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늘 1만명이 넘는 북한군이 러시아 동부에 파견됐고, 그 중 대다수가 (러시아) 서부 끝 쿠르스크주로 이동해 러시아군과의 전투작전에 관여하기 시작했다고 확인할 수 있다.”
12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북·러가 새 조약 비준절차를 끝냈는데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을 받은 베단트 파텔 미국 국무부 수석부대변인이 “우크라이나와의 잔혹한 전쟁을 지속하기 위한 병력을 구하려 북한에 의지하기로 한 러시아의 결정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관여의 수준과 범위’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다만, 파텔 수석부대변인은 “러시아군은 북한 병사들에게 야포, 무인기, 참호 제거를 비롯한 기본적 보병작전을 훈련시켰는데 이는 최전선 작전에 필수적인 기술”이라고 밝혔다.
“북한군을 활용해 전장에서 성공할지는 러시아가 북한군을 그들 군대에 얼마나 잘 통합할 수 있는지에 크게 달려 있다”면서 “그들이 극복해야 할 도전의 일부는 상호운용성, 지휘·통제, 그리고 통신”이라고 짚었다.
그는 “미국은 이것의 함의와 이러한 사태에 관해 동맹 및 우방과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되풀이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유럽으로 향했으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유럽연합(EU) 측과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북한군을 포함한 러시아군 5만명과 쿠르스크에서 싸우고 있다’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주장에 대해서는 “우크라이나가 제공한 평가는 우크라이나가 말하게 두라”면서 “우리는 북한군 1만여명이 러시아 동부에 파견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대꾸했다.
이에 앞서, 12일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러시아와 북한이 조약을 양쪽에서 함께 발효시킨 것은 국제사회가 보기에 흠결 없는 제도적 절차에 따라서 당사자 간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의도가 아닌가”라고 분석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은 여러모로 볼 때 국제법적으로 그리고 우리의 안보의 측면에서 볼 때 대한민국이 수수방관할 수는 없는 입장이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해서 계속 관련국들과 협의를 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특사단은 언제 방한하는가’는 의문에 대해서는 “준비는 마무리돼 가고 있”으나 “우리가 지금 일주일 넘는 다자외교 일정을 떠나야 되기 때문에 귀국한 이후에 특사단을 받는 것으로 우크라이나 측과 조율을 하면서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고 대답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페루 리마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11.15~16)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14일 출국한다. 페루 공식 방문,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 참석한 뒤 21일 새벽 귀국한다. 김건희 여사는 동행하지 않는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