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서양 고대 그리스 철학-3.

 

(3) 헤라클레이토스


이런 아낙시만드로스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헤라클레이토스가 등장한다. 헤라클레이토스는 아낙시만드로스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아낙시만드로스의 <몇 가지 다양한 물질적 요소>를 제거하고, 이 물질적 요소를 추상화하여 이 요소들 모두를 다 포괄할 수 있는 하나의 정신적 요소(우리는 일상적으로 물질적인 것과 반대되는 것으로 정신적 것을 이야기한다)를 이야기한다. 왜냐하면 어떤 다른 물질적 요소를 이야기한다 할지라도, 그 물질적 요소는 아낙시만드로스가 말한 물질적 요소와 다를 바 없는 물질적 요소이기 때문에, 결코 아낙시만드로스를 넘어설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헤라클레이토스는 이 정신적 요소를 <>로 비유한다. 그리고 이 <불>이 적절하게 타오르고 사그라짐으로써 만물이 발생하게 된다고 말한다. 불이 적절하게 타오르고 사그라짐은 물질적인 대립 쌍들의 운동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것을 정치 체제와 연관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아낙시만드로스가 이야기하고 있는 민주주의는 결국 <사공이 많아 결국 배가 산으로 올라가는 격>이라 많은 혼란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많은 이해 관계를 조정하고 조화시켜 줄 강력한 중앙 국가 기구가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다(多)의 공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 국가 기구가 바로 <불>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불>은 헤라클레이토스 말년에 가면 <Logos(영혼, 이성, 정신)>로 변하게 된다. 그리하여 헤라클레이토스에게서는 아낙시만드로스의 <몇 가지 다양한 물질적 요소와 그 요소들 간의 운동> 중에서 <몇 가지 다양한 물질적 요소>는 사라지게 되고, <운동>만이 남게 된다. 그 <운동>은 <불이 적절하게 타오르고 사라짐>으로 표현된다.


(4) 파르메니데스

 

 

 

 

 

 

 

 

 

 

 

 

 

 

 

 

 

 

 

 

 

 

 

 

 

 

 

 

 

 

 

 

 

 

 

 

 

 

 

 

 

 

 

 

 

 

 

 

...

...

 

 

 

 

 

 

 

 

 

 

 

...

...

 

 

 

 

 

 

 

 

 

 

 

 

 

 

 

 

 

 

 

 

 

 

 

 

 

 

 

 

 

 

 

 

 

 


<우리의 구체적인 현실 세계>               <현실 세계를 추상화시킨 세계>



파르메니데스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생각을 극단적으로 밀고 나간다. 그래서 헤라클레이토스가 아낙시만드로스에게서부터 계승했던 <운동> 요소까지도 제거한다. 파르메니데스가 <운동>의 요소까지도 부정하는 이유는, 파르메니데스가 대(大) 토지를 소유한 귀족 출신이고, 그렇기 때문에 대 토지 소유 귀족으로서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회 변화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파르메니데스는 <있는 것>과 <없는 것> 사이의 모순율을 바탕으로 헤라클레이토스의 <운동> 요소를 비판한다. 다시 말하자면 <있는 것>은 <있는 것>일 뿐이지 <없는 것>이 아니고, <없는 것>은 <없는 것>일 뿐이지 <있는 것>이 아닌데(이것이 형식 논리상의 모순율이다), 헤라클레이토스의 <운동>은 <있는 것>이 <없는 것>이 되도록 하고, <없는 것>을 <있는 것>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운동>이란 <변화>를 뜻하고, 그 <변화>란 <있는 것>을 <없는 것>으로 만들기도 하고,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운동>을 말하게 되면, 이러한 형식 논리상의 모순율을 범하게 된다는 것이다.

파르메니데스는 이것을 위의 도식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우리의 구체적인 현실 세계>는 사람, 물, 나무, 소, 말, 개 들이 서로 구별되어 있는 세계이다. 그런데 이 모든 것들은 구체적인 물질적인 것인데, 그것을 추상화하면, 이것들 모두는 <있는 것>(유식한 말로는 “존재”라고 말한다)이다.

그러면 <있는 것>들의 세계인 <현실 세계를 추상화시킨 세계>를 살펴보자. 여기서 <있는 것>들은 서로 구별되고 있는데, 그 구별되는 경계선은 <있는 것>일까, 아니면 <없는 것>일까? 먼저, 그 경계선이 <있는 것>이라는 주장을 살펴보자. 만일 그 경계선이 <없는 것>이라고 한다면, <있는 것>들 사이의 구별은 없어지게 되고, <우리의 구체적 현실 세계>는 그 어떤 구별도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사람이나 말이나 개나 소나 구별되지 않는 똑같은 존재라는 것이다. 그러면 현실세계는 혼란에 휩싸이게 될 것이다. 그러니 그 경계선은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면 <헨실 세계를 추상화시킨 세계>는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즉 <있는 것>-<있는 것(경계선)>-<있는 것>-<있는 것(경계선)>……, 이런 연쇄 사슬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현실 세계를 추상화시킨 세계>는 어떤 구별도 없는 <있는 것>으로 가득 찬 세계가 된다. 그러니까 ‘<있는 것>으로 가득 찬 세계에 어떻게 <운동>이라는 것이 가능한가’라고 파르메니데스는 반문한다.

