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출산드라

그녀는 뚱뚱교 교주.

그녀가 여신(혹은 여교주)이라는 점이 중요한 것은 바로 여성들의 몸과 마음, 성애를 신적인 위치에 올려놓음으로써 그동안 파괴되어온 여성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기독교 등의 가부장제의 종교에서 신을 하나님 아버지라고 부름으로써 남성을 신격화해왔던 것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된다. 서구의 가부장제는 하나님 아버지라는 신성에 튼튼히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백인 남성들에게는 그들이 하는 일이 신의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남성들이 만든 법률, 지식, 제도, 문화 모든 것이 자연의 섭리니, 운명이니 하면서 강요되어 왔고 특히 유교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왕과 신하의 관계로 유추하고 있지 않은가.

 

그녀의 이름은 출산드라.

 중국 고대 설화 '도산씨의 설화'에서 하(夏)대를 창업한 우는 도산의 딸과 부부의 정을 맺어 계라는 자식을 보게 되는데 우 임금의 아내였던 도산씨는 야합혼을 했다는 이유로 버림받는 비극적인 인물이다. 하 나라의 임금이 길 가다 만난 여자와 정을 통하고 아이를 낳았다는 사실은 유교적 지배계급의 논리에 전혀 맞지 않았으므로. 도산씨는 이후 에로스적 본능을 발산하는 여우로, 요물로 변신하게 되며 부정적인 현상으로 재구성된다. 남성 중심의 성적 욕망은 여성과 여우/요물의 이미지를 결합시키고 완벽하게 자애로운 어머니, 풍요로운 모성과 대립시킨다. 여기서 여성의 몸은 여성의 것이 아니다. 여성들에게 그녀의 손은 가족을 위해 일하는 손, 그녀의 가슴은 아들을 먹일 젖, 그녀의 질은 새로운 생명을 위한 것이다. '출산드라'에 따르면 여성은 열심히 먹어 '자연분만'을 해야 하고 '모유수유'를 해야 한다. 수천 년 전부터 생식, 쾌락, 자기 실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을 즐겨온 남성과 달리 여성의 성은 아직까지도 출산의 영역에서 한정된다. 그녀가 등장할 때 나오는 배경음악이 KBS 드라마 '구미호 외전'의 주제곡이라는 사실은 너무나 재미있는 우연이다.

 

그녀, 여성의 식욕을 말하다.

물론 그녀는 자신의 코너에서 '여성'만의 식욕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식욕의 억제를 강요당해온 것은 언제나 여성이다. 성욕과 마찬가지로 남성의 식욕은 억압되지 않는다. 우리 사회에서 남성의 식욕과 성욕은 통제되지 않는다. 남성의 성욕과 식욕은 무제한적이라고 생각한다. 여성에게 식욕과 성욕은 과도한 욕망이다. 여성에게 식욕은 수치이기에 밤에 혼자 먹는다. 여성의 성욕이 재생산을 위해서만 허용되듯, 여성의 식욕이 찬양되는 시기는 임신했을 때 뿐이다.

 사실 배고플 때 먹고 배부를 때 그만 먹는다면 살이 찌지 않는다. 몸의 신호에 귀 기울여 그에 따라 먹는다면 몸은 알아서 자기 활동량에 맞는 크기로 자란다. 몸의 신호에 따라 먹고 자는데 '살찐' 야생동물을 보았는가. 하지만 많은 여성들은 배가 당기고, 아랫배가 빡빡하다는 등 신체이상이 찾아와야만 배가 고픈 줄 안다. 그러나 그것은 배가 고파 죽을 지경인 것이지 배가 고픈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자기 앞의 접시를 비웠을 때나 허리 단추가 버거울 때까지 먹고 나면 배가 부르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배가 터질 지경인 것이지 단순히 배가 부른 정도가 아니다. 많은 여성들은 정말로 고픈 곳이 어디인가를 구별하지 못하여 외로움과 같은 감정적 허기가 찾아올 때에도 먹으려 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많이 먹게 되거나, 아예 먹지 못하는 여성들이 있다. 대범하고 무뎌서 상처받는 일이 흔치 않고 자기 치유가 빠른 사람들은 많이 먹거나 못 먹는 것에 시달릴 위험이 적다. 결국 여성에게 감정의 고삐를 늦출 수 없게 만드는 범인은 누구인가.

 

'재미'라는 이름의 폭력

나는 사실 많은 언론에서 떠들어대고 있는 것처럼 그녀가 남성중심의 개그계에 '여풍'을 불어왔는가, 살이 쪘다는 이유만으로 수많은 폭력을 감내하고 있는 뚱뚱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이다. '몸짱'들이 거리에 넘쳐나고, '다이어트'가 복음이 되어버린 요즘, '먹다 지쳐 잠이 들면 축복을 받으리니'라고 외치는 '개그콘서트'의 '출산드라'는 가슴 확 뚫리는 한 판 통쾌함을 선사하기는 커녕 오히려 뚱뚱한 사람을 희화화하고 조롱거리로 삼는 듯 싶다. 몸에 대한 관심이 늘고, 섹시한 몸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이전보다 몸을 과시하는 시대가 됐다. 문제는 오로지 한 가지 정답만이 제시된다는 것이다. 뚱뚱한 사람도 있고 날씬한 사람도 있고 마른 사람도 있다. '뚱뚱교'가 마르고 뚱뚱한 것을 넘어 자신의 눈으로 자신을 사랑할 것을 설파하기를 바라는 마음은 '개그'에 대한 지나친 기대일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