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노동자와 과학철학 IV
- 해민
- 2017
-
- 4차 산업 혁명 관련 자료
- 해민
- 2017
-
- 왜 양자역학에서 봄(Bohm...
- 해민
- 2016
-
- 무기력...
- 해민
- 2016
-
- 맑스가 사랑한 미분(수학)
- 해민
- 2014
한국사회에서 정말, 모처럼 재미있는 논쟁이 아주 작게.(물론 그냥 끝나 버릴 수도 있을 듯.. 아주 작게) 시작되고 있다. 바로 다윈의 진화론 관련... 물론 이 논쟁은 <<지적 설계론>>과 관련된, 시시 껄렁한 논쟁이 아니다. (이런 시시껄렁한 논쟁을 다룬 다큐)
최종덕 교수가 작년(2009년) 다윈 200주년, <<종의 기원>> 150주년을 기념으로 한국 학자 4명(전방욱, 강신익, 임지현, 김시천)과 대담을 진행한 적 있다.
이 대담은
최종덕교수 홈(무료) : 일부-->오른쪽<<동영상으로 읽는 인문학>> 클릭
artnstudy site (유료) 에서 볼 수 있고,
또 진보평론 41호(아직 미공개) 에서도 볼 수 있다.
* 진보와 진화: 철학사의 조명(최종덕)
* 진화와 진보(홍성욱)
* 진화-진보 담론의 빛과 그림자(강신익)
* 동양학과 진화론: 전통 유교담론과 진화론 내러티브의 진보적 재구성(김시천)
* 헛발질하는 말들의 폭력: 다윈을 재판하는 그리스도교의 헛발질에 대해(이정희)
최종덕 교수는 이러한 성과를 모아 <<찰스 다윈, 한국의 학자를 만나다>> 라는 책을 내었다.
아직 구입하지는 않았지만 정말 기대된다.
더욱 기대되는 것은 서평에 대한 논쟁이다. 이 책에서 최종덕교수의 대담에는 (아쉽게도) 주류학계를 장악하고 있는 사회생물학, 진화 심리학 등등의 학자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주류를 소외시켰기 때문일까? 아니나 다를까 그 반응이 "짜증을 내며" 나왔다.
1.
2.
장대익의 서평에 답한다…다윈이 지식 권력의 수단인가?-최종덕
3. 대한민국은 왜 '통섭'에 홀렸나?-강신익(2010, 10. 16 up)
http://pressian.com/books/article.asp?article_num=50101015150941-
스티븐제이 굴드(1) 사후, 이러한 논쟁을 오랜만에.. 그것도 윌슨의 제자들의 글만 볼 수 있는 한국에서 볼 수 있어 정말 기대된다.
참, 이참에 책한권을 더 소개하면.. 양자역학의 좌파라 불러도 될만한 <<데이비드 봄>> 의 책도 나왔다. 오호~~ 우하하하~~ [[전체와 접힌 질서]] ~~ 근데 언제 다 읽어 보냐.. ~~ ㅋㅋ
아주 간단히 봄을 소개하면, 양자역학이 인과론을 부정한다고 했는데, 그 인과론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양자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아인슈타인의 숨은 변수이론과는 다른 ) <<숨은 변수>>이론을 내놓았고, 아직 그의 이론은 주류들 틈에서 살아있다(아인슈타인의 숨은변수이론은 기각됨). 이때 주류란 보어-하이젠베르크로 이어지는 양자역학의 코펜하겐 해석을 따르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외 비주류로는 아인슈타인-슈레딩거-드모르강-데이비드 봄 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물리학 교과서는 거의 100% 주류 이론만을 다루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데이비드 봄은 후기에 인도철학에 관심이 있었지만, "사회 변혁에 관심을 가진 원자 물리학자"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특히, 이 번역자인 이정민교수는 데이비드봄을 포함 , 양자역학의 역사와 철학에 대한 전공자라, 앞으로 그의 책들이 기대된다.
