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서양 고대 그리스 철학-2,

 

** 고대 그리스(희랍) 사상 **


위의 신화의 내용과 의미에 대해서 비추어 보면, 서양 고대 그리스(희랍) 사상의 근본 물음은 세계가 무엇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물음이 아니라, 세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하는 물음이다. 왜냐하면 신화에서는 <다(多)의 공존>을 문제 삼고 있기 때문에, 세상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사는 것이 관심사이고, 이런 관심사가 서양 고대 그리스(희랍) 사상에 고스란히 녹아 있기 때문이다.


(1) 탈레스


탈레스는 이오니아 지방에서 발생한 최초의 철학 학파인 이오니아(또는 밀레토스) 학파의 선구자이다. 그런데 탈레스는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세계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에 대한 관심보다는 세계가 무엇으로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탈레스는 세계가 물(水, water)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했다. 탈레스가 세계가 물로 이루어졌다고 말하는 까닭은 그의 직업이 항법사였기 때문이다. 항법사란 직업은 배의 물길을 살피는 직업이고, 여러 다른 지역과 나라를 돌아다니는 직업이기 때문에, 그의 삶 자체가 늘 물과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다. 그리하여 탈레스는 세계가 물(水, water)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했다.


(2) 아낙시만드로스



 

 

 

to

 

ap

ei

ro

n(

)

 

 

 

 

 

 

 

 

 

 

 

 

 

 

 

 

 

 

 

 

 

 

 

 

 

 

 

 

 

 

 

 

 

 

 

 

 

 

 

 

 

 

 

 

 

 

 

 

 

 

 

 

 

 

 

 

 

 

 

 

 

 

 

 

 

 

 

 

 

 

 

 

 

 

 

 

 

 

 

 

 

 

 

 

 

 

 

 

냉 

 (

 

)

 

 

 

 

 

 

 

 

 

 

 

 

 

 

 

 

 

 

 

 

 

 

 

 

 

 

 

 

 

 

 

 

 

 

 

 

 

 

 

 

 

 

 

 

 

 

 

 

 

 

 

 

 

 

 

 

 

 

 

 

 

 

 

 

 

 

 

 

 

 

 

 

 

 

 

 

 

 

 

 

 

 (

)

 

 

 

 

 

 

 

 

 

 

 

 

 

 

 

 

 

 

 

 

 

 

 

 

 

 

 

 

 

 

 

 

 

 

 

 

 

 

 

 

 

 

 

 

 

 

 

 

 

 

 

 

 

 

 

 

 

 

 

 

 

 

 

 

 

 

 

 

 

 

 

 

 

 

 

 

 

 

 

 

 

 

 

 

 

 

 

 

 

 

 

 

 

 

 

 


아낙시만드로스는 신화를 바탕으로 해서 <최초로 과학적인 세계관>을 확립한 철학자이다. 아낙시만드로스는 해상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한 상인 계급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이오니아 지방의 출신이다. 대토지를 소유하고 있던 귀족들이 귀족 정치 체제를 주장하고 옹호했던 반면에, 상인 계급들은 민주주의를 주장하고 옹호하였다. 아낙시만드로스 역시 민주주의를 주장하고 옹호하였다. 그는 민주주의가 <다(多)의 공존>을 위한 최선의 정치 체제라고 생각하였다. 그러한 결과로 나타난 것이 위의 도식에서 설명되는 것이다.

아낙시만드로스는 신화에 근거해서 최초로 <무한정자(한정되거나 규정되지 않은 것. 산화와 비교해 보면 Chaos(혼돈)과 같은 것이다), to apeiron>를 상정한다. 그리고 그 <무한정자>로부터 최초의 자연질서라고 할 수 있는 <온․냉․건․습>의 4가지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이 4가지로부터 만물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 4가지로부터 만물이 발생하는 과정에는 근본적으로 <불의>가 도사리고 있다.

