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단순하지 않은 기념행사

[단상636] 단순하지 않은 기념행사
 
[새록새록 단상 636]
 
중국시민 
기사입력: 2014/12/09 [11:11]  최종편집: ⓒ 자주민보
 
 
▲ 12월 4일 서울 남산 하얏트호텔에서 진행한 일왕생일잔치 경호를 해주고 있는 우리 경찰들, 일본 대사관 안도 아닌 우리나라 수도 서울 복판에서 버젓이 일왕의 생일잔치를 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다. 그들은 이땅을 떠나면서 분명히 다시 온다고 했고 지금도 독도를 자기 땅이라 우기며 침략의 본성을 여과없이 드러내고 있다.    © 자주민보

 

지난 5일 《자주민보》에 실린 기사“하필 ‘신사참배’하던 남산에서 ‘일왕 생일 파티’를”(http://www.jajuminbo.net/sub_read.html?uid=18603)보고서야 4일 서울 남산 중턱에 위치한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그런 행사가 있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주류언론들이 다루지 않아서인지 전날 포털사이트에서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원래 일왕 생일은 12월 23일입니다. 그러나 일본대사관은 매년 '내셔널 리셉션'(국경일 연회)라는 이름으로 일본보다 더 빨리 일왕 생일 파티를 합니다. 아마도 일본 내 일왕 생일 파티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시기와 겹치지 않으려는 속셈 같습니다.”

 

기사의 이런 대목을 보면서 생각이 많아졌다. 일본 대사관은 일본 영토로 간주되니까 그 안에서 무슨 기념행사를 벌이더라도 큰 상관없지만, 한국영토에서 특별한 기념행사를 진행한다면 문제가 간단치 않다. 또 언젠가 논란을 빚어냈던 일본 자위대 창건 **돌 기념행사처럼 한국인들이 끼어든다면 문제는 심각해지기까지 한다.


일제시대에 일본 임금의 생일을 “천장절(天長節)”이라고 불렀고 쇼와덴노(昭和天皇)의 생일이 4월 29일이었다는 건 윤봉길 의사의 의거 덕분에 잘 알게 되었었다. 그런데 같은 시기에 일본 왕후의 생일도 명절로서 고유명칭이 있었음은 요즘 중국 동북에 세워졌던 괴뢰“만주국”시대를 다룬 소설을 보다가 처음 알게 되었다. 그 이름은 “지구절(地久節)”이었다. 그러니까 두 명절의 이름을 합치면 “천장지구(天長地久)”, 하늘과 땅과 더불어 길이길이 오래 가리라는 의미가 부여되었던 것이다. 왜정시대 반도에서도 아마 두 명절을 다 기념했을 텐데, “지구절”을 언급한 작품을 보지 못한 게 이상스러울 지경이다.


신으로 떠받들리던 히로히토가 이른바 “인간선언”을 발표하고 일본이 형식상 민주주의체제를 갖추면서 “덴노”가 입헌군주제의 군주로 간주된 다음에도 임금의 생일이 아직도 국가기념일임은 이번에 알게 되었다. “천장”이니 “지구”이니 따위 명절이름은 인간과 거리가 머니까 사라졌을 법 한데, 왕후의 생일도 국가기념일인지 갑자기 궁금해난다.


물론 더욱 궁금한 것은 일본의 그러루한 기념행사에 참석하는 한국인들이 어떤 인물들이냐이다. 혹시 일왕의 “백제혈통”발언 따위를 거들면서 자신의 행위를 합리화하려는 사람들도 있을지 모르겠다만, 해외에 사는 필자의 시각으로는 참가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이다. [2014년 12월 8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