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사람과 닮은 글을 보고 싶.

어떤 이의 글을 보면, 글을 쓴 사람에게 나도 모르게 호감을 갖는 경우가 있다.

좋은 글은, 말 그대로 나를 기분 좋게 만든다. 그리고 너무 자연스럽게 그 글을 쓴 사람조차 나를 기분좋게 만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 그렇게 되면 기분이 더욱 좋다. 나는 글을 통해 그 사람을 제대로 이해했으며 어쩌면 동지나 친구나 기타 등등의 의미있는 관계를 만들어갈지도 모르니까. 이런 사건은, 인생에서 몇 안되는 신나는 일 중에 하나다.

 

그런데 글과 그 사람이 다를 때가 있다.

그러니까, 글이 느무나 훌륭하셔서 글쓴 사람도 꽤나 훌륭할 거라고 착각을 할 때가 있는 것이다. 나의 경험상, 훌륭한 필자들과 대면하게 되었을 때, 몇몇은 글이 사람의 형상으로 되살아난 듯한 경우가 있었다. 그렇지만 전혀 그렇지가 않은 경우도 있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중  몇몇은 상상을 뛰어 넘는 못되 쳐먹은 놈들(대부분 남자들 그것도 맑시스트로 자처하는 놈들이었다.물론 남자 아닌 인간들도 있지만.)이 글솜씨만 좋은 경우다.

- 글 줄이나 써대서 관심 끈 다음에 자신만의 할렘을 만드는 그런 족속들은 그 옛날 모뎀통신시절에나 많은 줄 알았더니 지금도 여전히 많다. 사실 이런 상황들이야 말로 머리에 먹물들었다는 것과 지혜나 판단력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관계도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예이기도 하다.

 

처음에는 이런 괴리가 좀 체 이해가 되지 않았다.

글이 그 사람의 전부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무렴 글쓴이와 글 사이에 실오라기 같은 공통점이 없을라고? 저런 흔적을 남긴 뇌의 어느 구석에는 분명 훌륭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을까? 이런 질문들하면서 어떻게든 글과 사람을 이어보려고 노력 하는 와중에도 내 눈이 썩고 귀가 썩고 인생이 썩어간다. 그런 인간과 공간을 공유하는 것만으로..

 

이쯤 되서야 나는, 내 속물적 바램인 능력숭배를 점검하게 되는 게다. 어떤 이를 좋아할 때 그 사람이 가진 능력을 좋아하는 거하고 ,그 사람하고 구분을 못하는 그런 병 말이다. 이것의 증상은, 특정한 능력을 숭앙하는 내 자신이 그 능력을 가진 사람을 좋아하게 되는 거다. 사실 이걸 굳이 구분 안 할 수 있으면 가장 좋은데 그런 분리가 필요할 때가 있다. 안 그러면 정말 낭패다. 왜냐하면 그 글은 그냥 쓰레기인데 내가 거기에 목매달 수 있기 때문이다. 완전 헛소리인데 거기에 목숨걸 수 있기 때문이다. 글쓴이가 했던 이야기들, 단지 글을 풀어나가는 솜씨에서 나온 것이었기 때문에 글쓴이의 인생, 철학, 삶의 태도와 아무런 관련이 없을 수 있는데 혼자 괜히 오바하는 희망을 걸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론 글쓰기를 그냥 능력으로 받아들여야 할 때 조금 슬프다. 글쓰기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소통을 할 수 있으면 좋겠는데, 그게 다가 아니라는 생각 때문에 항상 경계를 늦추면 안되기 때문이다. 그건 나를 피곤하게 만든다.

 

그래서 왠만하면 글이, 그 글을 쓴 사람하고 닮아있으면 좋겠다. 그럼 정말 소통한다는 느낌이 들테니까. 그럼 조금은 희망적으로 신나는 일을 할 용기가 생길테니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