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책 제목에 ‘살린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지구가 죽어가고 있다는 얘긴가 싶기도 하고, 죽었다는 말인가도 싶습니다. 매우 도발적으로 제목을 달았는데요. 최근 발표된 IPCC 보고서를 본다면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지금처럼 나뒀다간 100년도 못 가 인간은커녕 지구가 꼭 죽게 생겼으니 말입니다.

‘살린다’는 말 외에도 책에는 ‘착한 도시’라는 글자도 보입니다. ‘착한 도시’라, 그럼 ‘나쁜 도시’도 있다는 이야기인가요? ‘착한’ 것과  ‘나쁜’ 것은 무엇으로 나눌 수 있으며, ‘착한 도시’와 ‘나쁜 도시’는 어떤 모습들을 갖고 있는 걸까요.
 
책을 쓴 이는 영남일보 기자입니다. 신문에 도시와 에너지 문제에 관한 취재를 하다 도시와 기후변화, 지역사회 등으로 관심영역이 넓어졌다는데요. 3년 만에 관련된 책을 두 번째 펴낸 것이 바로 <착한 도시가 지구를 살린다>입니다.
 
전작 <태양도시: 에너지를 바꿔 삶을 바꾼다> 연장선에서 쓴 이 책은 세계 각지를 돌며 ‘착한 도시’들을 소개합니다. 런던, 암스테르담, 시애틀, 맬버른, 프라이부르크, 꾸리찌바까지. ‘생각은 세계적으로 하고, 행동은 좁게는 지역, 넓게는 세계적으로 하는 양면전술’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지요.
 
또 지은이는 개인이 할 수 있는 ‘착한’ 행동들도 알려줍니다. 다음과 같은 아주 손쉬운 방법들을 말입니다.
 
▣ 수도 사용법
□ 욕탕의 물을 이용하여 몸과 머리를 씻고, 샤워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371g
□ 샤워 시간을 1일 1분 짧게 한다. 74g
□ 욕탕의 따뜻한 물을 세탁에 사용한다. 7g
□ 가족간 입욕은 간격을 두지 않고 한다. 86g
p.215 ‘한 사람 하루 이산화탄소 1kg 감축 국민운동’ 중 일부분
 
기자가 쓴 책이라 그런지 읽기 편합니다. 어려운 용어들도 심심찮게 나오고, 설명이 길게 필요한 부분들도 많지만 전혀 막힘이 없거든요. 또 여러 곳을 들르다보니 다소 어수선 할 수 있을 법 한데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러니 ‘착한 도시’는 어떤 모습인지, ‘살린다’는 말이 무엇을 뜻하지 책을 다 덮고 나면 머릿속에 분명하게 그려질 겁니다. 눈부시게 파란 별, 우리 ‘지구’와 함께 말입니다. 글쓴이도 지적을 했지만. 제1세계 도시들과 서울 강남에 자칫 면죄부가 되지나 않을까, 긍정적인 면이 너무 부각된 점만 빼곤 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10/10 15:29 2013/10/10 15:29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