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숨이 턱 막히더군요. 원체 수학을 싫어해 문과를 선택했던 터라. 그래도 전공이 경제학이니 수학이 전혀 없진 않겠지, 생각했는데. 1학년 첫 전공과목 수업부터 수요, 공급 곡선을 미적분으로 그려내더니. 2학년이 되자 과목 자체가 아예 경제수학에 경제통계더군요. 게다가 전공 교수들은 부전공으로 계량경제니 경제통계 같은 것들을 해놔서인지. 아, 정말 숨이 턱턱 막히더라구요. 평생 안 보고 넘어갈 줄 알았던 정석 2-2를 펼쳐놓고 확률, 통계에 4×4 행렬까지 하려니.
 
하지만 그것까진 어느 정도 참을만했습니다. 안 되는 머리지만 어찌어찌 수학공부(?)는 따라 갈만 했는데. 헌데 그 전공 교수들 말입니다. 나중에 들어온 한 사람 빼곤 모조리 미국물을 먹어서인가요. 아니 정확히 말하면 끽해야 케인즈학파 언저리 정도가 한 명, 나머진 죄다 고전경제학들을 전공 했더군요. 이러니 교과과정은 싹 다 주류경제학으로만 채워졌고, 언감생심 정치경제학 혹은 맑스주의 경제학은 찾아보려야 찾아볼 수조차 없었습니다. 그나마 기대했던 한 과목, 경제사마저 그 나중에 들어온. 식민지근대화론을 얘기하는 사람이 강의를 차지하고 들어왔으니. 컥.
 
그러던 어느 날,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2학년 1학기가 거의 끝나갈 무렵이었지요. 몇 명의 선배들과 동기들이 강의실에 모였더랬습니다. 돌이켜보면 거창하진 않았지만. 그래도 나름 창립취지문도 대자보로 여기저기 붙이고, 회원도 미리 받고 했으니 조촐하진 않았던 것 같습니다. 아무튼 그렇게 열 댓 명이 모여 소위 주류경제학이 판치는 학과 분위기를 쇄신하고 대안 경제학을 학과에, 학내에 보급하자며, ‘정치경제학연구학회’ 발족식을 했습니다. 아름아름 맑스주의를 공부하던 선배들이 몇 있긴 했지만 이끌어주는 교수 한 명 없이. 그야말로 맨땅에 헤딩하듯 비주류경제학을 공부해보자며 나선 것이었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2. 
숨이 턱 막히더군요. 두꺼운 책 두께도 그렇거니와. 한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그 많은 ‘사건’들-하지만 이도 웬만한 역사학자가 아니구서야 어찌 다 알 수 있을까요-에 대한 깊고 풍부한 이해. 그리고 그것에 바탕을 둔 저자만의 독특한 시각-물론 이 때문에 단숨에 책을 읽어 내려가기가 쉽진 않지만-에 책장을 넘길 때마다 숨이 턱턱 막히더라구요.
 
하지만 무심코 지나쳤을 법한 ‘혁명’에 관한 새로운 발견, 비주류에서도 다시 비주류적 해석으로 나아가는 사고의 전환, ‘자유의지’로 뭉친 민중에 대한 믿음을 올곧게 느낄 수 있는데 이르러서는. 기억으론 다 담나내기 조차 많은 ‘역사적 사건’들을 다시 천천히 음미해야겠다는 생각이 슬쩍 고개를 내밉니다. 한마디로 두 번, 세 번을 읽어야겠다는 다짐이지요.
 
3.
첫 1년은 처참했습니다. 그나마 있었던 선배들은 졸업 학년이 되면서 활동 폭이 좁아졌고,  회원은 절반 이상 떨어져나갔습니다. 그리고 후배들은 통 학회에 관심을 두질 않았지요. 뭔가 돌파구가 필요했습니다. 처음 학회를 제안했던 선배들 가운데 그래도 끝까지 해보자며 두 명의 선배가 나섰습니다. 그리고 동기들 가운데 광주에서 올라온 늦깎이 형을 중심으로 학생회 일을 맡고 있던 몇 명이 의기투합했습니다. 그리고 곧 주 1회 세미나와 월 1회 토론회를 시작했습니다. 요란하게 말잔치만 하지 말고 내실을 기하자는 의미였지요.
 
그 해 여름, 후배들과 함께 지리산엘 올랐습니다. 천왕봉 아래 장터목산장에 두 동의 텐트를 치고는 대접에 소주를 가득 부어 마시며 학회 정회원 승격식도 하고. 다음 날은 광주 망월동에도 갔지요. 그때까지만 해도. 지리산도 그렇고, 망월동은 더 말할 것도 없이 차편도 변변치 않아 꽤나 긴 길을 걸어야 했지만. 지리산 자락을 걷는 동안에도 묘역을 둘러보는 동안에도 내내 모두들 말이 없었습니다. 그리고는 천왕봉에 올라 굽이굽이 피어린 산자락들을 굽어보며. 또 구묘역에 늘어선 묘비 하나, 하나, 한 글자, 한 글자 가슴에 새기는 내내. 눈물을 흘리지 않은 회원들은 한 명도 없었더랬습니다.
 
하지만, 그 눈물들은 그리 오래 흐리지 않았습니다. 계엄군에 갇힌 광주의 민중들은 죽음을 앞둔 공포와 두려움 속에서도. 기어이 ‘자율공동체’를 만들어냈음을 보았기 때문이었지요. 그래 이내 눈물은 환희와 용솟음, ‘격정’으로 바뀌었답니다. 그리고 그렇게 시작된 지리산 산행과 광주 망월동 묘역 참배는 ‘정경연’ 정회원이 되는 통과의례가 됐지요. 물론 15년도 넘게 지난 지금도 후배들은 여전히 지리산엘 또 광주엘 가고 있구요. 아픈 역사 속에서 건져낸 ‘격정’이 여전히 주류경제학만을 유일경제학으로 치부하는 학풍 속에서도 꿋꿋이 학회를 이끌어 오고 있는 힘인 겁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11/26 01:14 2010/11/26 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