굴드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아래글 참조
댓글 목록
어깨넘어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어깨넘어 바둑은 급수가 없다.난 어깨넘어 바둑 출신이다.
반둑판과 돌 흑과 백기사는 정형화 되어있다.
정형화된 틀은 바둑판과 돌이다.그리고 정형화는 두기사의 기풍의 계보이다.
계보는 창조라기 보다는 기풍의 연혁의 수정과 보완이라고 말할수 있다.
바둑판의 승패의 변수는 이러한 정형화 된 틀에서 두기사의 계보의 수정과 보완에 대한 순간의 수읽기가 "창조"라는 힘으로 변수가 드러나는 것이다.
즉 승패가 결정되는 것이다.
대중은 그에 따라서 유행과 모방을 심취하게 된다.
종의기원을 읽어 봐야 하겠다고 생각한적 있었다.
그 책을 훔치기도 했었다.하지만 끝내 읽지는 못했다.
왜 이책을 읽어야 한다는 고민을 했을까?
그것은 시대와 사회상의 존재로서 먹고사는 현실, 현장과 사회 경제와 정치에서 다윈의 과학적 지혜는 순간 순간 삶의 선택에 있어서 필요한 지혜작용의 한 방편이라고 생각했다.
말하자면 인간의 기원 인류의 상호공존 공생에서..... 하느님은 멀리 볼것도 없이 나르호 발사를 보면 하느님이 어디 계신지 분명하게 말할수 있다.
물론 나르호는 우주궤도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하느님이 계신 하늘나라를 보여 주었다.아마도 하느님이 계신 하늘나라의 계산은 나르호가 상승할때 대기권 그 어느층에 계신 것이다.
99마리 양보다 나를 생각하는 목사님과 신부님께서는 이런말을 하는 나를 하느님에 대한 모독이라고 빰을 치겠지만.....(분명히 말씀 드리지만 어느분의 말처럼 1마리의 양은 길을잃은 것이 아니라 길을 떠났다)
그래도 나는 프란치스코의 평화의 기도는 하나님이라고 생각한다.
용산참사의 현장에서 과학적 인식과 철학의 세계관을 가진 뛰어난 사람도 그 어떤 사회주의자도 의지의 일관성에서는 비과학적이었다.
가장 과학적인 의지는 바로 신부님 목사님 수녀님들 민중이었다.
그렇다면 과학이란 무엇인가?
혹시 과학이 하느님이 아닐까?
다윈의 종의기원이 하느님이 아닐까?
사회주의는 하늘나라가 아닐까?
왜 과학자들이 변혁론자들이 민중의 현장에서 하느님의 아들보다 못한가?때문에 어깨넘어 바둑은 고민하지 않을수 없었다.
위 논쟁의 점화에서 그것이 우리사회에 과학적 유용성 민주주의에서 오늘의 역사공간에서 인간이 인간을 지배하는 반문명과 권력에 대하여 새로운 파장을 일으킬 것인가?
일단 지켜볼 일이다.
하지만 과학적 세계관이란 분명히 말하지만 사회민주주의에서 하느님 처럼 인간의 인식과 실천에서 결정론적인 군림이 있었다는 것이다.
동양의 과학적 인식은 우주적이라고 생각한다.그럼에도 서양의 과학적 인식은 그 우주의 공간에서 관계의 총체적 인식은 아니고 각론적 과학이다.이러한 부류가 과학의 총제를 지배하는 전문적 인식이다.
아마도 다윈의 발견하고 증명한 여러종들은 여러 종의 사회들의 과학적 표상이다.하지만 이것이 그 여러종을 벗어난 무한한 종들의 우주적 관계의 표상에서는 과학적 근거 지혜작용은 하지만 다윈이 표상하지 못한 未題에 대하여 그 세계의 존재와 관계는 과학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한계로서 과학의 유용성은 자리매김 되어야 할 것이다.
