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버마: 군사통치와 민족갈등(2)

Name  
   류은숙  (2005-04-26 14:33:22, Hit : 299, Vote : 15)
Subject  
   버마: 군사통치와 민족갈등(2)
버마: 군사통치와 민족갈등(2)
버마 상황에 대해 개괄적으로 알 수 있는 글인 것 같아 앞으로 조금씩 번역해서 올릴 계획입니다.
*출처: Searching for Peace in Asia Pacific, A Project of the European Centre for Conflict Prevention(2004) 313-327


버마 내전은 공산주의와 군부 반란과 더불어 1948년 1월 독립 직후에 시작됐다. 독립적인 Karen 국을 분리하여 세우는 것에 대한 협상이 실패한 후, Karen National Union(KNU)은 1949년 초에 군대를 일으켰다. 버마의 다른 소수민족 집단, 즉 Mon, Karenni, Pao, Rakhine, 그리고 Rakhine의 무슬림들은 뒤따라 무장투쟁을 시작했다. 1960년대 초반에는 내전이 Shan과 Kachin으로도 확산됐다.

1962년 Ne Win 장군이 이끄는 군대가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다. 신 정권은 헌법을 폐지하고, 버마사회주의프로그램당(Buremese Socialist Program Party: BSPP)이 이끄는 단일 정당으로 바꾸었다. 헌법을 보다 연방제적으로 바꿀 가능성을 논의했던 수상 U Nu와 몇몇의 소수민족 지도자들은 체포되어 투옥됐다. Ne Win 장군은 자신의 정치사상을 불교와 사회주의 사상을 혼합한 "버마식 사회주의"에서 개진했다. 1970년대 초까지 버마는 외부 세계와 단절됐고, 모든 대기업, 미디어, 연구소는 국영화됐다. 모든 시민사회 조직은 금지되거나 엄격한 정부 통제하에 놓였다. 정치 야당의 구성원들은 재판을 받았다.

1970년대까지 tatmadaw(버마군)은 악명높은 "네개의 절단"(Four Cuts) 전략을 통해 성공적으로 소수민족 무장세력을 국경지대의 언덕으로 밀어붙였다.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는 이 전략은 무장세력을 민간인과 분리해내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전략은 큰 대가를 치르면서 수행돼왔다. 엄청난 인권침해와 Karen, Kayah, Shan의 수십만명 소수민족을 지난 30년간 이주시켰다.

지배 정당(BSPP)의 정책은 재앙으로 판명됐다. 1980년대까지 경제는 거의 완전히 붕괴됐다. 한때는 세계 최대의 쌀 수출국이었던 버마는 1987년 가장 열악한 개발도상국 지위가 돼야했다. 같은 해에 BSPP는 엄청난 양의 은행권의 유통을 금지시켜 하룻밤 사이에 수백만명의 저축이 휴지가 돼버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버마: 군사통치와 민족갈등(1)

Name  
   류은숙  (2005-04-22 20:30:31, Hit : 246, Vote : 9)
Subject  
   버마: 군사통치와 민족갈등(1)
버마: 군사통치와 민족갈등(1)
버마 상황에 대해 개괄적으로 알 수 있는 글인 것 같아 앞으로 조금씩 번역해서 올릴 계획입니다.
*출처: Searching for Peace in Asia Pacific, A Project of the European Centre for Conflict Prevention(2004) 313-327

버마는 1948년 이래로 내전 상태이고, 1962년 이래로 군사통치 하에 있다. 군사정권은 다양한 소수민족들을 대표하는 무장세력과 전투를 벌여왔다. 군사정권은 또한 노벨평화상 수상자 Aung San Suu Kyi가 이끄는 정치적 반대세력에 대한 탄압을 계속해왔다. 군사 정권이 다수의 소수민족에 기반한 무장세력과 휴전을 맺기는 했지만, 산발적인 전투와 대규모의 인권침해는 계속되고 있다. 민족갈등과 군사통치라는 근본 문제를 평화적 수단으로 해결하려는 지역적·국제적 노력은 아직 결실을 보지 못했다. 2000년 말 시작된 야당 지도자 Aung SAn Su Kyi와 군부간 협상은 지연돼왔다.

