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동트는 산맥』은 충청도 지역에서 활동했던 동학군 이야기입니다. 7권이나 되는 긴 책인 만큼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을 합니다. 그 중에는 한양에서 문둥이네 한약방을 하며 조정과 왜, 청의 움직임을 살피는 한문현이란 이도 있는데요. 어느 날 한문현 처사에게 신정엽이라는 단양 보부상대 행수가 찾아옵니다. 청풍 성두한 접주로부터 총 일백 정을 구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상의하러 온 것인데요. 신행수는 몸에 병을 얻어 눌러 앉았던 터라 떠꺼머리의 등에 업혀 왔습니다. 일이 일인지라 한 밤중에 찾아와 대문을 두드리며 숨넘어가는 말로 계암선생이 왔다며 한문현을 찾는데. 한약방에서 일을 거드는 애녀석이는 이를 아는지 모르는지 늑장입니다.
 
“의원님 계신가?”
“주무시니 잠시만 기다리시우.”
숨넘어가는 소리를 내어도 애녀석은 내 알 바 아니라는 듯, 남의 속이 터지도록 느릿느릿 말을 받았다.
“지금, 병자의 숨이 넘어가네. 싸게 좀 기별해 주게!”
“아따 말하는 사람의 숨이 먼저 넘어가겠소. 좀 기다려 보시래두요. 진맥을 하실는지나 모르겠소.”
“그러면, 계암 선생이 왔다는 말 좀 전하게.”
“우리 나리께서는 선생이 아니라 정승이라도 진맥 못 할 사람은 못 하오.”
아이가 흥글방망이같이 대꾸하고 서 있으니 사내는 애녀석이 어깃장을 놓는 줄을 알아서 더 말하지 아니하였다.
- 『동트는 산맥 6』, 채길순 지음, p.155
 
흥글방망이놀다 : 남의 잘 되어가는 일에 심술을 부리고 훼방을 하다.
 
겉으론 못마땅한 듯했지만 내심 자기네들이 하고 싶었던 말을 해줘서 겉으론 속 시원하다, 했을 사람들로서는 아쉬웠을 겁니다. 턱 하니 앉아서 꾸벅 인사하고 제 할 말만 늘어놓기만 해도 받아쓰는 데 도가 트고 왜곡하고 짜깁기 하는데 선수인 보수언론들이 열심히 퍼 나르며 옹호하고 나섰고. 보훈처는 확인도 안 된 것을 가지고 보도 자료까지 내 놓으며 흥글방망이같이 나섰는데 말입니다. 하지만 뭐 어떻습니까. 덕분에 고노담화 재검증도 묻어 넘어가는 모양새고. 공항철도는 소리 소문 없이 팔리게 생겼고, 전교조는 법외노조로 내몰렸고. 그렇게 ‘세월호’를 잊지 않겠다던 외침들도 어느새 잠잠해졌으니. 이미 제 할 일을 다 하고도 남을 만큼을 한 사람에게 그네들은 아마도 박수를 쳐주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물러나면서까지 그렇게 뻔뻔할 수가 없고, 후안무치가 아닐 수 없는데도 말이지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6/24 17:01 2014/06/24 1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