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 외교장관과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지난 3월18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회담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으로 북-러 밀착이 유라시아 동쪽과 서쪽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의 외교·국방 장관이 미국 워싱턴에서 만나 대응책을 논의한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김용현 국방부 장관, 미국의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은 오는 31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에서 ‘제6차 한미 외교·국방(2+2) 장관회의’를 개최한다고 외교부가 28일 밝혔다. 한미 2+2 장관회의는 지난 2021년 한국에서 5차 회의가 열린 지 3년 만이다.
양국 장관들은 회의에서 한반도 문제, 한미동맹 협력 이슈 등을 놓고 글로벌 포괄 전략동맹으로서 심도 있고 포괄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회의 결과를 반영한 공동성명을 채택할 예정이다. 특히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위해 북한이 군대를 보낸 상황 등 최근 한반도 안보 정세를 평가하고 대북 정책 공조를 논의할 전망이다.
조 장관은 블링컨 장관과 별도의 한미 외교장관회담도 개최해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 북한 문제 관련 한미 간 공조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미국 정부 및 학계 인사들과도 만나 한미동맹 발전에 대한 변함없는 지지와 협조를 당부할 계획이다.
조 장관과 김 장관은 이어 캐나다 오타와를 방문해 멜라니 졸리 외교장관, 빌 블레어 국방장관과 함께 내달 1일 제1차 한-캐나다 2+2 장관회의도 개최한다. 한국이 2+2 장관회의를 하는 건 미국, 호주에 이어 캐나다가 세번째다.
이 밖에도 외교안보 분야 핵심 당국자들이 미국과 벨기에 브뤼셀의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본부를 잇따라 방문해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 대응을 논의할 일정들이 잇따라 예정되어 있다.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대표단은 28일(현지시각) 나토 본부에서 열리는 나토 이사회에 참석해 북한군의 파병과 관련한 동향을 브리핑할 예정이다. 대표단은 이어 유럽연합(EU) 정치안보위원회에서도 브리핑을 한다. 30일 워싱턴에서는 한미 군 당국간 최고위협의체인 한·미 안보협의회의(SCM)가 열리고 곧바로 31일에는 외교·국방장관회의가 개최된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