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에서 찾기BL의 심오한 세계

14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4/11/07
    토리비토 히로미 센세(4)
    뎡야핑
  2. 2004/09/29
    야마다 유기 상~~(2)
    뎡야핑
  3. 2004/09/07
    야오이 예찬(2)
    뎡야핑
  4. 2004/09/03
    블랙퍼스트 클럽 - 아케미 타카이도(2)
    뎡야핑

블랙퍼스트 클럽 - 아케미 타카이도

그림에 대해서 가장 감동적인 부분은 손가락과 머리. 여러 각도를 잡는데 최소 단발이라도

긴 머리 주인공이 꼭 등장하므로 그 머릿결을 쓸어내리는 섬세한 손가락이 섹시하다. 긴 머리와 손가락의 에로틱 2중주- 야오이의 미덕을 고루 갖추었다.

한국에 들어온 작품 중에 초기작이라 생각되는 트립 씨리즈 특히 1권 때는 그림이 엉성했다. 얼굴은 예쁜데 벗은 몸은 나무토막. 지금 블랙퍼스트 클럽 5권에 와서는 엉덩이랑 발이 완벽하다. 그림이 더욱 아름다워졌다. 하지만 허리는 아직도 나무토막.

 

<블랙퍼스트 클럽> 총 5권

며칠 되지도 않았는데 도어 투 도어는 기억이 안 난다. 4권까지 엄청 흥미진진하게 보았고,

5권 나온 거 알고 참지 못 하고 아침부터 갔다 읽었는데 에이... 내가 기대한 대로 안 되니까, 쩝.

 

3년간 좁은 기숙사 방에서 룸메 생활을 하며, 가까워진, 서로 잃고 싶지 않은 두 친구가 사랑하게 되는 이야기이다. 공은 머리가 길고 머리가 좋고 재미있고 자유롭고 세계 평화를 기원하는 섬세한 사람이다. 수는 이성애자로, 동성애에 대해 아무 개념이 없는 사람이다. 그래서 편견도 없고, 노말은 안 건드린다는 공의 말을 믿고 친구로 잘 지낸다.

근데 어느 날 목욕하던 수가 쓰러져 다른 친구가 구해 주는 장면에서 맨살이 맞닿아 있는 걸 보고 아찔, 가장 친한 친구인 수를 사랑의 대상으로 보게 된 것이다.

 

내가 관심 있는 건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어느 쯤일까인데. 이 작가분의 다른 만화에도 나오듯이 너무 진한 우정은 사랑과 종종 혼동된다. 수는 우정이다. 명백히 우정이다. 공을 잃고 싶지 않다. 공은 곁에서 친구로 못 지내겠다고 한 10년 쯤 안 만날 생각을 하는데, 그거 반칙이얌-_- 그렇게 세게 나오면 수는 어떻게 해야 하지? 잃고 싶지 않은데, 삼촌 장례식장에 갔다가 우정을 잃고 싶지 않은 마음이 더 간절해졌는데. 공의 의도는 아니지만 선택의 여지를 없게 했다.

 

이럴 때 지극히 평범하고 호모에 대해 약간 두려움까지 가진 남자들은 우정을 포기할 것이다-_- 그러나 이 수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 섬세하다. 외롭다. 당근 받아들일 줄 알았어-_-

 

근데 나는 5권을 조마조마 보고 싶어한 것이, 이 수가 결국은 안 되겠다고 하지 않을까, 했는데.

갈수록 수의 역할에 익숙해지는 것이.. 6권도 나올 것 같다. 6권에서 제발 헤어져라!

이 커플을 매우 좋아하므로 질투로 이러는 게 아니다=_= 어쩔 수 없는 게 있는 건데. 에잉

 

음.. 그 1권만 보고 말았던 트립 씨리즈 세 권짜리도 다시 봤는데 2권이 너무 좋다 좋아!

