문을 잘 안봐서 신문들이 대부분 신자유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논조를 유지하고 있는 지 잘 모른다.

내가 보는 신문은 경향신문인데, 입장이 어쨌건 간에 신자유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글들이 많다.

그 칼럼을 쓴 사람은 필경 케인즈를 지지하는 사람일지 모르나

(느낌상 그럴 것 같다. 그러니 공산당 선언 첫줄을 인용한 것도 실은 장난이었겠지?...)

어쨌거나 시장자본주의에 대해 비판의 칼날을 세웠다. 영미식 시장자본주의에

영향을 끼친 세가지를 지적했는데, 화폐론자, 하이예크, 아인 랜드의 소설 '근원'을

뽑았다.

 

며칠지나 그 칼럼을 다시 읽어보니, 괜한 감상이었구나한다.

내 상태가 이러니, 감정도 이렇게 어지럽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