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우길 ① 향호 바람의 길을 걷다(2012년 5월 19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4년 만에 다시 이사를 했다. 춘천보다 더 춥고. 밭뙈기는 더 구경하기 힘든 곳으로. 첫 느낌은 황량하고 삭막함. 앞뒤로 서 있는 산 때문에 느낀 갑갑함은 좀 더 나중에 든 느낌. 그래도 녹지 않을 것 같던 앞산 눈도 녹고. 과연 꽃이 피기나 할 까 했던 뒷산 벚나무에 벚꽃이 피는 5월이 되니. 한결 낫다. 정 붙이이려면 아무래도 또 시간이 걸리겠지만. 그래서일까, 전보다 더 자주 바깥나들이에 나선다. 다행히 한 시간만 열차를 타고 나오면 바닷가라. 게다가 재작년 겨울에 멈춰선 곳, 소돌에서부터 다시 길을 걸으려고 하니. 이런, 바우길이 여서 시작하니 말이다.

 
바우길은 얼마 전 새로 정한 16구간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를 포함한 바우길 이외에도. 울트라 바우길, 계곡 바우길, 대관령 바우길이 있다. 7번 국도를 따라 걷다보면 매양 바닷가를 끼고 바다만 본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위쪽 고성에서 시작되는 해파랑길과 아래쪽 영덕 블루로드, 그리고 여기 강릉 언저리를 에둘러 가는 바우길을 거쳐 간다면. 자칫 단조롭고 지루하다고 느껴질 동해안 바닷가 길 걷기가 새삼 재밌으니. 시간에 쫓겨 걷는 길이 아니라면 천천히 다 둘러봐도 좋으니.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향호를 중심으로 향호저수지를 끼고 산길을 돌고 돌아 주문진 해수욕장으로 되돌아오는 13구간 향호 바람의 길 역시. 호숫가를 빙 둘러 걷기도 하고, 개구리가 놀라 논으로 뛰어드는 농로를 걷기도 하고, 갑자기 나타난 산만한 개에 놀라 주춤, 아카시아 향이 코를 찌르는 언덕길을 오르락내리락, 여기 이 길이 맞나, 싶은 숲길을 헤매기도 하다, 눈만 껌벅이며 요란하게 울어대는 소들을 뒤로 하고, 솔향기 가득한 솔 숲길에 취해 정신없이 걷다보면. 어느새 푸른 바다와 향호가 보이니, 딱 좋을 수밖에 없다.
 
또 “태백 산지의 동해 사면을 흐르는 하곡의 계류와 동해안의 바닷물이 만나는 지점에 향나무를 묻고 미륵보살이 다시 태어날 때 이 침향으로 공양을 드릴 수 있도록 해달라는” 옛 이야기와 “향골의 천년 묵은 향나무를 아름답고 맑은 호수 아래에 묻었는데, 나라에 경사스런 일이 있으면 향호의 침향(沈香)에서 빛이 비쳤다고 한다.”는 향호라는 지명의 유래를 찾아가는 재미와
 
동해사면에서 흘러드는 담수와 동해바다의 염수가 혼합돼 있어 하천과 향호가 만나는 곳에는 수문을 만들었으니 이를 찾아보는 재미며, 경치가 뛰어나 호숫가 여기저기 취적정(取適亭)이니 강정(江亭)이니 향호정(香湖亭) 같은 정자들이 있었다고 하는데 또 이들 자취를 짚어가는 재미, 향동・향호동・향호리・향호교・향호저수지와 같은, 모두 향호로부터 영향을 받아 이름 붙여진 마을과 다리, 호수를 걷는 재미가 있으니. 부러 찾아서 걸을 만도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향호 - 안정례
한걸음 향했던 설레임의 발자국도 지워지고
낮게 깔린 어둠에 무게는 떨쳐낼 수 없는 그리움으로
붉게 물들어버린 지금
버티다 버티다 이제 갈 길을 돌립니다.
 
눈감아도 젖은 모습 저만치서 내 그리운 사람이
웃음 지며 서있던 그 자리 한 바퀴 돌고나면 있으려나
기약 없는 약속을 마음에 새기고 돌아서는 등 뒤로
낮 익은 음성이 들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우길 안내 책자에 따르면 13구간은 15km정도라는데. 대충 4시간이면 되겠거니 했지만. 오르락내리락 고갯길도 많고 또 길 절반 이상이 산길이라. 처음 바닷물에 발 담그고 놀다 출발했던 모래사장으로 돌아오니. 시간도 생각보다 많이 걸렸고 몸도 꽤나 노곤하다. 마음 같아선 주문진 방파제까지 내쳐 걸어 등대까지 보고 싶지만. 오랜만에 걸은 발이 무겁기까지 하니. 여섯 번째 걷기에서 멈췄던 곳, 소돌에서 허기진 배를 채우고는, 저만치 오는 강릉 시내버스에 또 그렇게 오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석호는 사주나 사취가 발달해 만 입구가 좁아짐으로써 생기는 해안지형인데요. 가장 큰 것은 함경남도 동남쪽 함주군과 정평군 사이에 있는 광포(廣浦)로 주위가 14㎞에 달한다고 합니다. 남쪽에는 강릉의 경포(鏡浦), 주문진의 향호(香湖), 속초의 청초호(靑草湖)와 영랑호(永郎湖), 고성의 삼일포(三日浦), 송지호(松池湖), 화진포(花津浦) 등이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석호는 육상과 해상의 점이지대로 다양한 생물종이 분포하고 멸종위기동식물과 천연기념물이 서식 하는 등 생태계 보존을 위한 중요한 지형입니다. 하지만 보존은커녕 난개발로 인한 훼손이 심각하지요. 또 외래 어종이 다수 발견되는 등 생태계 지형에도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경포, 청초, 영랑과 같이 도심지 내에 있거나 가까이에 있는 석호들은 그 훼손 정도가 심하다고 합니다만. 시멘트로 막혀 있는 청계천을 살아난 생태하천이라고 하는, 4대강 살린답시고 삽질해대는 그런 정부에서 복원과 보존 사업을 한다고 하니. 석호도 그런 꼴 나지나 않을까 걱정이 앞서는 건. 기우(杞憂)이길 바랄 뿐입니다. 
 
* 일곱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바우길 13구간 향호 바람의 길 약 15km.
 
* 가고, 오고
태백에서 강릉을 가는 길은 삼척을 들러 가는 시외버스와 바닷가를 따라 달리는 기차 두 가지가 있다. 기차는 시간도 적게 걸리고 재미도 쏠쏠하지만 하루 다섯 차례밖에 없기 때문에 시간 맞추기가 쉽지 않다. 반대로 시외버스는 언제고 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2시간 반 넘게 차를 타고 가야 한다는 지루함이 있다. 굳이 호불호(好不好)를 따진다면 값도 저렴하고 재미도 있는 기차가 낫지 싶다.
 
* 잠잘 곳
걱정 붙들어 맨다는 말이 딱 맞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7/24 19:51 2012/07/24 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