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부문운동에 관한 짤막한 글 (장석준)

2007년 사회운동포럼 자료집 中 "사회운동 대토론회 1부"의 장석준 씨 글의 일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개인적으로 여러 운동권 용어들 중에서 특히 '부문운동' 만큼 맘에 안 드는 말도 없다. 과거에는 노동운동과 그 나머지 운동들 중 후자를 지칭하는 은어로 쓰였고, 지금도 위의 질문과 같이 '부문별 운동' 식의 어법이 통용되고 있다.

 

한국의 운동권은 코포라티즘에 대해 각별한 거부감을 갖고 있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이 '부문'이란 말 만큼은 주의해야 하지 않을까? '부문' 이란 말은 그 야말로 어떤 조화로운 전체(집합)를 미리 상정해놓고 그 각 영역을 기능적으로 나눈다는 식의 사고를 갈고 있다. 코포라티즘이 결국 이런 태도에서 나온 것 아닌가? 사회를 각 이해당사자의 '부문'으로 나누고 이들 사이의 합의를 통해 사회 전체의 조화를 이뤄나간다는 입장.

 

'부문' 보다는 차라리 '주제'라는 용어가 그나마 낫겠다. '주제'는 노동운동이나 환경운동, 여성운동이나 장애인운동 등 각 운동마다 서로 다를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이들이 내세우는 주제들이 서로 기능적으로 나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모두 광의의 노동계급운동으로 봐야 하고 민중운동으로 봐야 한다. 다만 현 체제를 비판하기 위한 출발점, 즉 '주제'가 다른 것뿐이다. 그렇다면 각 운동은 처음부터 서로 소통하고 접속하며 반향하고 합류해야 한다. 마치 음악에서 서로 다른 주제들이 만나 하나의 악곡을 이루는 것처럼 그렇게 만나야 한다.

 

다만 주제들이 서로 만나 하나의 아름다운 악곡을 이루려면 화음이 서로 맞아야 한다. 그 '화음'을 맞추는 작업은 필요하다. 이 점에서 결국 우리의 기본 음계로서 '권리'라는 개념을 중심에 놓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노동의 권리, 여성의 권리, 장애인의 권리... 그리고 이들 권리 사이의 조율 작업('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 이것이 결국 각 주제 운동이 서로 소통하고 연대하는 길일 것이다.

 

'민중'과 '시민'의 통일이라는 문제설정은 전형적으로 한국의 최근 상황에서 비롯된 것(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분립)이라고 본다. 이에 대한 우리의 대답은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이 서로 '다른' 것이라는 주장 자체에 대한 거부여야 한다. '민중'이 우리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말인 것처럼 '시민' 도 그러하다. '시민'은 권리의 보편적인 주체를 상징하는 <가면>이고 이 <가면>을 써야 할 사람들이 바로 '민중'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