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속물근성과 가치지향성

이런저런 활동가들이 주변으로부터 가장 많이 듣는 말....

 

"좋은 일 하십니다~~~"

"먹고 사는데 지장은 없으신가요?"

 

그래서 생각해본 건데.....

 

속물근성도

가치지향성도

모두 사람의 보편적인 특성이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가 가진 가치지향성을 삶으로 선택하지 못하고

얼굴 살짝 붉히며 속물근성을 선택하는 이유는

두려움 때문이다.

 

가치를 쫓아 살면 삶이 힘들 것이라는 두려움....

 

그러니 이것을 어찌 나쁘다 탓만 하고 있으리오.

 

그래서 나는 이제

 

"아주 잘먹고 잘삽니다."라고 이야기 하기로 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왜 함께 해결하려 하지 않나요?

'왜, 회원들에게 그 고민을 내놓지 않죠?

왜 회원들과 함께 풀려고 하지 않죠?

당신의 깊은 고민을 회원들이 모르는데,

어떻게 회원들이 당신 편에 설 수 있지요?'

 

오늘, 어느 지역 여성 지도력들과 훈련을 나누다가

자신의 어려운 결정을 몰라주는 회원들에게 섭섭함을 표하는 한 지도자에게

또 다른 지도자 한 분이 던진 질문이다.

 

참 옳다!

 

혼자 고민하고 혼자 결정하고

혼자 처리하면

어떤 누구의 동의도 받아내기 어렵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오해

민주노동당 활동을 열심히 하고

권영길 후보를 열심히 지지하는 친구에게

 

'권 선생 지지도 좀 높여야 하지 않냐'라고 묻자

 

'기다려라. 그렇게 될 것이다. 백만이 모이기만 하면...'

 

아마도 백만 민중대회를 이야기 하는 것이리라.

 

그래서 그랬다.

'더이상 우리를 동원대상으로 만들려 하지 말라'고...

 

그랬더니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런게 아니라고 이야기 할 수도 없지만...'

 

뭔가 이야기 하고 싶은게 있지만 잘 안되는듯 답답해 하길래 그냥

'나 처럼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는 것만은 사실로 받아들여 달라'고

이야기 하고 끝냈다.

 

그(?)들은 표가 목적이 아니라고 이야기 하면서도

마치 표에 목숨 건 자들 처럼 말하고 행동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배움

그(녀)를 닮기 두려워하면서

그(녀)가 나를 닮기 원하는 것........

 

그건 가장 질 나쁜 이기심이다.

 

그(녀)에게 배우려 하지 않으면서

그(녀)를 가르치려 하는 것........

 

그건 가장 질 나쁜 교만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주(主)민 운동

1. 주(主)민의 요구나 문제

2. 주(主)민의 자발성

3. 주(主)민의 창조성

4. 주(主)민의 변화

5. 주(主)민의 성취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고집

내가 고집스러우면 주(主)민도 고집스러워진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인식과 신뢰

의사소통 문제는 대부분

인식과

인식으로부터 비롯된 신뢰의 문제 때문에 생긴다.

 

내가 내 처지와 경험에 기초할 것이라면

상대도 그럴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인정하자.

 

또...

 

상대의 인식이나 지각에 문제를 발견했다면

상대도 나의 인식이나 지각에 문제를 느끼고 있다고 생각하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계

'이게 우리 한계예요. 우린 어쩔 수 없어요. 휴~~'

'세상이 예전 같지 않아서 힘들어요. 휴~~'

 

'한계'는,

우리가 알아차리는 그 순간,

우리의 '조건'이 된다.

 

'한계'는 우리를 무기력하게 만들지만

'조건'은 우리를 도전하도록 한다.

 

'변화' 도 이와 같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변화' 는 우리를 도전하게 하는 새로운 '조건'일 뿐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생각...말...(~070918)

* 돈 많고 가방 끈 길면 파렴치범도 지도층이라 부르는가?

 

*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 각자의 생각이 우주를 결정한다.

 

* 이제 남은 건 내 판단과 내 말과 내 행동을 스스로 용서하는 용기를 갖는 것일게다.

 

* 참새는 새 이웃을 맞기 위해 모두 자리를 털고 날아올랐다가 다시 자리를 잡고 내려앉는다.

 

* 당사자들이 기꺼이 돈을 낼 마음이 들게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라.

   그러면 그들의 삶도 얻을 수 있다.

 

* 민중 속에서 닦지 않은 道는 민중 속에서 무력하다.

 

* 점잖게 대안을 주기보다는 스스로를 용서할 수 있는 기회를 주라.

   그 기회는 그저 주는 것이 아니고 잘 만들어 주는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모든 악은 자본으로부터

해미님의 [손해 볼 것 없는 제약회사와 나아질 것 없는 민중 건강] 에 관련된 글.

 

 

 

모든 악은 자본 - 돈으로부터 비롯된다!

 

그런데

세상의 많은 사람들은 겉으로는 안 그런척 하면서,

자본을 동경하고, 부자를 존경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