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머리 모양

미루가 태어날 때부터 소원이 하나 있었습니다.

 

"미루야~너는 부디 둥근 머리통을 가져라~"

 

이게 유난히 소원이었던 이유는

저나 주선생님 머리가 다 둥글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 같은 머리통을

제가 살던 동네에서는 '떡판'이라고 불렀고

지금, 저와 주선생님은 '하트모양'이라고 부릅니다.

 

뒤판이 바짝 눌려서 '떡판'이 되고

 

머리통 위쪽의 뒤부분은 올라와 있는 모양

그런데 이게 그냥 올라와 있는 게 아니라

가운데는 쏙 들어간 상태에서 양쪽이 올라와서

마치 하트의 윗부분이랑 비슷하게 생긴 모양

 

미루는 이런 모양이 아니라

둥그렇고 이쁜 머리 모양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그토록 바래왔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만져보니까

이미 오른쪽은 '하트의 반쪽'이 되어 있었습니다.

 

애당초 미루가 하도 오른쪽만 보고 자길래

고개를 왼쪽으로 좀 돌려볼려고 무던히 애를 썼지만

이게 쉽지 않았었습니다.

 

자꾸 오른쪽만 보면 뒷머리의 오른쪽 부분이 계속 눌리는데

그러면서 머리통 위쪽과 만나는 부분이 솟아오르는 것 같습니다.

 

인도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을 밀고 올라와서

히말라야 산맥이 '융기'한 것이랑 같은 이치인 듯 합니다.

 

그렇다고 엎어재울 수도 없었습니다.

 

책에 보니까, 엎어재우다가 돌연사 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4개월 이전까지는 꼭 눕혀서 재우라고 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우리 애도 그랬는데, 나중에 보니까 둥그렇고 이쁘기만 하더라~"

"조금 눌리더라도 나중에 돌 되기 전에 교정돼~"

 

이런 말이 잠시 우리에게 희망이 되기도 했었습니다.

 

"그거, 유전이래~아무리 해도 떡판 될 애들은 떡판 된대.."

 

이런 말은 우리를

꽤 오래동안 슬프게 했습니다.

 

열혈 청년이던 대학생 시절에

"불의에 맞서 내가 단식은 죽을 때까지 할 수 있어도

혹시 누가 삭발하라고 하면 어쩌지?" 하는 걱정을 하면서 살았었는데

 

이 고통을 미루한테 다시 물려줄 생각을 하니

너무나 가슴이 아픕니다.

 

현재 미루는 오른쪽 머리통의 '융기'를 마치고

왼쪽 머리통의 융기를 준비하고 있는 듯 합니다.

 

'반쪽 하트'로 남을 것인가, 아니면 '완전한 하트'를 이룰 것인가

슬픈 선택만이 남아있습니다.

 

오늘은 정말 괴로운 날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