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평범한’ 처녀 이지선의 ‘특별한’ 꿈

성불하소서...

나는 나대로 운동화끈 바짝 조이고 열심히 살아야 겠다.

 

평범한’ 처녀 이지선의 ‘특별한’ 꿈
[도깨비 뉴스]


 그녀를 만나기 전 솔직히 ‘저러고도 살 수 있을까, 저러고도 정말 행복할까’하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 없었습니다. 지난 7일 오후. 서울 강남의 한 교회에서 KBS TV ‘인간극장’과 여러 언론매체, 그리고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책 ‘지선아 사랑해’를 통해 세상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이지선씨(28)를 만났습니다.

  이화여대 4학년 재학중이던 5년 전 음주운전자가 몰던 자동차와 충돌해 발생한 화재로 전신 55%의 화상을 입고도 기적적으로 살아난 그녀. 끔찍한 사고를 당한 그녀는 죽음의 골짜기를 벗어나 ‘생명 연장’을 선물로 받은 대신 어여쁜 얼굴을 ‘반납’했습니다.

  얼굴에 곱게 화장을 한 그녀. 눈썹을 그리고 분홍빛으로 눈 화장을 하고 입술에 발그스레한 빛깔의 립스틱을 발랐습니다. 하지만 거울 앞에 앉아 몇 시간씩 꽃단장을 해도 예전 아름다운 얼굴은 눈곱만큼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화장을 하지 않아도 ‘젊음’ 그 자체로 아름다웠던 ‘얼굴’이 사라져버린 지 다섯 해가 지났습니다.

  지나가는 예쁜 사람들을 바라보며 문득 ‘나도 저 사람들처럼 살고 싶다’는 생각에 마음을 빼앗기기도 한다는 그녀.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하게 여긴다’는 그녀 마음에 욕심이 하나 둘씩 기어올라와 자신을 괴롭힐 때마다 ‘덤으로’ 살고 있음을 떠올리는 그녀지만 가끔은 평범한 스물 몇 살 처녀로 돌아가 친구와 쇼핑하면서 예쁜 옷 입어보고, 설레는 마음으로 남자친구를 만나고, 스트레스 받으면서 회사 다니고, 결혼해 아이 낳고 복닥거리며 살고 싶은 꿈을 꾸기도 한다고 고백합니다.



  “문득 예쁜 반지를 하나 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심플하면서 깔끔한. 아무 의미는 없지만. 그냥 반지. 손을 움직일 때마다 살짝살짝 눈에 띄는 예쁜 반지. 왠지 내 손에 어울릴 것 같지 않아서 사지도 않을 테지만. 아마 산다 해도 오래 끼지도 않을 테지만. 반지가 그렇게 어울리는 손도 아니지만 말입니다.”



 그녀는 또 고백합니다. 지금보다 조금만 더 예뻤으면 좋겠다고. 낫고 싶다고…. 예전으로 되돌아가고 싶은 게 아니라 지금보다 조금 더 좋아졌으면 좋겠다고 말입니다. 거울을 보면서 ‘이만하면 귀엽다’가 아니라 서른 번 중에 한 번이라도, 아니 한번쯤은 예뻐 보였으면 좋겠다고….

  

  그녀는 “저도 평범한 20대의 아가씨”라고 수줍게 말합니다. 그러면서 그는 ‘엄마’가 되고 싶은 꿈도 솔직히 고백합니다.

  “지인들의 아이들을 보면서 그리고 그 아이들의 엄마를 보면서 ‘나도 할 수 있을까’하는 걱정이 들었습니다. ‘이 짧은 손가락으로 안아주고, 목욕시키고, 모유도 주고…. 그럴 수 있을까. 내가 아이를 너무 불편하고 힘들게 하지는 않을까. 이 체력으로 아이를 얼마나 오래 지속적으로 감당할 수 있을까. 아이가 위험에 처했을 때 빠르게 꽉 잡아줘야 할 텐데. 내 손으로 아이를 놓치는 일이나 생기지 않을까. 커가면서 세심하고 정교한 일들을 요구할 텐데 내가 얼마나 잘해 줄 수 있을까.”

  그녀는 사실 아이 낳는 것도 걱정이라고 합니다. 온통 짜깁기하듯 피부를 이식한 배가 얼마나 늘어나 줄지 그것부터 고민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녀는 적어도 두 아이를 낳고 싶은 꿈을 꿉니다. 또 한 명은 입양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 꿈이 쉽게 이뤄질 꿈이 아니라는 사실을 말입니다. 아이를 갖고 싶은, 엄마가 되고 싶은 꿈을 살짝 드러낸 게 조금은 민망한 듯 이런 말을 덧붙입니다.

  

  “그냥, 한번쯤 이런 걱정해야 인간다울 것 같아서요. 그래서 걱정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 걱정은 아이라고 갖고 해야 하는 건가요. 아니, 그전에 결혼부터 하고 말이에요. 호호.”



  그녀는 얼마 전 작은 꿈을 하나 이루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가족의 도움 없이 ‘나 홀로’ 미국 시애틀에서 어학연수를 한 그녀가 오는 9월 보스턴 대학교에서 재활상담전공 석사과정에 진학할 예정입니다. 뭔가를 새롭게 배울 수 있고 학교에 다닐 수 있다는 게 감사하고 또 감사하다는 그녀. 14차례에 걸쳐 수술을 받으면서도 삶에 희망과 꿈을 내려놓지 않았던 그녀입니다.  

   세상은 그녀에게 끝이라고 말했지만 그녀는 새 삶을 시작했습니다. 더 이상 내려갈 곳 없는 바닥에서 희망을 찾았고 그 희망이 힘이 되어 그녀를 일으켜 세웠습니다. 그녀는 인생 밑바닥을 경험하고 있는 분들에게 큰 소리로 말합니다. “이제 당신에게는 올라갈 일만, 시작할 일만 남아 있다”고 말입니다.

  누군가 “예전의 모습으로 사고나기 전 그 자리로 되돌려준다면 어떻게 하겠냐”는 질문에 “되돌아 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는 그녀는 혹독한 시련을 겪으면, 사경을 넘나들며 ‘덤으로’ 얻은 인생을 즐기면서 행복하게 살고 있다고 당당하게 고백했습니다.

“지금 이 모습이라도 기쁘고 행복하다”는 그녀를 만나고 돌아오는 발걸음이 가벼워졌습니다. 아니 훨훨 날아갈 것 같았습니다. 더 이상 “저러고도 정말 행복할까”하는 생각이 쏙 사라져 버렸습니다. 그녀가 말하는 ‘행복’이 거짓이 아닌 ‘진실’임을 몸소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기사제공= 흥국생명 세상엿보기 / 김순희 기자

▷ 흥국생명  세상엿보기 바로가기




'돌아온곱창'님은 "이지선씨가 당시 느꼈을 심리적 절망과 그것을 극복한게 참 대단한 일이라는 점을 환기 시키고 싶은 마음에 올리는 것이니 이해바라는 마음임"이라는 설명을 함께 올렸습니다.
|크게 | 작게

[ 기사제공 ]  도깨비뉴스  |   도깨비뉴스 기사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