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역사적 공산주의의 인간론

<민족간 평등, 개체의 자유가 소외되지 않는 사회와 세계의 존재형식>

 

우선 존재론적 의미에서 역사지리적 다원주의에 근거한 민족성으로부터 관계적 평등이 도출된다. 이러한 존재론적 전제 하에서 개체의 자유가 비로소 '역동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역으로 보편주의적 사회론에서는 개체의 자유가 '정태적인 것'으로 제약된다. 양자 사이에 지식 작용의 차원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공동체간의 관계적 평등은 다원주의라는 원리에 의해 뒷받침된다. 다원주의는 보편주의적 기원론 및 목적론에 비판적이며, 관계성의 맥락에서 상대주의를 실천적으로 극복한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개체의 자유는 '차이'에 근거하지만, 이 '차이'는 '역사' 안의 차이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외부 모순과 연동되어 내부 모순의 근거가 된다. 이 모순에 근거해서 민중이라는 운동적이고 주체적인 개념이 도출된다.

 

cf. 개체의 자유를 '보편주의적 자유'=인권(권리)론적 자유(계급, 성...)=소유론적 자유로 이해할 경우, 이는 기본적으로 원자화된 개인이라는 철학적 존재론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는 관계론과 차원을 달리하면서, 공민(시민)적 자유와 궤를 같이 하고, 정치적으로 대의제(의회제)로 귀결된다. 이와 같은 틀에서 '反특권'은 항상적 주장으로 제기되지만, 이는 여전히 '(평등적) 소유론'에 불과하다. 특히, 지식의 문제와 관련해서 보면, '엘리트주의'와 '포퓰리즘'의 동일성이라는 기제가 핵심적이게 되는데, 이 기제가 작동되는 장역에서 '지식'은 모두의 지식 또는 지식인만의 지식에 머물게 된다. 이러한 원자론적 개인을 전제로한 권리론은 매우 反봉건적이고 현대적인 것 같지만, 사실은 '현대'라는 가상 속에 인간의 능동성과 주체성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본래적이면서 다원적인 관계적 존재성을 부정하게 된다. 

 

아마 안티고네에 대한 연극평이 확장되었던 글에서 아마 '역사적 공산주의'를 언급하지 않았던가 싶다. 역사적 '공산'은 바로 관계론적 인간론이자 역사론을 함축하고 있었다. 따라서 관계론적 인간론은 권리의 주체가 아니라 공유의 주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간에 대한 평등론은 당분간 유보시켜야 할 지도 모르겠다. 평등하게 존재하지 않음에도 평등하다는 '가상'을 제시하는 것은 기만적이고, 평등해질 수 없는 평등에 근거해서 평등을 강제해서는 '자유'로운 주체가 될 수 없다는 의미에서 평등은 폭력적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사실 이러한 평등은 개체 간의 관계성을 제거한 채 공상되는 평등인데, 이것이 실제에 적용될 경우 당연히 매우 폭력적일 수 밖에 없다. 인간을 대상화하고 사물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적 공산주의는 바로 '공유'의 대상이 가지는 역사성에 근거해서 그러한 물질성을 둘러싼 내부의 개체간 관계성의 양식을 다시 찾아 재건하는 운동이었다고 봐야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