1989년부터는 공식적으로 미얀마로 알려진(89년 군사정권이 국가의 공식이름을 버마에서 미얀마로 바꿈) 버마는 동남아시아 대륙에서 가장 큰 나라이다. 버마는 또한 세계에서 가장 민족적 다양성을 가진 나라이기도 한다. 1974년 헌법 이래로, 버마는 7개 주와 7개 소수민족 국가(Mon, Karen, Kayah, Shan, Kachin, Chin, Rakhine)로 구분됐다. 이들 소수민족 국가가 전체의 55%를 구성하지만 상대적으로 큰 규모의 소수민족 집단 일부를 반영할 뿐이다. 신뢰할 만한 인구 통계와 소수민족 통계는 없지만, 군사정권은 공식적으로 "135개 민족"이 있다고 인정하고 있다.
다수자인 버마 민족은 지배적으로 불교도이며, 중앙의 평지와 계곡에 주로 살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인구의 30-40%를 차지하는 대부분의 소수민족은 중심 평야를 둘러싸고 있는 바위투성이의 언덕이나 산악지대에 살고 있고, 여기서 그들은 각각의 특징적인 문화와 전통을 발전시켜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황사가 심한 4월입니다

Name  
   조대환  (2005-04-20 13:13:58, Hit : 353, Vote : 42)
Subject  
   황사가 심한 4월입니다
황사가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오늘 오후에 잠시 남산에 올라가 점심먹고 바람쐬고  벚꽃 보고 오려고 했는데 이 황사속에 웬 궁상이냐는 비판이 있을 것 같아서 생각을 접었습니다.

지난번에 한번 갔을때는 아직 꽃이 피지 않았는데, 이번엔 황사에 비까지 내려서 다 끝나지 않았을까...쩝!

암튼 황사가 앞을 가려도 미래를 불투명하다고 보지 말고 차분하게 희망 잃지 말고 헤쳐나갑시다.

4월안에는 힘들겠고, 5월까지 가면 10명이 늘어나지 않을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가방에 관한 이야기

Name  
   류은숙  (2005-04-18 19:28:34, Hit : 1311, Vote : 39)
Subject  
   가방에 관한 이야기
오랫동안 글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처음 이 만원계 사이트를 시작할 때는 이틀에 한번은 갱신하겠다고 결심했었는데 이런 저런 일 때문에 그게 잘되지 않는군요. 이 사이트가 타이와 버마·타이 국경지역을 중심으로 하기는 하지만 소수민족문제, 이주자 문제, 난민 문제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곳이 될 수 있기를 바랬는데요. 꼭 이 문제와 관계된 얘기가 아닐 지라도 기회 날 때마다 계원 여러분들이 많이 찾아주시고 글 남겨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반드시 글을 올려야지 하면서도, 번역할 엄두가 안나(책상에 쌓인 일 때문에) 예전에 끄적거리다 만 미완성의 글을 올리게 됐습니다.

일명 '가방'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참세상의 필진참여 요청에 얼떨결에 응하고, 또 칼럼의 제목을 정해달라는 요구에 얼떨결에 '가방'이라는 제목을 지었다. 내가 인권단체에서 일하기 때문에 인권분야에 관련된 글을 써달라는 것이 분명할 텐데 '인권'을 넣어 제목을 짓지 않은 까닭은, 오랜 경험이지만 '인권'을 넣으면 소위 작명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딱딱하고 암울하고 매력없는 그런 제목이 되기 십상인지라 책이나 자료집 제목, 행사제목을 정할 때도 항상 '인권'은 소제목에 가서 붙지, 큰 제목에 붙는 일이 별로 없다. 현실에서의 인권의 지위와 처지와 마찬가지다.

