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65년만 말하고, 분단 65년에 대해서는 입 다물까요?

 

정년퇴임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한다. 동국대 사회학과 강정구 교수님이 이야기이다. 강의가 계속되면서 이와 관련된 강정구 교수님의 한마디 말에 느닷없이 폭소가 터졌나왔다.

 

“이~ 또 이쪽 얘기 나오면 색안경을 쓰고 보는 사람이 많을 텐데, 우리 마누라도, 나더러 제발 좀 참으라고 합디다.”
“...............?”
“정년도 얼마 안 남았고, 맏아들 장가 갈 때까지만, 남편이 뭐 또 귀에 거슬리는 소리하다가. 덥석 잡혀들어 갈 까봐 그런 거지요.”
“교수님, 몸 사리시라고요?”
“그거 뭐, 하하하” 

 

강정구 교수의 짤막한, 푸념? 아닌 푸념에 여기저기서 웃음이 터져 나왔다. 이 덕분에 강의실 분위기는 잠시 부드럽게 술렁였다. 솔직히 우리 역사, 그것도 ‘남북현대사’를 듣는 자리인지라 순전히 가벼울 수만은 없었다. 그러나 조크 한마디로 분위기는 한결 누그러졌다. 그 가운데서 강좌는 이어졌다.

 

올해는 해방 65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러나 뒤집어 말하면 분단 65년이기도 합니다. 해방은 말하고, 분단은 왜 말하지 않느냐는 것이죠. 해방이란 무엇인가요? 일본 제국주의에서 우리가, 대한민국이 모든 주권을 회복했다는 말입니다,

 

일제 식민 시대에는 법과 제도, 사회규범이 온통 일본 제국주의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렇다면 해방 후의 법과 제도, 사회규범은 누구를 위한 것이어야 하나요? 바로 조선을, 조선인을 위한 것이라야 한다는 말이죠. 당연히 모든 게 바뀌었어야 하잖습니까. 그러나 해방이 됐을 때 우린 그렇지가 못했어요.

 

이런 사실들 때문에 우리나라는 온전한 해방을 맞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분단문제나 친일 청산문제의 그늘이 너무도 깊은데, 그래서 해방다운 해방이라고 할 수가 없었던 것이지요.

 

지구상에 남아있는 유일한 분단국가 아닌가요. 그래요. 그게 우리에요. 우리가 분단 65년의 현실을 외면만 하고 돌아보지 않는 다면 역사의 발전은 없다. 그래서 분단 65년을 이야기 해보자 이겁니다. 그것은 친일파의 득세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해방공간에서 우리는 친일파를 척결하지 못했거든요.

 

해방 후 곧바로 외세에 의해서 나라가 반 토막이 났습니다. 이 얘기는 조금 있다가 또 할 거지만, 나라가 반 토막이 난 채 남과 북은 이 문제에서부터 접근하는 자세가 달랐어요. 친일파 척결에서부터 너무나 달랐다는 것이지요.

 

보십시오. 남한에서의 친일파들은, 우리사회 곳곳에서 주류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권력을 쥐고 온갖 영향력을 행사해오고 있다는 말입니다. 정치, 경제, 문화, 학문 등 아닌 곳이 없어요. 어느 한분야인들 그들의 득세가 넘쳐나지 않는 곳이 있나요. 아니, 친일파들은 오히려 더 큰 권력과 더 막강한 힘을 떨치고 있다고 봐야죠. 일본인이 물러난 자리를 누가 채웠습니까. 바로 친일세력들이에요. 해방공간에서 지도자로 변신해서는 이 나라를 죄지 우지해고 있는 자들입니다.

 

변화의 소용돌이 없이는 역사가 발전할 수 있습니까. 불가능합니다. 변혁을 맞고, 낡은 것을 청산하려면 진통을 겪을 수밖에 없는데, 우린 그것을 못했던 것이에요. 산모가 아이를 낳을 때 진통 없이 낳던가요? 국가도 뭔가 새로운 발전을 위해서는 아픔도 겪고, 그에 걸 맞는 몸부림이 있어야 하는데, 혼란이다. 과도기다. 그러니 미군이 총칼로 다스릴 수밖에 없었다. 이런 논리만 용납되는 것입니다.

 

그 반면에 북한은 어땠냐 하면, 사실상 친일 잔재 청산이 자발적인 수준에서 즉시 시작됐습니다. 거의 다 그렇게 해결 됐고요. 토지개혁법은 1946년 2월에 시행되어, 그게 8월이 되자 정식으로 다 이루어집니다. 조선총독부와 일본인 재산, 친일파들의 재산이 다 처결된 거지요. 모조리 환수돼서 사실상 친일청산이 마무리 됐어요.

 

이에 비해서 남한은, 정말 말도 안 되는 일이지요. 해방이 된지 60여년 만에 그게 2005년입니다. 60년이 지나서야 해방을 해방으로 맞이할 수 있게 된 건데, 역사바로세우기 입니다. 진실화해위원회가 꾸려지고, ‘친일 민족반역자진상규명’이 뒤늦게나마 이뤄져요. 아무튼 역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봅니다. 

 

김대중 대통령 때는 이걸 못했어요. 그 양반 워낙 레드 콤플렉스가 있어서..... 거기다 55년 만에 겨우, 정말 어렵게 정권교체가 이뤄진 데다가 의석수라든가 아직 여건이 마련되지 않은 측면이 있었습니다. 국민의 정부 때 터를 닦고 노무현 대통령 때 와서 겨우 그나마 친일문제를 정면으로 건드린 것이죠. 아쉽고 미흡했죠. 그러나 60년 동안 꼼짝도 못 하다가 발걸음을 뗀 것은, 역사적인 의의가 크다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역사현상에서건 사회현상에서건 우리에게 분단은 커다란 비극입니다. 그늘이에요. 친일청산과 남북한 문제를 놓고 볼 때도 그렇지 않습니까? 진정한 해방을 못 이루고 있었습니다. 양시양비론처럼 나쁜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해결은 중간선에서 하자! 이건, 이건~ 판단기준이 없기 땜에 그런 거예요. 구렁이 담 넘어가듯이 뜨뜨 미지근하게 하는 것, 양시양비론의 실체가 이렇습니다.

 

의석수가 한나라당이 많으니까, 친일민족반역자 문제에서도 양시양비론으로 얼버무려졌어요. 친일민족반역자 진상규명에서도 박정희가 빠진 것을 봐요. 이게 이유가 뭐냐면, 일본군에 복무한 사람은 중령 이상만 명단에 넣자고, 이렇게 바뀐 겁니다. 우리나라 사람 중에 일본군 장교, 그것도 중령 이상인 사람이 누가 있었습니까. 박정희는 중위니까, 반민족 친일분자 명단에서 빼자, 이렇게 된 거에요. 교묘하죠. 양시양비론을 들이댄 것이잖아요.

 

역사는 발전한다. 그렇다. ‘인생은 생각할수록 아름답고 역사는 앞으로 발전한다.’고 말한, 돌아가신 노(老) 대통령의 말이 아니더라도 우리 역사도, 우리 민족도 분명히 발전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 철옹성 같이 단단하기만 하던 남북 55년의 반목을 보자. 6.15선언으로 일거에 화해의 물꼬를 트지 않았던가. 그렇다. 우리의 남북역사도 발전해야 한다. 반드시 그래야 한다.

 

다음 제 3편에서는

 

‘통일 대박론과 전후 분단의 실제적인 책임’에 대해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2/02 01:31 2010/02/02 01:31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s://blog.jinbo.net/8434pjr/trackback/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