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기자는 2면 <왜 진작에 이런 기자회견 하지 않았나>에서 “6번째 질문은 한겨레신문 기자가 했다. (중략) 이날 아침 자 1면 톱기사로 ‘해병대원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에서 대통령실 관여 정황이 짙어졌다’는 내용을 다룬 언론사”라고 설명한 뒤 “아마 현 정권이 한겨레신문에 대해 갖는 느낌은 문재인 정권이 조선일보에 대해 느낀 그것과 비슷할지 모른다. 하지만 문 대통령 재임 중 기자회견에서 조선일보는 질문 기회를 얻어 ‘불편한’ 질문을 했다”고 했다.
이어 “기자회견은 대통령이 국민과 야당을 설득하고 자신에 대한 비판을 누그러뜨리는 기회의 장일 수 있다. 이날 윤 대통령 기자회견을 다룬 기사에는 ‘왜 회견을 진작에 하지 않았느냐’는 취지의 댓글이 많이 달렸다”면서 “출입 기자들도 윤 대통령이 입장할 때 기립해서 국가원수에 대한 예를 갖췄고, 공격적인 질문을 하면서도 정중함을 잃지 않았다”고 긍정 평가했다.
[관련 기사 : 尹 기자회견, 질문기회 보수언론 집중… “기립 종용” 반발도]
관련기사
-
尹 기자회견, 질문기회 보수언론 집중… “기립 종용” 반발도
-
‘윤 대통령 김건희 명품백 언제 알았나’ 질문 끝내 안나온 기자회견
-
조선일보 기자, 尹대통령에 “총선 뒤 얼마나 달라졌나 와닿지 않아”
-
한겨레 기자 “피의자 이종섭 왜 임명했나” 윤 대통령 대답은
이번 기자회견은 특정 매체에 질문 기회가 편중됐다는 비판을 받았다. 김수경 대변인이 지목한 질문자 20명을 매체 특성별로 보면 경제지 4명(매일경제·한국경제·서울경제·머니투데이), 종합 일간지 4명(조선일보·한국일보·한겨레·중앙일보), 외신 4명(로이터·AFP·니혼게이자이신문·BBC), 통신사 2명(뉴시스·연합뉴스), 지상파 방송사 2명(SBS·KBS), 종편(TV조선)·보도전문채널(연합뉴스TV)·지역신문(영남일보)·인터넷신문(아이뉴스24) 각 1명 순으로 소위 진보 언론은 한겨레가 유일했다.
김 기자가 긍정 평가했던 기자들의 ‘기립’ 또한 기자들 사이에서 이견이 나온다. 익명을 요청한 출입기자는 사전에 기자단 차원의 기립 요청도 받았다면서 “각자 자신의 생각에 따라 일어나든 앉아 있든 할 사항이지 기자들 ‘기립’을 사실상 종용한 것은 매우 부적절하고 옳지 못한 행동”이라고 반발했다. 언론의 독립성과 자유 침해, 탄압 논란 속에 적절치 않다는 비판이다. 해당 기자단 측에선 대통령실과의 협의는 없었다고 했다.
박재령 기자구독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