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윤석열 검찰총장이 기대했던 것과는 다른 길로 가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언제부터 하게 됐느냐"고 묻자 문 전 대통령은 "조국 수석이 법무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을 때"라며 "조국 후보자 일가에 대한 수사는 명백히 조국 수석이 주도했던 검찰 개혁, 또 앞으로 법무부 장관이 된다면 더 강도 높게 행해질 검찰 개혁에 대한 보복이고 발목잡기였다. 그때 처음 안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그 바람에 조국 장관 후보자 가족들은 이른바 풍비박산이 났다"면서 "사실 참 인간적으로 아이러니하다. 윤석열을 서울중앙지검장으로 발탁할 때 가장 지지한 사람이 조국 수석이었고, 검찰총장으로 발탁할 때도 조국 수석이 편이 되어준 셈인데, 거꾸로 윤석열 총장으로부터 그런 일을 겪었다"고 탄식했다.
윤석열 발탁의 책임론을 묻는 질문에는 "윤석열 정부가 너무나 수준 낮은 정부, 이번 계엄 이전에도 참 못하고 수준 낮은 정치를 했는데 우리가 이런 사람들에게 정권을 넘겨줬다는 자괴감이 아주 크다. (윤 정부가) 그런 모습을 보일 때마다 국민한테 참 송구스러웠다"면서 "거기에다가 이번 계엄 사태가 생기고 나니까 정말로 자괴감이 이루 말할 수가 없고 밤에 잠을 잘 수가 없을 정도로 국민에게 송구한 마음"이라고 전했다.
또 "검찰총장 발탁이 끝이 아니고 그 이후에 징계, 이런 과정들이 매끄럽게 잘 안 되고 엉성하게 되면서 거꾸로 굉장히 많은 역풍을 받고, 그 바람에 윤석열 검찰총장을 정치적으로 아주 키워준 것"이라며 "그것도 또 끝이 아니라 더 유감스러운 것은 사실 지난번 대선이다. 윤석열 후보는 대선 과정에서 대통령 자질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는 사실이 이미 드러났고, 우리 쪽 후보(이재명 후보)가 비전이나 정책 능력 또는 대통령으로서 자질이 훨씬 출중하기 때문에 쉽게 이길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극심한 네거티브 선거에 의해서, 마치 비호감 경쟁인양 선거가 흘러가 버렸고 그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 패인이 되고 말았다. 그렇게 전 과정을 통해서 후회하는 대목이 여러 군데 있지만, 총체적으로 윤석열 정부를 탄생시켰다는 것에 대해서 우리 정부(문재인 정부) 사람들은, 물론 내가 제일 큰 책임이 있을 테고, 그에 대해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국민께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이른바 추윤 갈등 때 왜 대통령 인사권을 행사해서 검찰총장을 그만두게 하지 않았을까. 이를 의아해하는 시민들이 많은데 문 대통령은 본인도 답답하다는 듯 당시 불가항력적이던 상황을 비교적 자세히 설명했다.
"우리가 제왕적 대통령을 비판하면서 대통령에게 제왕적인 권한 권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거랑 같은 거다. 우선은 대통령에게 검찰총장을 해임할 수 있는 인사권이 없다. 한다면 정치적으로 압박을 가할 수는 있을지 모르겠다. 예를 들면 '신뢰하지 않는다'고 공공연하게 말한다든지 뭐 물러나기를 바란다고 언론을 통해서 압박한다든지, 실제로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는 대통령이 조금 불편하게 여긴다고만 해도 검찰총장들이 알아서 물러났다.
지금은 시대가 다르다. 그렇게 압박했다가는 윤석열 총장 본인은 물론 검찰 조직 전체가 반발하고 나설 거고 당연히 보수 언론들도 들고일어날 거고, 그러면 엄청난 역풍이 생기고 그것은 또 대선에서 굉장히 큰 악재가 된다. 그걸 우리가 선택할 수는 없었다. 자꾸 대통령에게 권한이 있는 것처럼 생각하니까 그런 말들이 있는 건데, 그렇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해주면 좋겠다.
그 당시에 윤석열 총장을 그만두게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법무부 장관이 징계 건의로서 징계 해임을 할 수가 있어서, 실제로 당시 법무부 장관이 그렇게 하려고 시도를 했다. 그런데 그 과정이 아주 잘 처리가 됐으면 좋았을 텐데 그렇게 안 됐기 때문에, 말하자면 해임도 못 하고 거꾸로 역풍을 받고 정치적으로 이 사람을 키워주는 결과가 되었던 것이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