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날, 꼬마기차 타고 자개골 입구로(2007년 3월 1일)
 
증산에서, 지금은 아우라지역으로 불리는 여량까지 하루 두 차례 운행하는 꼬마열차를 타고 지난 번 걸었던 길을 되짚어 오르니 길을 걸을 때와는 또 다른 맛이다. 완연한 봄기운은 창안으로 쏟아지는 따뜻한 햇살에 담겨 있고, 정선에서부터 기찻길과 쭉 함께 하는 조양강의 풍경과 천 미터를 오르내리는 정선의 산들의 협곡들은 기차여행의 맛을 제대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또 ‘이별하는 골짜기’라는 이름답게 이제는 뭇사람들과 ‘이별’하는 별어곡역, 지난 1966년 12월 30일 준공된, 기차여행가들의 성지로 된 선평역, 지금은 철거가 중단된 몇 안 되는 목조역사인 나전역, 전에는 여량역으로 불리었으나 이웃한 아우라지의 명성으로 이름마저 바뀐 아우라지역 등 역무원조차 없는 간이역이 시간을 세워놓고 기다리니 쉬엄쉬엄 가야할 듯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꼬마열차에서 본 아우라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밀을 속 껍질째 갈아 까뭇까뭇한 가루를 여러 번 치대며 반죽을 해 제물에 삶아 내는 데 국수발이 하도 쫄깃쫄깃해 들여 마실 때 국수꼬리가 콧등을 친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콧등치기 국수를 아우라지 역 앞 이름 모를 식당에서 한 그릇 씩 먹고 나니 금세 4시가 가깝다. 오늘은 자개골 입구까지만 걷기로 했으니 대략 2시간 내외면 될 터이지만 아직은 해 떠있는 시간이 짧기만 한데다 산골짜기 길이라 서두르지만 오만 군데 여행 정보지에 담긴 구절리 레일바이크 구경을 빼놓을 수는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하자개에 도착하니 시간은 5시밖에 되지 않았는데 어째, 날이 흐려서인지 아님 산골이라 해가 짧아서인지, 벌써 어둑어둑하다. 서둘러 쉬어 갈 곳을 정해야겠는데 전화를 돌려보는 곳마다 방이 없다는 둥, 겨울에는 민박을 하지 않는 다는 둥 마땅치가 않다. 여기서 더 가봐야 별 뾰족한 수가 있는 것도 아니고 어떻게 해서든 머물 곳을 찾아야 할 텐데,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전화를 돌린 동신하우스라는 민박집 아주머니께서 두말없이 일단 올라오란다. 빈방은 없지만 자기 자는 곳 한켠에서 잔다면야 돈 안 받아도 된다는 말과 함께. 어찌 마다할까.
 
민박 집 앞에서 아주머니를 부르니 집 뒤편 이층으로 오르는 계단으로 아주머니가 내려오시는데, 아주머니를 따라 2층 거실에 들어서니 생각지도 못했던 강아지 새끼 네 마리가 우리를 반긴다. 고약한 발 냄새가 나는 발목을 번갈아 휘어 감으며 킁킁 냄새를 맡는데 대략 난감이다. 그래도 씩씩하게 우리 집인 양 번갈아 가며 따뜻한 물에 목욕까지 하고 나와 곧 다가올 정월 보름을 앞두고 몇 가지 나물을 했다며 내준 저녁밥을 두 그릇씩 얻어먹고는 아주머니 자식 자랑에, 남편 흉보기에, 우리들 여행이야기에, 밤이 깊어간다.
 
  
 
둘째 날, 악천고투, 빗속을 뚫고 봉산재를 넘어 진부로(2007년 3월 2일)
 
정선의 자개골과 평창의 신기를 이어주는 옛 길은 전에는 오솔길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가파른 길을 다소 돌아가거나 차가 다닐 수 있도록 길을 넓혔다고 한다. 하지만 정선쪽 자개골쪽이나 평창쪽 신기리쪽 어느 곳에서 길머리를 잡든 포장되지 않은 흙 길을 걸을 수 있는데다 마을 사람들 이외에는 인적을 찾아보기 어려우니 길을 걷는 맛만큼은 여느 길보다 좋다. 하지만 오지마을이라고 할 봉두곤리가 겨우 흔적을 알아볼 수 있을 만큼 지난해 수해로 큰 피해를 입어, 구절양장 이어지는 산길을 걸어 올라가는 발걸음만큼이나 마음 또한 무겁기만 하다.
 
