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와 중앙일보는 야권의 승리를 강조했다. 특히 중앙일보는 2면 톱기사 제목을 <시장·군수·구청장 5곳, 여야 4:1서 1:4로 ‘역전’>이라고 뽑고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첫 선거로 주목받은 4·2 재·보궐선거에서 야권이 약진했다”고 보도했다. 한겨레도 “민주당이 기초단체장 5곳 중 3곳에서 이겼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민주당이 조국혁신당에 담양군수 선거에서 패배한 사실 강조했다. 4면 기사에서 “양당(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은 호남 지역에서 22대 총선 때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는 조국당) 기조 속 박빙의 대결을 보인 데 이어 지난해 10·16 전남 곡성·영광 군수 선거에서도 양보 없는 싸움을 벌였는데 당시 선거에선 민주당이 두곳 모두 승리했다”며 “이번 선거를 앞두고도 위기감을 느낀 민주당은 호남 민심 잡기에 당력을 총동원했다. 이재명 대표는 지난달 22일 유일하게 담양을 찾아 윤석열 정권 심판을 위해 표를 달라고 강조했고 민주당 국회의원 30여 명이 지원 유세에 동원됐지만 담양은 이번엔 조국혁신당을 선택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한 야권 관계자의 입을 통해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춘추관 행정관을 지낸 민주당 이재종 후보보다 이 지역에서 3선 군의원을 지낸 조국혁신당 정철원 후보에 대한 지지가 높았던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조기 대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텃밭을 뺏기면서 ‘반이재명 정서’에 대한 불안감도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헌재 결정에 불복하면…
탄핵 심판의 당사자인 윤 대통령뿐 아니라 이재명 대표도 승복 선언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나라 전체가 혼란에 빠져있기 때문에 지도자들이 나서는 모습도 필요하지만 이는 자칫 비상계엄 이후 내란 혐의를 받는 윤 대통령과 현 집권세력에 대한 비판을 희석하고 양비론을 통해 정치권 전체에 대한 책임론으로 만들 위험도 있다.
조선일보는 사설 <尹·李 ‘불복 시위’ 바라고 “승복” 선언 안 하나>에서 “이들이 ‘승복’ 선언을 하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없다”며 “지금 분위기라면 헌재 선고로 갈등과 혼란이 끝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이를 바라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며 “자신에게 불리한 결정이 나오면 불복 투쟁을 벌이려고 준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라고 했다.
한국일보도 사설 <헌재 탄핵선고 불복은 국가 파괴 행위다>에서 “헌재 선고에 앞서 윤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를 비롯해 여야 정치권에서 대승적 승복 메시지조차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은 극심한 국론 분열과 극렬 지지층의 과격한 충돌을 부추기는 선동 행위와 다를 게 없다”며 “정치권이 헌재 결과에 대한 승복을 공개적으로 다짐하고 지지층 자제를 앞장서 촉구하는 게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동아일보 김순덕 칼럼 <윤 대통령의 승복은 국민에 대한 ‘도리’다>를 보면 “헌재가 기각·각하해서 윤 대통령이 돌아올 경우 그가 ‘6개월 안에 자진 하야하겠다’고 일정부터 밝히길 바란다”며 “파면 결정이 나오면 윤 전 대통령은 깨끗이 승복 선언을 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박근혜 전 대통령처럼 끝내 승복 안 해 ‘탄핵의 강’보다 깊은 내전에 빠질까 두렵다”며 “헌재 결정을 존중하며 대통령도 법 앞에 예외일 수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으면 한다. 그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다. 당신과 계엄을 지지해 준 보수에 대한 마지막 예의이기도 하다”고 했다.
한겨레도 사설 <탄핵심판 승복은 ‘국민’ 아닌 ‘윤석열’이 하는 것이다>에서 “헌재의 선고기일 지정으로 헌재가 파면을 결정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부상하면서 이들 극단 세력의 준동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윤 대통령이 지금이라도 헌재 결정에 승복하겠다고 밝히고 극렬 지지층에 대해서도 헌재 결정을 존중하라고 설득하는 게 급선무”라고 주장했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