그래서 나는 처음부터 '인권'을 제쳐놓고 제목을 고민했다. 그리고 아무 생각없이 '가방'이란 제목을 붙였는데, 옆에 있던 동료가 꿈보다 좋은 해몽을 했다. '언니, 좋아요, 세상에 '가방'없는 사람은 없으니까, 인권을 상징하는 거 맞죠?'
그말을 듣고 보니 사람들이 들고 있는(또는 가지지 못한) 각양각색의 가방이 떠올랐다

내가 초등학교 6년 내내 들고 다녔던 가방은 6학년이 되자 옆구리가 찢어지기 시작했다. 어머니가 새가방을 사주지 못한다는 걸 알고 있던 나는 집에 있는 실과 바늘로 그 두꺼운 고무가방을 꿰매어 들고 다녔다. 그리고 꿰맨 쪽을 항상 몸에 붙게 들어서 남이 보지 못하도록 했다. 그러다가 나머지 한쪽 옆구리가 터졌을 때는 어쩔 수 없이 남이 보아도 어쩔 수 없이 실로 꿰맨 가방을 들고 다녀야 했다.

당시 화장품 외판원 일을 하시던 어머니는 하루는 집에 오시더니 이런 얘기를 했다. 버스에서 어떤 아가씨가 어머니 가방을 들어줬는데 가방이 하도 더러워서 손수건을 깔고 무릎에 놓아서 너무 무안했다고 했다. 365일 그 가방을 들고 일을 나가야 했던 어머니는 가방을 세탁할 생각도 시간도 없었다.

가방보다는 보자기로 싼 보따리를 들고 다니던 때, 멋쟁이 아가씨이던 이모는 절대로 보자기를 드는 법이 없었다. 이모는 핸드백 외에는 손에 아무것도 들지 않는 사람이었다. 나도 아가씨가 되면 그렇게 될 것이라 내심 생각하곤 했다.

오랜 세월 사상을 이유로 감옥에서 인생을 보내야 했던 한 장기수 선생님은 가족에게도 잊혀졌고, 출소 후 쓸쓸이 돌아가셨다. 그분의 가방이 오랫동안 사무실 귀퉁이에 있었다. 언제라도 가족이 찾으면 유품으로 드려야 한다고 누군가 맡아가지고 있는 것이었지만 아직까지 그 가방을 찾으러 온 사람은 없었다.

대학 신입생이 되던 해, 나는 과외아르바이트란 걸로 난생 처음 큰 돈을 만져보면서 여대생에 걸맞는 멋진 디자인의 빨간색 가방을 샀다. 그리고 그 가방을 들고 교보문고를 지나 미대사관 앞을 지나다가 가방 좀 보자는 전경들의 요구에 순순히 가방을 보여주었다. 겉으로만 만져보던 전경은 속도 봐야겠다고 했고, 지퍼를 열어서 가방 속을 샅샅이 보았다. 나는 아무 부끄럼 없이, 가방을 열어 보여주었다. 부끄러운 일을 부끄러운 줄 몰랐던 때, 공권력이 요구하는 일에 스스럼이 없던 때였다.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에서 만든 난민인권홍보용 포스터에는 다양한 사람 모형이 가득차 있다. 그리고 그속에서 난민을 찾아보라고 한다. 저마나 손에 무언가를 들고 있지만, 빈 손으로 서있는 사람, 그 사람이 난민이라는 설명이다. 삶의 터전을 빈손으로 떠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 바로 난민이다.

인권교육을 하면서 자신을 이주노동자라 생각하고, 가방을 꾸려보라 했다. 초과요금을 물지 않을 정도의 가방을 상상으로 꾸려보라 한다. 사람들은 저마다 여권, 가족사진, 카메라, 비상약품, 좋아하는 음악 CD등을 그 가방속에 넣는다. 그렇게 사람들이 가방을 꾸리고 나면 가방속에 넣어갈 수 없는 것을 찾아보라 한다. 소위 시민권이란 것, 인권이라는 것은 그속에 하나도 없다.

