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SJD

 

 

A. 법학박사

법학박사의 명칭과 학위수여학교

법학박사의 명칭은 앞에서도 본 바 있지만 SJD, JSD, PhD, DCompL등으로 불린다. ABA(American Bar Association)에서 인가 받은 170여 개의 로스쿨 중 박사학위과정을 두고 있는 학교는 20개 안팎일 뿐이다 다음의 학교들은-그 전부는 아니지만-그러한 로스쿨이다, Stanford UC -Berkeley, Yale, Georgetown, George, Washington, Northwes-tern, U, U of Chicago, U of Champaign, Tulane Harvard, U of Michigan, Washington U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New York U Columbia, Cornell, U ofPennsylvania, Southern Methodist U, U of Virginia U of Wisconsin-MadisonU of Washington(워싱턴 주 시애틀)

교육내용

박사 이하 SJD라 통칭)과정의 입학은 석사과정을 마친 자에 한해서 예외적으로만 허용된다. 또한 많은 경우 LLM을 그 학교에서 마셔야 지원이 가능하다고 하고 있어서 입학을 더욱 까다롭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일단 입학하면 특별한 코스웍 없이1-2년간의 최소 거주기간(residence)간 마치면 논문제출로 학위를 받을 수 있다
타 전공의 PhD 취득 시 보통 논문자격시험이 매우 까다롭고 또 논문 작성 후 구두시험이 마지막 난관인데 SJD의 경우 전자는 요구하지 않고 후자도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또 많은 경우 박사과정에 있는 학생들은 단독 또는 교수를 도와 일정과목을 가르치면서 공부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재정적 도움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수의 경험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술한 것처럼 SJD과정은 외국의 법학도에게 보다 인기가 있다. SJD는 입학시험으로 LSAT를 요구하지 않고 또 JD와 같이 90학점이라는 엄청난 양의 수강부담이 없으므로 특정분야에 한해서만 보다 집중적으로 공부해 학위 논문까지 작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국학생은 JD를 마친 미국인 박사과정 학생과는 달리 일정과목을 가르친다든지 하기에는 아무래도 힘든 것 같다. 영어문제는 별론하고라도 이공계 전공과는 달리 인문사회과학 특히 법학은 국가별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코스웍의 부담이 없고 논문작성에 치중하게 되므로 SJD과정 학생들은 JD학생들의 공부내용이나 학습 분위기와는 전혀 다른 세계 속에서 공부를 하게 된다. 개인적 의욕과 시간이 있는 사람은 JD과목을 수강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지도교수와의 면담시간, 자료를 검색하기 위해 도서실에 오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로스쿨에 전혀 발을 디디지 않는 경우도 있다

논문의 작성

학위논문의 작성은 역시 고통스러운 과정이다. 쓰고자 하는 주제와 주요이슈를 정확히 잡는 데만 해도 상당 세월이 필요하고 한국인에게는 영작의문제가 뒤따른다. 논문에 관해 구두시험을 요구하는 학교도 있지만 논문을 잘 작성했다면 큰 문제없이 통과되므로 역시 논문의 질이 문제가 된다. 학위 논문 수준의 영작이 4-5년 내에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동양계 유학생은 대개 미국학생 등의 도움을 받아 최종적으로 다듬는 것으로 알고 있다. 지도교수의 성격이나 열의, 지식, 상황 등은 학위의 취득과 취득시간을 크게 좌우한다. 성격이 자상하고 열의가 있으며 관련 지식이 많아 문제 지적뿐만 아니라 해결방안도 제시해주며 지나치게 바쁘지 않아 언제라도 면담할 수 있다면 학위취득이 보다 용이해 진다고 생각된다
평균적으로 볼 때 미국 교수들은 자상하고 학생과의 면담을 꺼려하지 않으며 논문의 지도 등 지도교수로서의 책임을 소홀히 하지 않는 대산 박사학위는 물론이고 JD등에서의 2학점 짜리 세미나 과목의 소논문에서조차 학생들의 충실한 연구를 기대하며 요구한다 따라서 ①주제와 구성, 참고문헌 등을 적은 2~5페이지 정도의 outline ②초안(박사학위 논문일 경우 파트별로 초안제출→지도교수 검토→수정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③중간보고 ④최종안 및 요약문 ⑤구두시험(요구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 등으로 이어지는 논문작성과정을 그 날짜를 엄수하여 착실하게 준비해 나가야 한다 또 미국교수도 인간인 만큼 인간적 접촉을 자주 하면-지도교수뿐 아니라 장래의 논문심사 교수들과도-큰 무리 없이 논문통과가 가능하다고 본다 논문참고자료는 주제가 미국법에 관한 것이면 거의 큰 문제없이 로스쿨이나 중앙 도서실에서 구할 수 있지만 일본을 제외하고는 한국을 포함해 아시아에 관한 자료가 부족하므로 염두에 둘 일이다. 또 논문작성에 있어서LEXlS나 WESTLAW와 같은 컴퓨터 정보검색 터미널의 사용이 필수적이므로 그 사용법을 충분히 익혀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General or As Approved
Alabama, University of, LL.M.


California-Berkeley, University of , LL.M.; J.S.D.

Chicago, University of, LL.M.; S.J.D.; M.C.L; D.C.L.


California-Davis, University of , LL.M.
Cardozo School of Law, LL.M.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LL.M.

Cleveland State University, LL.M.

 

Columbia University, LL.M.; J.S.D.
Cornell University, LL.M.; J.S.D.
Georgetown University, LL.M.; S.J.D.

 

Emory University, LL.M.
George Mason, J.M. (for nonlawyer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LL.M.

Georgia, University of, LL.M.
Harvard University, LL.M.
Indiana University-Bloomington, LL.M.

 

Illinois, University of, LL.M.; J.S.D.
Indiana University-Indianapolis, S.J.D.
Michigan, University of, LL.M.; M.C.L.; S.J.D.

 

Louisiana State University, LL.M.; M.C.L.

Missouri-Kansas City, University of, LL.M.
San Diego, University of, LL.M.

 

New York University, LL.M.; J.S.D.
New York University, J.S.D.
Pennsylvania, University of, LL.M.; M.C.L.; S.J.D.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LL.M.; S.J.D.
Stanford University, J.S.D.; J.S.M.

Temple University, LL.M.
Texas, University of, LL.M.
Touro College, LL.M.
Wayne State University, LL.M.

 

Tulane University, LL.M.; S.J.D.
Virginia, University of, LL.M.; S.J.D.

Wisconsin, University of, LL.M.; S.J.D.; M.L.I.
Yale University, LL.M.; J.S.D.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