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은 “일각에서는 최근 쏟아지는 AI에 대한 경고와 우려가 잘못된 과녁을 향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며 “정치경제학 관련 뉴스레터 ‘엑스멀티튜드’는 지난달 29일 ‘인공지능과 러다이트(기계 파괴 운동)의 미래’라는 제하의 글에서 ‘어리석은 사람만이 AI가 작성한 텍스트를 그대로 세상에 내보낼 것’이라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국내에선 대기업들이 챗GPT 사용 과정에서의 ‘기밀 유출’ 대책을 세우고 있다. 세계일보 <‘챗GPT 기밀 유출’ 우려가 현실로‥기업들 ‘사용 적정선’ 고심> 기사는 최근 삼성전자가 DS(반도체) 부문에서 불거진 챗GPT 오남용 사건을 계기로 임직원 대상 설문조사를 거쳐 내부 지침을 만들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DS 사내 게시판 공지에 따르면 챗FPT에 설비정보 2건, 회의내용 1건이 공유됐다고 한다. 포스코는 챗GPT를 내부 인트라넷을 통해서만 활용하도록 하고, SK하이닉스는 사내망에서 챗GPT 활용을 금지하되 필요한 경우 사용 전 보안성 검토를 받는 허가제를 도입했다. LG디스플레이는 사내 정보 보호 및 유출방지 교육을 수시 진행한다. 해외의 경우 아마존,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도이체방크, 소프트뱅크 등이 대화형 AI 사용을 제한하고 있고, 일부 일본 기업은 대화형AI 활용 지침 및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이 신문은 보도했다.
조선일보 <“챗GPT에 묻다가 밀 샌다” 기업마다 정보보안 골머리>, 국민일보 <챗GPT에 기밀 말할라 입단속 분주한 기업들> 등도 관련 기사를 게재했다.
김인순 더밀크코리아 대표는 한겨레 칼럼 <인공지능과 공존하는 방법>에서 “실리콘밸리의 에이아이 개발자들은 이 시대를 돌파하는 방법으로 ‘샌드위치 워크플로’를 이야기한다. 샌드위치를 빵-패티-빵 단계로 본다면 인간의 명령어→패티 부분인 인공지능→인간의 최종적 작업으로 업무가 진행된다는 것이다. 에이아이가 한 부분을 완성한다면, 최종 마무리는 인간이 해야 한다”며 “에이아이 잠시 멈춤 공개서한에 참여하지 않은 에밀리 벤더 워싱턴대 교수는 ‘에이아이 위험과 폐해는 결코 ‘너무 강력한 에이아이’에 관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고 했다. “문제는 권력의 집중, 억압 시스템의 재생산, 정보 생태계의 훼손, 에너지 자원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한 자연 생태계 훼손”이라는 주장이다.
종편 모기업,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법안’ 비판 잇따라
최근 임기를 끝낸 안형환 전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국민의힘 추천)이 동아일보에 <방송법 개정안, 공영방송 공익성 훼손>이라는 칼럼을 썼다. 종합편성채널 모기업인 신문에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법안’ 내지 ‘공영방송 정치적 독립 법안’으로 불리는 방송법 개정안을 비판하는 주장이 연일 실리고 있다.
안형환 전 부위원장은 이 칼럼에서 “최근 야당 단독으로 본회의에 직회부된 방송법 개정안에 따른 공영방송 지배구조 변화가 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현재 공영방송은 이사회를 구성할 때 양대 정당이 비공식적으로 이사를 지명한다는 점에서 분명 문제가 있다. 하지만 개정안대로 하면 공영방송이 특정 방송 관련자들의 놀이터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며 “공영방송의 지배구조를 논할 때 ‘방송 장악’이란 낡은 프레임에서 벗어나 방송·미디어 시장 전체를 봐야 한다”고 했다.
김정기 한양대 명예교수는 <[김정기의 소통카페] 편향성 우려되는 방송법 개정안>에서 “민주당이 지난 21일 KBS·MBC 등 공영방송의 이사 수를 21명으로 늘리고 새로운 사장 선임 방식을 포함한 방송법 개정안을 본 회의에 부의하는 안건을 단독 의결하고 4월 처리를 예고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사 추천권이 민주당에 유리하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국민이 아니라 민주당의 품으로 공영방송을 가져가려는 것”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편향성에 대한 우려”라고 주장했다.
노지민 기자 jmnoh@mediatoday.co.kr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