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삼성사장단 “단 1%의 반대세력도 포용하자”

삼성사장단 “단 1%의 반대세력도 포용하자”

 

권력화 비판에 고육책 제시…세습·무노조 등 본질은 비켜가 

 

삼성그룹이 최근 제기되고 있는 삼성의 권력화에 대한 우려와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기업’이라는 고육책을 들고 나왔다. 그러나 경영권 상속 과정의 불투명성, 금융자본을 이용한 산업자본 지배, 무노조 경영 등 사회적 현안이 되고 있는 핵심 사안에 대해서는 아무 언급이 없어, 이른바 ‘삼성공화국’ 비판을 불식시키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1일 오전 주요 계열사 사장들과 그룹 구조조정본부 팀장들이 참여하는 사장단회의를 열어 △정부와 투자자, 시민단체 등과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다양화 △사회공헌 활동과 협력업체·중소기업 지원 강화 △소득 2만~3만달러 진입 위해서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더 나와야 한다는 데 공감한다는 내용의 ‘국민기업 정착을 위한 경영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삼성은 “단순히 좋은 기업에서 존경받는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사회·경제적 박탈감으로 인한 비판 여론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이런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이 이런 대책을 내놓은 것은 이건희 회장의 명예박사학위 수여를 둘러싼 고려대 사태 이후 삼성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커지면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른다는 여론이 급속히 형성돼 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삼성은 한국경제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물론 정관계와 언론계, 학계 등 사회 각 분야에서도 그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겨레>는 최근 삼성이 법조계를 비롯한 정부 관료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는 실태를 보도한 바 있다.

 

삼성이 비판적인 사회분위기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밝힌 것은 일단 여론의 표적에서 벗어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그러나 단순히 돈 잘버는 기업에서 국민의 사랑을 받는 기업으로 변신하기 위한 진지한 고민의 흔적은 엿보이지 않는다는 게 시민단체들의 지적이다. 핵심 사안인 경영권 세습, 금융자본을 통한 계열사 지배, 무노조 경영 등에 대한서는 여전히 무반응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날 발표에서 “단 1%의 반대세력이 있더라도 포용해 진정한 국민기업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상생’과 ‘나눔경영’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한 대목은 각계의 비판을 ‘소수의 불만’ 정도로 치부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삼성은 국민기업을 말하기 이전에 총수 1인을 위한 회사에서 벗어나 주주, 종업원, 고객의 권리를 먼저 찾아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남기 기자 jnamki@hani.co.kr

 

힌겨레 2005. 6. 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