인권이란 가방은 어떤 것일까. 정작 가방을 챙길 수도 없고, 가방을 가졌으나 필요한 게 들어있지 않을 수 있고, 제각기 능력대로만 가질 수 있고 꾸밀 수 있는 가방이라면 인권이란 이름이 붙을 수 없을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핌에게서 온 소식

Name  
   류은숙  (2005-04-12 10:58:50, Hit : 218, Vote : 38)
Subject  
   핌에게서 온 소식
핌이 최근 벌이고 있는 활동에 대해 알리는 메일을 보내왔습니다. 대략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에 Ler Per Her 학교(예전에 소개 드렸던 난민어린이학교)에 다녀왔다고 합니다. 이런저런 일들로 아주 바쁘다고 하네요.

최근 계획하고 있는 일은 타이의 중산층 독자들을 겨냥한 잡지발간이고, 목적은 그들에게 이주자, 난민, 소수민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이고 배포지역을 확대하고 싶다고 합니다.

둘째, 읽기공부를 하는 어린이들을 위해 카렌족 언어로 된 교과서를 발간하는 것입니다. 이 교과서에는 아동의 권리와 관련된 문제와 카렌 민족의 전래동화같은 것을 실을 계획입니다. 카렌 어린이들이 자신들의 문화와 환경과 더불어 인권문제를 생각할 수 있도록요. 이 교과서는 난민과 타이-카렌 둘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입니다. 난민촌내의 학교 말고는 교과서도 없이 공부해야 하는 어린이들이 많다는군요.

셋째, 난민과 이주자의 권리와 타이 법률과 관련된 비디오제작; 이 비디오들은 3-4분짜리로 짧게 만들어서 이주자와 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가라오케나 비디오 극장에 배포해서 노래부르기나 영화 중간에 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랍니다.

그리고 저희가 보내는 월 150달러 정도의 후원금은 국경지대에서 활동하는 자원활동가들의 경비로 쓰이고 있다고 합니다. 사실 한 사람의 활동비가 월 250달러 정도라 하니 저희가 보내는 돈이 한 사람 분이 아직 되지 못합니다. '잔인한' 4월에 '놀라운' 일이 벌어져서 10명이 한꺼번에 늘기를 기대해 봅니다. 벌써 4월이 1/3이 지나갔네요. 시간은 왜 이리 빨리 가는 것일까요? 만원계 여러분 모두에게 기억에 남는 4월이 되시길 바랍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년 4월 1일 후원금 송금내역

Name  
   류은숙  (2005-04-01 11:29:38, Hit : 229, Vote : 39)
Subject  
   2005년 4월 1일 후원금 송금내역
오늘 송금한 후원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꽃샘추위도 가고 진짜 봄을 느껴볼 때가 왔습니다. 목련과 진달래, 개나리, 전에는 흔하게 보였던 것들인데 시멘트 건물 사이로 이런 꽃들을 찾아보기가 어렵네요. 춘곤증을 너무 미워하시지 말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봄을 만끽하시는 이번달이 되시길 바랍니다.

2월 잔액: - 6,074원
3월 2일 김태* 1만
           유해* 1만
          조대* 1만
          김나* 1만
3월 7일 황수* 1만 5천
3월 11일 김재* 1만
3월 17일 김예* 1만
3월 25일 이민* 1만
3월 28일 이민* 1만
             구태* 1만
3월 29일 류재* 3만
3월 31일 류은* 1만
---------14만5천원

4월 1일 송금 150달러+수수료 5천원=158,255원
잔액(-19,329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날씨가 좋아요.

Name  
   나윤  (2005-04-01 10:53:18, Hit : 280, Vote : 12)
Subject  
   날씨가 좋아요.
오늘은 날씨가 참 좋네요.
제가 일하는 사무실은 그늘진 곳에 있어서
4월이 시작되는 지금까지도,
아직 쌀쌀합니다.


바깥보다도 사무실이 더 추워서,
어제까지도 발치에 난로를 켜두었는데
오늘은 틀지 않아도 따뜻하네요.


