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은 스코틀랜드 식의 이름일 수 있다. 기차에 탄 두 사람이 있다. 한 사람이 말한다. 저 화물 선반에 놓인 꾸러미가 뭔가요? 다른 사람이 답한다. 아, 그건 맥거핀입니다. 물었던 사람이 또 다시 묻는다. '맥거핀이 뭐죠?' 다른 사람이 답한다. '그게, 스코틀랜드 고지대에서 사자를 잡는 도구입니다.' 물었던 사람이 다시 묻는다. 그런데, 스코틀랜드 고지대엔 사자가 살지 않는데요?' 다른사람이 답한다. '그렇다면, 맥거핀은 아무것도 아니군요.' "
알프레드 히치콕이 1939년 강의에서 맥거핀(MacGuffin)에 대해 설명한 내용이다. 어거스트 맥파일이란 영국 극작가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영화 연출 기법인 맥거핀은 극을 전개하는 데 촉발제가 되는 장치이지만, 극의 내용과는 아무 상관 없는 것을 말한다. 그것은 소품일 수도 있고, 이야기일 수도 있고, 대사일 수도 있고, 어떤 사건일 수도 있다. 맥거핀은 언뜻 극에서 매우 중요한 것처럼 보이면서, 관객의 시선을 잡아 끌게 된다. 관객은 일순간 플롯의 촉매제로서 맥거핀에 집중한다. 그러나 극이 전개되는 동안 맥거핀(소품이든, 행위든, 대사든, 사건이든)의 실체는 감쪽같이 사라진다. 엔딩 크레딧이 올라갈때까지 결말에 일말의 영향도 미치지 못한채 산화한다. 영화 <미션임파서블3>에서는 '토끼발'이라는 아주 위험한 생화학 무기가 등장하지만, 극의 전개는 이 '토끼발'의 정체와는 전혀 상관없이 흘러간다. 토끼발이 뭔지, 왜 이런 이름이 붙었는지 여부는 중요치 않다. 그게 사자발이든, 노루발이든, '쓰레빠'든 전혀 상관 없다. 실제로 토끼발은 영화가 끝날때까지도 정체가 드러나지 않는다.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떡하나"
이건 이 거대한 정치극의 맥거핀이다. 이 말 자체는 어떤 의미도 담지 않고 있으며,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XX' 부분은 아예 명확하지도 않고, '바이든'이란 부분은 '날리면'이라고 한다. '이XX' 발언이 과연 존재했느냐? '바이든'이 아니고 '날리면'이 맞느냐? 가장 중요하게 여길만한 팩트는 이것인 것처럼 보이지만, 이건 그 자체로써 아무런 의미가 없는 말이다. 여권의 설명대로 누군가 지나가듯 한 '혼잣말'이고, 그 단어가 발화자의 입에서 나왔는지도 불분명하며, 실제로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나 미국 국익과도 전혀 상관 없는 말이다. (미 국무부는 윤 대통령 발언 보도 이후 '한국과 우리의 관계는 끈끈하다'고 발표했다.) 아니, 이 발언이 아예 존재하지 않았다고 해도, 아예 뉴욕 순방이란 게 실재했는지 아닌지 여부도 모두 다 어찌됐든 상관 없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