신화에 따르면, <다(多)>가 <공존>하기 위해서는 신들이 본래부터 자기 자신에게 주어진 영역만을 관장할 뿐 다른 신의 영역을 간섭하거나 침해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 만일 이러한 간섭이나 침해가 있게 될 경우, 신들의 <다(多)의 공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多)의 공존>을 위해서 <복수의 여신>인 <Nemesis>에 의해 복수가 이루어진다. 신화에서 <복수>란 이러한 간섭이나 침해 이전의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감을 뜻한다.  

그런데 <온․냉․건․습>의 <온․냉>이라는 대립 쌍의 상호 작용과 <건․습>이라는 대립 쌍의 상호 작용, 그리고 이 두 대립 쌍 자체의 상호 작용이 없다면 만물은 발생하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하늘을 봐야 별을 딴다’는 옛말도 있듯이, 남성과 여성의 관계 작용이 없으면 새로운 세대가 태어날 수 없듯이, 서로간에 어떤 상호 작용이 없으면 아무 것도 생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만물이 태어나려면 최초의 자연 질서라고 할 수 있는 <온․냉․건․습>의 서로간의 상호 작용이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해서 태어난 만물은 그 자체 불의를 가지고 태어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신화에 따라 복수를 당하여, 만물은 최초의 자연 질서인 <온․냉․건․습>으로 되돌아가게 된다(이는 기독교의 원죄설과 아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아낙시만드로스의 세계관은 <몇 가지 다양한 물질적 요소와 그 물질적 요소들간의 운동>이라는 것이 전제되어야만 성립될 수 있다.

그런데 아낙시만드로스의 이 세계관은 나름대로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아낙시만드로스는 <온․냉․건․습>으로부터 만물이 발생한다고 했다. 그런데 <온․냉>, <건․습>과 같은 대립 쌍은 무수히 많다. <크고 작음>, <많고 적음>, <아름다움과 추함>, <높고 낮음>, <무겁고 가벼움> 등등……. 아낙시만드로스는 <온․냉>, <건․습>의 대립 쌍으로부터 이 이외의 다른 모든 대립 쌍들이 어떻게 생겨나는지를 전혀 설명하지 못한다. 다시 말하자면 <대립 쌍>이라는 동일한 존재 지위에 있는 모든 대립 쌍들 중에서 오로지 <온․냉>, <건․습>만이 필연적으로 <최초의 자연 질서>로 될 만한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아낙시만드로스가 <온․냉․건․습>만을 <최초의 자연질서>로 삼은 것은 <탈레스>의 영향을 상당히 받아서인 것으로 보인다. 물은 대체로 따뜻함, 차가움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물이 많으냐, 적으냐에 따라서 습기가 많다고 하거나 건조하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민주주의 정치 체제와 연관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가 발달하고 복잡해질수록 다양한 직업들과, 이에 따라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생겨나게 된다. 그런데 사회가 발전하고 복잡하기 이전의 단순한 사회 상태에서 나타난 대표자들(이 대표자들이 곧 <온․냉․건․습>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대표자들이 불의를 저지르게 되면 만물로 표현되는 사람들 중에서 새로운 대표자를 뽑게 된다. 이것이 위에 나타난 아낙시만드로스의 도식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의 계층 영역은 얼마 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사회의 발전에 따라 더 많이 생겨난 작업과 계층의 사람들이 자신들의 이해 관계를 대변하기 위하여, 자신의 대표자를 뽑아 의회에 보내고자 할 것이다. 이렇게 되었을 때, 위에 나타난 아낙시만드로스의 도식으로서는 이러한 다양한 이해 관계를 조정하거나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 급기야는 <사공이 많아져 배가 산으로 올라가는 식>의 사회 혼란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다(多)의 공존>은 무너지게 된다. 이것이 바로 <몇 가지 다양한 물질 요소와 그 물질 요소들 간의 운동>을 전제하고 있는 아낙시만드로스의 세계관이 가지고 있는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