아아~ 그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이여~~ 이여~~ 

농구 얘기랑 배우 얘기가 너무 좋구나. 이 작가님은 뭔가 아슬아슬하고 섹시하다. 어떻게 생긴 손일까??

 

작가의 야오이渡 : ★★☆☆☆ ->야오이 작가라기보다 퀴어물 작가같다. 이 작가의 만화는 야오녀 말고 누구나 볼 수 있는 만화다. 다만 동성애에 편견있는 사람 사절






출처 : 네픽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

이정애의 <일요일의 손님>

정준영의 만화 읽기 - <일요일의 손님>

 

이정애의 작품은 당혹스럽다. 동성애를 연상시키는 중성적 분위기의 등장인물들 탓은 결코 아니다. 그림체가 일본 동성애 만화와 다소 비슷하더라도 그 의도는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사실 동성애를 그리고 있다 한들 무슨 상관이람!). 나를 어지럽히는 것은 지적인 듯 하면서도 매우 감성적이고, 환상과 현실이 어지러이 교차하는 소재와 플롯. <일요일의 손님>에 실린 단편들이 특히 나를 괴롭힌다. 이정애는 도대체 무얼 말하려고 하는 것일까?

 

그러나 어지러움증을 느끼면서도 나는 여전히 이정애를 팽개치지 못한다. 다소 고생스러운 반성을 통해 엿볼 수 있는, 순수함에 대한 추구가 자꾸만 나를 작품 속으로 끌어들이기 때문이다. <열왕대전기>가 조금 과도했고 <루이스 씨에게 봄이 왔는가>는 조금 나이브했다면 <일요일의 손님>에서는 순수함에 대한 집착이 균형 있게 응축되어 있는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그 밑바닥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은 바로 사랑. 이정애가 애써 찾아 헤매는 것은 순수한 사랑의 의미인 것이다.

 

너무 진부하고 통속적이라고? 그러나 그 사랑을 성장이랄지 인간의 본질적인 존재조건과 결부시킨다면 더 이상 성급한 판단을 하지 않게 될 것이다. <성홍열>이나 <쁘띠 샹카라>가 그리고 있듯이 성장이란 본래 세속화이기도 하다. 어린 시절의 따뜻하고 충만한 세계를 상실해 버리고 차갑고 외로운 세계로 진입하는 것 말이다. 이 외로움을 떨쳐 버리기 위해 우리는 다시 나를 채워 줄 누군가를 찾아 헤맨다(<블루 타키온>, <살인광 시대>, <익살스러운 사냥>). 그래서 이정애의 주인공들은 즐겨 과거에 고착되어 있다(<일요일의 손님>). 또는 그 과거는 엉뚱한 모습으로 생각지도 않았던 곳에서 나를 습격한다(<용왕의 근심>, <블루 타키온>, <익살스러운 사냥>). 처음 만났을 때 나는 그것들의 의미를 이해할 수 없지만 그들과의 교감을 성취해냈을 때 나는 비로소 내 존재의 외로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정애의 중성적 인물들은 사랑의 세속적 의미에 휘말려 들지 않고자 하는 그의 전략이며 세상과 불화하는 인물을 표현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용왕의 근심>과 <익살스러운 사냥>에서 이정애는 계급이나 소수집단과 같은 사회학적 요소로까지 그의 관심을 확대시키지만 작품에 미만해 있는 감성 탓에 별로 성공적이었던 것 같지는 않다. 그래서 아홉편의 작품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성장의 문제를 직접 다루고 있는 <성홍열>과 <쁘띠 샹카라>이다.

 

386세대인 이정애(그는 1963년생이다)에게 1990년대는 세속의 세계였는지 모른다. 누군가는 그 변화를 성장이라고 얘기하겠지만 그것은 또한 상실의 과정이기도 한 것. 그 득실에 대한 평가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나는 실이 훨씬 더 컸다는 것에 주저없이 한 표를 던지고 싶다. 그래서 아마 나는 이정애를 결국 던져 버리지 못하는 것 같다.

 

 

출처 : 한나래 홈페이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