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문화바우처 관람 후기

문화바우처! 

아이들에게 감동과 자신감을 선물하다.


*이 글은 문화바우처 후기 공모에 출품한 글입니다. 마감날 함께 일하시는 선생님께서 강권하기도 하고 이런 공모전에 글을 써본적이 없어 재미삼아 한번 써봤습니다. 상은 아차상을 받았습니다. 상금 십만원~ 적은 돈이 아닙니다. 


“오늘은 뮤지컬-점프를 보러 갈 거야!”라고 말하면 아이들은 “뮤지컬이 뭐 예요?”, “점프가 뭐 예요?” 질문을 쏟아냅니다. 어떤 아이들은 지금까지 극장 한번 가보지 못한 아이들도 있습니다.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먹을 줄 안다는 말이 있듯 문화도 해본 사람이 즐길 줄 압니다.


아이들은 정신을 쏙 빼놓는 재미난 공연은 두 말 할 것도 없이 집중을 잘합니다. 그러나 조금만 지루할라 치면 공연장을 뛰어다니는가 하면 소리를 지르기도 합니다. 공연 시작 전 어두워지는 조명이 무서워 선생님을 애타게 부르기도 합니다. 생소한 문화예술 공연에 적응을 하는 것일까요? 사람들이 보면 참 관람 예의가 없다며 혀를 차겠지만 천만의 말씀입니다. 처음 경험하는 문화적 충격에 대한 아이들 나름대로의 저항인 것입니다.


문화 바우처를 이용하여 영화 “도라이 몽”을 보러가게 되었습니다. 장애가 있는 진영이는 초등학교 2학년입니다. 그날은 진영이 어머니도 저희와 함께 극장엘 갔습니다. 진영이는 물론 진영이 어머니도 극장이 처음이라는 말에 깜짝 놀랐습니다. 아이들이 여기 저기 자리를 옮겨 다니며 속닥속닥 거리며 영화를 봅니다. 몇 번을 “조용히 해라!”, “가만히 좀 있어라!” 주의를 줘봐야 잠깐입니다. 신이 나서 돌아다니는 아이들에게 “너희 영화가 재미없나 보구나! 다음엔 안 올까?”라고 말하면 아이들은 “안돼요! 선생님 또 와요!” 하며 소리를 지릅니다. 아이들은 너무나 신이 나는 모양입니다.


내가 어렸을 때는 사람들 사는 모습이 모두 그만 그만해서 동네 아이들과 어울려 하루 종일 산으로 강으로 놀러 다니면 그것으로 족했습니다. 반에서 겨우 한 둘이 영화를 보고 오거나 대도시에서 새로운 걸 경험하고 오면 그저 신기할 따름이었고 그 아이는 몇 날이고 그 이야기를 해주곤 했습니다. 그러므로 대부분이 같은 공동체 문화 속에서 자란 우리들에게는 문화적 소외라는 것이 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너무나 다릅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도 극장조차 가보지 못한 아이들은 보편적인 모습이 아니라 이제는 특수한 상황입니다. 컴퓨터가 없어 정보와 게임에 소외되고 문화예술에 소외되어 알게 모르게 벽이 생깁니다. 유행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건 아이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재미난 뮤지컬이나 만화 영화 같은 경우 소문이 나면 금방 퍼집니다. 본 아이들과 보지 않은 아이들 사이에, 가본 아이들과 가보지 못한 아이들 사이에 보이지 않는 벽이 생깁니다.


차상위 계층으로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저는 사회적 일자리형인 방과 후 공부방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55명의 아이들이 다니는 방과 후 공부방은 주로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 등 빈곤 계층 아이들이 많습니다. 문화바우처를 이용한 문화공연예술 체험은 문화예술에 소외된 아이들에게 새로운 경험이 되고 감동이 되고 자신감이 됩니다. 저도 뮤지컬은 문화바우처를 이용하여 처음 경험해 보았습니다.


어린이 난타와 점프 등을 보면서 어른인 저도 공연에서 보여주는 창의적 상상력에 놀랄 정도니 아이들은 오죽하겠습니까? 저를 포함한 선생님들과 공부방 아이들은 문화바우처를 통해 문화예술과 공연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이 되어갑니다. 아이들은 빈곤이라는 현실 속에서도 문화예술 공연 체험을 통해 자기의 꿈과 희망을 키워가기도 합니다.


12월 문화바우처 영화 관람이라고 쓰여 있는 칠판에 아이들이 무슨 영화를 보냐며 묻지만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기다려지나 봅니다.


아이들이 극장에서 조금 떠들고 돌아다니기는 하지만 무서우면 눈을 가리고 재밌으면 신나게 웃고 신기하면 소리를 지르는 모습을 보니 조금씩 낯설었던 문화예술 공연에 익숙해져 가는가 봅니다. 이제는 나름대로 보는 눈이 생겨 자기들끼리 이러쿵저러쿵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뮤지컬도 난타도 영화 관람과 연극 공연도 아이들에게는 생소하지만 몇 번 공연 예술을 경험한 것에 힘을 얻어 올해는 공부방 아이들과 작은 연극을 준비하여 공연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학교 학예발표회에서 리허설을 하던 날 까불까불하던 1학년 여자아이가 같은 반 아이들 앞에서 연극을 해야 한다는 생각에 대사를 잃어버렸습니다. 리허설 전에는 공연을 장난처럼 여기던 아이들이 리어설이 조금 잘못 되고나니 눈이 빛납니다. 서로 충고 하며 도와가며 집중도 잘합니다. 공연을 보고 배우는 것을 넘어 아이들이 주인공이 되어 공연을 할 수 있게 된 것도 모두 간접적인 무대 경험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아이들뿐 아니라 아이들을 지도하는 나에게도 문화바우처의 여러 문화예술 공연은 이렇듯 새로운 자극이 되고 힘이 되었습니다.


1학년 아이들은 본 공연 때 연극을 잘하여 지역 사회복지 단체가 주관하는 가족 송년회에서도 공연을 하게 되었습니다. 문화공연을 받기만 하다가 직접 공연을 통해 주는 역할로 뿌듯해 하는 아이들을 보니 저절로 힘이 납니다.

이제 문화바우처는 우리의 친근한 친구가 되었습니다. 우리의 여건 상 문화공연예술을 쉽게 접근하지 못 하는데 문화바우처가 있어 아이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


그 동안 문화바우처를 기획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다양하고 재미난 공연 기회를 부탁드립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