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허진호

실수로 약속장소에 1시간이나 먼저 도착해서 어쩔 수 없이 이번 주 <씨네21>을 열심히 읽었다.

허진호 감독 인터뷰 기사가 실려있었다.

허진호 감독, 하면 떠오르는 시간이 있다.

 

2005년 여성영화인축제에서 <엄마...>를 상영했었다.

그 때 나는 gv를 위해 하돌을 업고 갔었다.

상영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동안 자료집을 읽었다.

그리고 내 영화에 대해 평론가가 쓴 글을 보았다.

그 기분은 지금까지 잊혀지지 않는다.

'사이코 드라마 또는 피학적 노출극'이라는 그 글은 읽는 내내 내 심장을 후벼팠고

나는 울고 싶을 정도로 서러워졌다.

"그녀들은 기괴하게 엉겨붙어 연민과 체념을 연대로 착각하며"

라는 문장을 읽을 때에는 내가 영화를 못 만들어서 엄마와 언니까지 기괴하게 만들어버렸구나...

미안하고 죄스러웠다.

 

gv를 위해 하돌을 안고 객석 앞으로 나갔을 때

거의 비어있는 좌석들 앞 자리에 한 남자가 앉아있었다.

방금 읽은 글 때문에 나는 초라했고 불쌍했다.

거기다 아기까지 안고 있어서 비참했다.

앞자리의 남자는 내내 삐딱하고 차가운 눈빛으로 나를 쏘아봤다.

나는 그 남자가 나를 한심해한다는 걸 느꼈다.

그 남자의 얼굴이 기억 속에 깊이 박혔다.

 

이번 주 <씨네21>에 나온 허진호를 보니 그 때 그 시간이 화르륵, 생생하게 살아났다.

그 남자가 허진호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중요한 건 갑자기 그 시간들이 화르륵 살아온다는 거다.

 

<친구>를 만들고 나서 나는 카메라가 권력이라는 걸 알았다.

내가 미워했던 사람은 관객들도 미워했다.

내부 시사회 때 "네가 00를 미워하는 게 느껴져"라는 말을 들을 때 그러니? 하고 웃고 넘어갔지만
관객들과 만난 후 나는 내가 큰 일을 저질렀다는 것을 알았다.

 

미영은 말한다.

"내가 생각할 때 영화를 만들 때 '용기'가 있는 것은

찍기 어려운 어떤 대상을 찍었는가의문제가 아니라

영화를 만드는 자신을 영화 속에 과연 얼마만큼 드러내는가의 문제인 것같다"

감독이 '나'를 등장시키는 게 단지 스타일의 차용이나 노출증 때문은 아니다.

나는 절대자가 아니라는 것.

당신(관객)이 보는 것은 감독인 내가 만든 세상이니 의심하고 회의해주기를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권력자로서의 나는 싫은 거다.

 

나는 네번째 영화에 이르러서야 내 등장인물의 안위를 걱정하고 있다.

주연이든 조연이든, 심지어 엑스트라든 그들은 스스로 세상 속에서 주인공인데

나는 내 영화 속에서 비중을 정한 후 각자의 캐릭터를 만든다.

나의 기준으로 내러티브를 만들고 그렇게 퍼즐맞추기를 한다.

내가 좋아했던 방식.

 

그런데 지금 나는 그게 하기 싫은 거다.

내가 본 세상을 당신에게 보여주고 싶지만

절대자의 위치에서 그렇게 하고 싶지는 않은거다.

메시지를 위해 예의를 포기해야하는 건가?

내가 그럴 자격이 있는건가?

 

그래서.....용기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중이다.

 

당신들을 보이는 만큼 나도 보이는 게 동등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거울을 보면서 매무새를 다듬는 것처럼 나는 솔직하지 못하다.

위선이거나 위악이거나.

그래서 불편하다.

나를 숨기고 나의 카메라가 벽에 붙은 파리가 되어 조용히 바라보기만 한 것처럼

내가 예전에 좋아했던 그 방식 그대로

그렇게 만들고 싶다는 유혹에 자꾸 빠진다.

 

부산에 갈 것이고

가서 눈이 빠지게 영화를 볼 것이고

그리고 돌아와서 열심히 내 영화를 만들 것이다.

그 때까지 정리해야할 문제.

내가 본 세상을 어떻게 당신과 나눌 것인가

지금 나의 절실한 화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