며칠간
"대체 봄은 언제 오는 거야?"
라는 말을 달고 살았는데, 오늘은 봄인것 같네요.^-^


아침에 류은숙님이 올려두신  Chana Damnoen님의 글을 읽었어요.


들으려고 애쓰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듣고 싶다.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뭔가를 갈구한다.


그래서 소리칠 장소를 찾는다.
소리치는 동안만이라도 고향에 있다고 느낄 만한 곳 말이다.


'들으려고 애쓰지 않으면 듣기 힘든' 언어들 속에 둘러쌓여 있는 것이,  어떤 느낌일까를, 그래서 '소리치고 싶은것'은 어떤 심정일까를, 잠시 생각해보았는데- 가슴이 좀 먹먹해지네요. 이 표현이 맞는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가입한 후로 게시판에 종종 들르긴 하지만, 흔적은 잘 남기지 않는데 저도 여기에 있어요.^-^ 모두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주자의 외침

Name  
   류은숙  (2005-03-29 15:21:22, Hit : 278, Vote : 28)
Subject  
   이주자의 외침
이주자의 외침(Migrants' Outing)

글쓴이: Chana Damnoen

외치고 싶다!
라디오, 텔레비전, 디비디, 이메일, 전화에는 대답이 없다.

옷을 차려입고 밖으로 나간다.
누군가와 얘기 나누고 싶고
활기찬 활동들을 보고 싶지만
고향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

익숙하고 친근한 생활의 냄새를 갈구한다.
들으려고 애쓰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듣고 싶다.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뭔가를 갈구한다.

그래서 소리칠 장소를 찾는다.
소리치는 동안만이라도 고향에 있다고 느낄 만한 곳 말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새로 들어오시는 모든 분께!!

Name  
   조대환  (2005-03-22 13:16:21, Hit : 289, Vote : 22)
Subject  
   새로 들어오시는 모든 분께!!
축하와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이제 잎새가 나고 꽃피는 계절이 옵니다.
언제 한번 얼굴보러 모이는 자리한번 만들어야할까 보네요.

만원계! 만명까지 모아 볼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Malee와 Mi Nge이야기 (2)

Name  
   류은숙  (2005-03-25 14:16:19, Hit : 221, Vote : 26)
Subject  
   Malee와 Mi Nge이야기 (2)
Malee의 가족은 가난하고 땅이 전혀 없어요. 그녀 부모님은 허드렛일과 물고기 잡는 일을 해요. 그런데 큰 댐이 건설됐고 물고기가 줄어들었어요. 그래서 부모님은 Malee에게 학교를 관두게 했고 그녀를 파타야(타이의 관광지 중 하나)로 보내려 했어요. 그건 마치 돈을 빌리고 딸을 그 댓가로 일보내는 것과 같았죠. 저와 같은 경우예요. 운좋게도 누군가가 그 부모에게 집주인을 소개해서 돈을 빌릴 수 있게 됐고, 그래서 Malee가 이 집에 일하러 오게됐어요. 집 주인은 Malee를 학교에 보내줬지만, Malee의 어머니가 빚을 많이 져서 Malee는 그걸 갚기 위해 일해야 했어요. Malee는 늘상 가족 때문에 힘들어했죠.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었어요. 단지 Malee가 누워서 쉬도록 하고 얘기를 나누고 TV를 보면서 농담을 하는게 다였죠. 그녀는 나에게 친절했고 타이말을 가르쳐주었지만 내가 너무 못따라했어요. 내가 외출하고 싶을 때는 데리고 다녀줬죠.
타이 노동자들이 나를 좋아하는지 아닌지 잘 모르겠고, 신경쓰지도 않아요. 내 자신이 그런 문제를 겪어보지 못했으니까요. 나는 옆 집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고 사탕같은 것을 나눠먹어요. 하지만 경찰은 우리를 싫어해요. 그들은 우리를 체포하고 싶어만 해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