다른 한편, 그 경계선이 <없는 것>이라는 주장을 살펴보자. 만일 그 경계선이 <있는 것>이라고 한다면, 첫 번째 주장과 같은 모순에 접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있는 것>들을 구별시켜 주는 그 경계선은 <없는 것>이어야 한다. <있는 것>-<없는 것(경계선)>-<있는 것>-<없는 것(경계선)>……, 이런 연쇄 사슬로 이루어져야 있는 것들을 구별시켜 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주장하게 되면, 그 역시도 똑같은 모순에 빠지게 된다. <없는 것>은 <없는 것>이므로 <있는 것>들의 연쇄가 이루어지게 되고, 그리하여 <현실 세계를 추상화시틴 세계>는 또한 어떤 구별도 없는 <있는 것>으로 가득 찬 세계가 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도 ‘<운동>이란 없다’고 파르메니데스는 말한다.

<우리의 구체적인 현실 세계>를 머릿속에서 사고(생각)로 반영하는 <현실 세계를 추상화시킨 세계>에서 <운동>이란 요소가 아예 없기 때문에, 다시 말해서 우리의 생각 중에는 <운동>이라는 관념(개념)이 아예 없기 때문에, <우리의 구체적인 현실 세계>에서도 <운동>이란 요소란 있을 수가 없다는 것이 파르메니데스의 주장이다.

이것을 정치 체제와 연관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헤라클레이토스에게서 강력한 중앙 국가 기구가 있다고 해도, 이해(利害) 관계를 바탕으로 한 여러 계층, 집단들이 서로 그 중앙국가 권력을 잡기 위해 투쟁(다툼)이 일어난다면, 그 투쟁(다툼) 때문에 사회는 혼란해질 것이고, 따라서 <다(多)의 공존>은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이 투쟁은 곧 헤라클레이토스의 <운동>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 투쟁(운동)의 요소가 있어서는 안 된다. 그 투쟁(운동)이 없어야만 <다(多)의 공존>을 이룰 수 있다고 파르메니데스는 말한다. 

파르메니데스에게서는 아낙시만드로스의 <몇 가지 다양한 물질적 요소와 그 요소들 간의 운동> 모두가 부정된다. 파르메니데스에게 세계는 온통 <있는 것> 하나로 가득 차 있다. 이런 것 때문에 그 당시에도 “돈이 다다”라는 물질 만능주의가 횡행하였다고 한다. 그리하여 돈, 즉 부(副)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대 토지 소유 귀족으로 대표되는 ‘귀족 정치 체제(귀족정)’말고는 어떤 정치 체제도 용납될 수도, 또한 용납할 수도 없다는 것이 파르메니데스의 생각이었다. 왜냐하면 <있는 것>(귀족정)에는 어떤 <운동>의 요소(권력과의 투쟁, 그리고 그 투쟁을 통한 사회 변혁)도 없기 때문이었다.

파르메니데스에게 와서야 물질(존재)-정신(사유)이라는 이분법적 구별이 확연히 드러나고, 또한 정신이 물질보다 우위에 있고 고귀한 것이고, 본질적인 것이며, 따라서 물질이 정신으로 환원되는, 다시 말하자면 <우리의 구체적 현실 세계>(물질)를 <현실 세계를 추상화시킨 세계>(정신)에다 꿰어 맞추는 일이 처음으로 비로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존재와 사유가 일치하는 일원론적인 세계관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것을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 세계에 비유해 보면, 돈(자본)에 우리의 모든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삶을 꿰어 맞추는 것과 유사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파르메니데스는 <운동>과 그 운동의 토대인 <물질 세계>를 부정함으로써 구체적인 현실 세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고, 나아가서 인간 역사 발전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었다. 다시 말하자면, <있는 것> 역시도 <물질 세계>의 <운동>의 생산물임을 파악할 수 없었고, <있는 것>을 단지 모든 것의 전제로 삼았다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있는 것>은 역사적으로 <없는 것>으로 사라지기도 하고, <없는 것>도 역사적으로 <있는 것>으로 생성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배가 고프다가도 부르기도 하고, 부르다가도 고프기도 한다. 고프다는 것은 위에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이고, 부르다는 것은 위에 어떤 것이 차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현실적인 모든 것의 삶의 기본 과정이라는 것을 파르메니데스는 잊어버리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A는 not A(~A)]이고, [not A(~A)는 A]이며, 결국 [A는 A이면서 동시에 not A(~A)]라는 변증법의 기본 원리를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정치 체제와 연관해서 보자면, 인간의 삶이 발전하고 복잡해질수록, 그 발전되고 복잡한 삶의 양식을 담아낼 수 있게끔 정치 체제도 변화해야 한다는 사실을 파르메니데스는 자신의 계급 이익 때문에 미처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