6시, 멀리 봉산재 위로 햇살이 퍼진다. 혹여 아주머니가 깨실까 조심조심 세면을 하고, 옷을 갈아입고, 문을 열고 나서니 햇살위로 먹구름이 하늘을 덮는다. 어제 저녁 뉴스에, 기상청 예보에, 비가 올 거라 들었고, 마침 비옷까지 준비를 해오기는 했지만 아주머니로부터 지난 해 수해 이야기를 들었던 차라 조심조심할 수밖에 없다. 일단 봉산재 아래 상자개와 봉산리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대광사까지 가보기로 한다. 물론 비 내리는 모양이 범상치 않다면 바로 발길을 되돌리기로 하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하자개에서 상자개를 거쳐 대광사까지 이르는 동안 다행히 비는 내리지 않는다. 하지만 곳곳에 계곡 물로 길이 끊겨 있어 흔적을 겨우 찾을 수 있는 옛길을 걸어야 하고, 때로는 발목까지 차가운 계곡 물에 담가야만 길을 이어갈 수 있어 무척 힘이 든다. 급기야 대광사를 지나 봉산재 아래 하늘마을 봉산리에 이르러서는 흔적 없이 사라진 마을이 길을 막아 다리에 힘이 쭉 풀리고 만다. 준비해간 지도에는 다리며, 아무개 집이며, 휴양지관리사무소며, 봉산분교며 이것저것 표시도 많지만 대광사와 봉산분교터와 마을 표석과 봉산리 마을 입구 성황당만이 제자리를 지키고 있을 뿐이다. 허참.
 
봉산리에서 시작된 긴 오르막길에 접어들자 빗방울이 조금씩 굵어지기 시작한다. 비야 대광사 못 미쳐 한두 방울 떨어지기 시작해 아무렇지 않지만 모처럼 만난 흙길 때문에 되려 발걸음이 무겁다. 그래도 조금 쉬고 조금 오르고 또 조금 쉬고 조금 오르고 하며 한참을 오르니 어느새 고갯마루다. 올라온 길을 뒤로는 하얗게 눈 덮인 두루봉이 코앞이고 내려갈 길 앞으로는 역시 하얗게 눈 덮인 박지산이 코앞이다. 이제 서울에선 보기 힘든 눈 구경에 잠시 마음이 들뜨기도 하지만 잠시 숨만 고르고는 곧 길을 나선다.
 
봉산재 옛길에 대해 알려주는 여러 정보에 의하면 신기리까지는 대략 2시간 정도면 될 듯한데, 빗줄기는 더 굵어지지, 핸드폰은 터지지 않아 시간은 알 수 없지, 길은 갈수록 진흙탕 길이지, 오가는 사람 하나 볼 수 없지, 기온은 떨어지지, 준비해 온 간식은 다 떨어졌지, 막상 신기리에 도착하니 어째 하루 종일 걸은 듯하다. 그야말로 악천고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절양장 봉산재 옛길을 걷다>
 
가까운 곳에 청심대(淸心臺)가 있으나 둘러보지 못하고 신기리 마을 입구 버스정류장에서 쏟아지는 비만 잠시 피하고는 또 바삐 걸음을 옮긴다. 이젠 걷는 다기 보단 그저 발을 앞으로 내딛을 뿐이다. 멀리 진부가 손에 잡힐 듯 보이지만 막상 도착하고 나니 아까 쉬었던 곳에서 1시간을 넘게 또 걸어야 했다. 파김치 몸을 이끌고 체면도 없다. 처음 눈에 들어온 중국집에 들어서니 몸과 방바닥이 어느새 하나다. 그렇게 누워 한쪽 벽에 걸린 시계를 보니 시계 바늘이 3과 12에 걸렸다. 자개골에서 7시에 출발했으니 꼬박 8시간을 쉬지 않고 빗속을 걸은 셈이다.
 
* 열여덟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 첫째 날 : 아우라지에서 자개골 입구 하자개까지 약 4km. 걸은 시간 1시간 30분.
- 둘째 날 : 아우라지에서 봉산재를 넘는 옛길을 따라 신기리까지 여기서 다시 59번 국도를 따라 진부까지 약 30km. 걸은 시간 8시간.
 
* 가고, 오고
증산에서 아우라지를 왕복하는 꼬마열차는 오전 9시, 오후 2시 두 차례 정선에서 출발하는데, 청량리에서 오전 10시 출발하는 무궁화 열차를 이용하면 내린 곳에서 오후 2시에 출발하는 꼬마열차로 갈아 탈수 있으니 이편을 놓쳐서는 안 된다. 진부에선 대관령 너머에서 오는 시외버스가 잠시 들렀다 서울로 오는데 꽤 자주, 그리고 늦게까지 있다.
 
* 잠잘 곳
자개골 입구 하자개에는 산수갑산, 동신하우스, 자개골민박 등 민박이 몇 있으나 겨울철에는 민박을 하지 않으니 미리 사전에 확인을 해야 하며, 이곳을 지나 봉산재를 넘어 신기리까지는 민박은커녕 민가조차 없으니 단단히 준비해야 한다. 신기리쪽은 신기리에서 진부까지 1시간 거리니 진부쪽에서 숙박을 하면 편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9/06 13:18 2010/09/06 1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