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台灣政論 스터디에 뒤따른 단상

1975년 하반기 다섯 번 출간되고 폐간된 월간 잡지 대만정론을 같이 읽는 모임을 광주의 몇몇 지인들과 세 번 진행했다. 이 잡지의 중요성은 훗날 민진당을 비롯한 분리주의적 경향을 갖는 정치, 사회, 문화, 사상의 원시축적과 같은 위상을 가진다는 점에 있다. 물론 이 시기는 당국체제가 아직 완고하게 버티고 있는 중이었기 때문에 이 잡지의 구성원들도 국민당에 비판적인 세력들이 혼거하고 있는 상태이긴 했다. 1976년이 되면 또 다른 분화가 출현하고, 1979년을 거치면서 본격적 분기와 경쟁 구도가 형성된다.

 

이 잡지를 읽으며 드는 단상은 이런 것이다.

 

이 잡지의 국민당 비판의 주된 기조는 자유주의적 정치개혁(선거제도 개혁) 및 사회개혁(교육, 농민, 노동 등)이다. 흥미롭게도 이와 같은 '자유주의'적 개혁의 필요성은 사실상의 중국과의 '분리'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 논리에서 보면 대만이 더이상 중국이 아니게 될 때, '자유주의'적 개혁은 장애 없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대만에서 중국을 지우면 지울수록, 대만은 '자유주의'를 채워넣을 수 있는 '보편'적 주체/대상으로 재탄생한다. 물론 가상적으로 대만은 외부의 힘으로부터 자유로운 자족적 국가/사회 단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보편주의적 맥락에서 '대만' 특수적인 것이 발굴되고 '대만인', '대만사' 등등의 이데올로기가 구축된다. 이는 사실 국민주의적이면서 동시에 식민주의적인 것이기도 하다. '하나의 중국'이라는 원칙만을 반복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나태함과 진부함도 문제이지만, 대만을 중국과 분리하면서 사실상 일종의 '표백'을 거쳐 보편주의의 순수한 대상으로 탈바꿈하는 것도 큰 문제다.

 

대만을 중국적인 것과 분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언어문화, 역사적 생활양식, 지식사상 등등 중국적인 것을 버리면 남는 것은 아마도 이른바 '원주민' 정도일텐데... 결국 '분리주의'는 정치적인 차원에서만 유효하게 의미가 드러날 뿐, 그 바탕을 이루는 것은 '탈역사화'이자 '역사의 무화'이다. 마치 제국주의의 첨병이었던 인류학자들이 '미개'한 지역의 사람들을 연구조사하여 얻어낸 지식들처럼, 대만의 분리주의는 대만의 '식민주의' 엘리트(사실상 제국주의의 지적 대리인)에 의해 서구에 대비해서 발견되는 대만적 특수성/차별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분리주의가 포함하고 있는 '대만적인 것'이 과연 '대만' 민중의 역사와 삶에 기반한 것인지는 논쟁적이게 된다. 사실 이 논쟁은 대만의 '식민' 경험을 일차적 과제로 포함하고 있다. '대만'이 '상해' 또는 '북경'과 달리 하나의 '사회'로 간주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식민(분단)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진정한 탈식민이 아직 도래하지 못했기 때문에 비록 식민성을 지속하더라도 '사회' 단위가 될 수 있고, 동시에 '분리주의'의 기반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0년

2020년...

1月

소속단위를 대만 交通大學 아태문화연구실로 옮김

《思想的分斷》으로 홍콩 《亞洲週刊》2019년 10大好書 수상

신영복 선생의 《담론》 중문판 초역 완료

2月

대만 서평잡지 《OPENBOOK》에 김탁환의 《살아야겠다》 중국어 서평 게재

홍콩 《亞洲週刊》에 봉준호 감독 〈기생충〉에 대한 중국어 평론 게재

6月

陳映真 선생의 모교인 淡江大學에서 중문과 학생 대상으로 陳映真 사상에 대해 특강

《人間思想》에 감염병과 한국 기독교에 관한 에세이 〈疫情中思考韓國基督教的正統與異端〉발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선정(주제: 20세기 동아시아 탈식민주의 사상사)

7月(대만에서 한국으로 이사, 조선대 연구교수 임용)

8月(광주로 이사)

9~11月(연구 자료 정리)

12月

오랜 시간 묵혀두었던 胡秋原 선생에 대한 논문 투고(심사중)

신영복 선생의 《담론》 중문판 《話語:申榮福的最後一門課》 출간 완료

* 이런 저런 인연으로 참여한 프로젝트들이 좀 있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프로젝트가 하나 있고, 대만을 중심으로 중국 대륙, 한국, 일본이 함께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錢理群文集》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동아시아좌익구술사》 작업은 코로나 상황으로 멈춰있다. 내년 여름 IACS 2021 conference가 열리는 싱가폴에 갈 수 있기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0/11/06

- 식민지와 반식민지의 차이, 그리고 지식생산의 조건

일본의 '武'의 문화와 다른 '文'의 문화(溝口)를 특징으로 하는 전근대 동아시아의 권역에서 주변부에 위치한 조선이 가지는 이중성, 500년 지속된 안정성과 소국으로서의 급진성.

유가적 '文'의 문화가 갖는 고유한 특질로서 지식=정치(실천)의 양식,기본적으로 지식은 성찰의 대상이 되지 못함. 

지식의 현대성의 표지는 지식=실천의 고전적 틀을 넘어 지식윤리적 성찰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른바 '사상해방공간').

권역적 위기에 대한 중심과 주변의 대응이 분화됨.

청조에서 중화민국 및 중화인민공화국으로의 혁명과정=국가와 당을 중심으로한 민족혁명.

조선왕조에서 식민지 및 분단체제로의 비혁명적 연속성=국가와 당의 부재하 민중적 민족주의 운동.

전근대적 중국의 다원성, 반식민지 중국에서 비식민지의 존재, 신해혁명... 수천년 동안 외부 없는 자족적 사상체계에 대한 전면적 성찰을 통해 사상사 성립(cf. 백승욱의 논의). 중국 지식문화의 연속적 진화.

조선의 급진성/단일성, 식민지 조선에서 비식민지의 부재, 혁명의 좌절... 지식의 고유한 영역을 만들지 못함. 그러나 지식문화에 각인된 근본적 사유(민중론).

중국 혁명에서 사실상 사회구성체논의의 부재.(비식민지/식민지 등이 공존하고, 동시에 변동성이 큰 혁명적 정세하에 불가피한 측면).

북조선/남한에서 사회구성체와 사회성격을 구분하고 종합하려는 시도(박현채).

- 중국의 지식사상 담론에 접근하기 위한 일정한 유형화를 시도할 필요가 있음. 특히, 錢理群의 작업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전혀 다르게 해석되어야 함.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