마치 과학이 모든 인식과 실천의 방법론에서 인간의 진보 사회진보를 질곡한 것이 어쩌면 과학이라는 도그마로서 문혁의 불행이 있다고 보며,동시에 사회주의권의 붕괴의 단초라고 생각이 든다.
위 논쟁에서도 물론 사회생물학적 방법론의 지혜는 우리사회가 나아가는 과학적 인식과 실천의 유용성에서 각 생물들의 진화의 우생적 활용보다 보다 인류적이고 사회민주주의로의 진화 진보에 있어서 더 관심이 가는 것이다.
그러나 과학이라는 1이라는 숫자에서 3-2=1, 2-1=1 그 증명은 분명 과학적이어야 한다.그럼에도 이것이 인간의 사회진보운동에서 과학적이라는 것이 신으로 군림한 적은 없는가?
과학적인 인간도 인간이지만
비과학적 인간도 인간이다.
사회진보에서 과학적 방법론은 모든 방법론을 지배하는 우생학적 반문명적 DNA이었다.
그 DNA는 사회주의권 민중들이,소련사회 민중들이,오늘이 시대의 민중들이 싸워 이겨 내었다.
동시에 자연과학의 우생학적 DNA가 그때의 하느님으로
신자유주의 공간을 지배하는 DNA때문에 하지만 우리는 다른세계로의 DNA가 있다는 사실에....
박물관장!
해민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19세기 - 20세기 근대 과학의 문제는 "과학(혹은 이성, 혹은 사회주의) = 신(절대 진리(이성))"이라는 '잘못된' 인식이었지요. 지금은 그러한 오류를 극복해 가는 과정이구요. 이 과정은 아직도 남아 있는 "신"을 배제(극복)하는 과정이기도 하지요.어깨넘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난1.信을 저주해요,특히 과학....
"질량보존의 법칙"은 순-거짓!(질,량은 시간에 변한다)
2.神을 배제하기 보다는 포용하죠
이것이 있기에 저것이 있고
있다고도 할수없고 없다고도 할수없다
해민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당신의 "신"에 대해서는 관심이 별로 없습니당~어깨너-머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하나님께 기도 할께요, 잘살아요 박테리아!해민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감사~ 덤으로 별명까지~~ 천국가실겁니당~나루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관련 책들 꼭 보고 싶네요. 임지현 교수가 저런 논쟁에 참여한 게 저로서는 조금 의아했는데, 관련해서 어떤 가시적인 성과물을 가지고 있는 분인지요?해민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책은 제가 아직 읽지를 않아서 뭐라 말씀드리기 그렇구요. 동영상 강의와 진보평론글은 그냥 편하게 듣고 읽고 해서 잘 기억은 안나지만,대략, "진화=진보" 라는 근대적 개념의 극복에 대한 이야기구요~ 그리고 사회생물학(혹은 환원론)에 대한 '간략한' 비판들, 특히 기억에 남는 것은 김시천 교수의 본성과 양육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이부분은 개인적으로 참조할 부분이 많이 있었습니다. (소소하게, 맑스가 다윈에게 자본론을 기증했다는 말에 대한 진위여부.. 뭐 이런것도 재미있더군요)
그러나 기대했던 것은 굴드 사후 사회생물학이나, 진화 심리학이 자신의 논리를 보강하면 발전과 변화를 했는데, 이 학문의 흐름을 집어내고, 그에 적절한 비판이 있었으면 했는데 아쉽더군요. (이 점이 아마도 장대익 교수를 삐치게 했다고 생각합니다. 장대익 교수의 글을 보면, 비판이라고 보다는 좀 삐쳤다는 느낌이..)
자세한 이야기는 저도 책을 사서 다시 정리해봐야 할듯합니다.
그런데 질문하신 내용이, 임지현교수와의 대담이 어떤 성과물이 있다는 것인지, 아님, 최종덕교수님에 대한 것인지 잘 몰라 그냥 위 대담에 대한 이야기를 적었습니다.
임교수님과의 대담은 맑스의 헌정에 관한 이야기 외에 기억나는 것이 없습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