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프레시안]딕 체니, 대북 주도권 장악?

"美 대북정책 다시 체니가 주도"
힐 방북 무산도 체니 때문…'영변원자로 폐기 이전엔 불가'
등록일자 : 2006년 01 월 16 일 (월) 10 : 13   
 

  미 부시행정부는 최근 내부의 (강-온파 간) 정책 혼선으로 북핵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고 미국의 시사주간지 〈유에스뉴스 앤 월드리포트〉가 15일 보도했다.
  
  이 잡지는 최신호(23일자)에서 이같이 보도하고 특히 조지 부시 대통령 집권 1기 때와 마찬가지로 딕 체니 부통령이 대북 정책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조율사로 다시 등장했다고 강조했다.
  
  이 잡지는 일례로 "미국측 6자회담 협상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가 지난해 9.19 공동성명의 모멘텀을 살리기 위해 평양을 방문하길 희망했으나 체니 부통령이 북한이 영변의 원자로를 폐기할 때까진 방북하지 말라고 종용했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 국무부의 고위관리는 " 차관보는 적어도 자신이 북한을 방문하는 동안에는 북한이 플루토늄을 생산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했으며, 체니 부통령으로부터 그런 압력이 있는지에 대해 모르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 잡지는 이어 "힐 차관보는 여전히 6자회담 재개를 위해 애를 쓰고 있으나 미 행정부의 분위기는 대북 압박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서 "이 같은 강경기류는 북한의 무기급 핵장비 거래 가능성 차단이라는 안보적 측면과 미 위폐 제조, 돈세탁, 마약 거래 등과 관련한 금융제재라는 두 갈래로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오콘(신보수주의자) 등 미 강경파들은 부시 1기 행정부 당시 북한과의 양자협상을 거부한 것은 물론, 대북 보상을 거부하고 북한의 체제 붕괴를 유도하는 듯한 정책을 취해 왔다.
  
  그러나 미 국무부 정책입안가들은 과거 북한과의 협상 로드맵을 마련, 북한에 대한 국제금융과 에너지 지원, 제재 해제 등의 조치를 통해 북한을 외교적으로 전면 인정하는 방안과, 양국 수도에 외교연락사무소를 설치하는 방안도 한때 검토했었다고 잡지는 덧붙였다.

연합/.
ⓒ 2001-2005 PRESSian. All right reserved.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