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2010/10/17

 

#평범한 삶의 진리.

 

오늘 인천노동문화제에서 생각했던 것.

 

내가 촬영하고 있는 공부방은,

그냥 보기에 정말 평범하고도 평범한 사람들의 무리이다.

 

물론 지역에서 탁아소-어린이집-공부방-지역아동센터로 변화한 곳으로,

(실제로 이 공부방이 이전에 탁아소나 어린이집을 운영하진 않았지만, 인물들의 면면이 그것을 경험하고 지나왔다)

어떤 '지역운동' 이라는 것과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는 않다.

 

근데 사실,

그건 있다.

종일 공부방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정말로 아이들이 와서 공부하고, 선생님들은 공부를 봐주거나 밥과 간식을 준비한다.

생협 물건을 쓴다는 것 말고는 딱히 뭔가 특별해보이지 않는 곳이다.

 

음.

그래서 스스로에게 계속 질문할 수밖에 없었다.

여기서 대체 무슨 이야기를 해야하나? 하고.

 

투쟁이 이뤄지고 있는, 혹은 이뤄졌던 곳의 (기록)다큐멘터리가 작업자의 자기 동력을 생성하면서도 힘들다고 느끼는 것은,

실제로 계속 급박한 일이 벌어지고,

지금의 투쟁의 의미들이 계속 확장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종의 '동지적 관계'로서 스스로도 그 투쟁에 집중하게 되기 때문에 평정을 잃기가 쉽상이다.

쉽상이라기보다는, 처음부터 평정따위는 없다고 보는 것이 맞을지도.(물론 내 경우지만;;)

그래서 거리두기가 참 힘들다.

그러나 그 다큐멘터리가 세상에 태어나야만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물론, 디테일한 부분에서 헷갈리는 부분들은 많겠지만-)

그건 소위 '감독'이라고 불리는 사람, 그 작업자 또한 그 사건, 그 사람, 혹은 무엇이든간에 어쨋든 '그것'에

이미 푹 마음담그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말하지 않으면 안되는 어떤 것.

 

지금 작업을 하면서 나는 사실 꽤 오랫동안 고민을 해왔고, 여전히 하고 있다.

이 곳에서, 이 사람들과 함께 '말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무엇일까? 하고.

 

오늘 노동문화제에서 공연을 구경하는 선생님들과, 아이들을 보면서 그런 생각이 조금씩 다시 기어오르기 시작했다.

 

평범하게 '잘' 사는 방법에 대한 것.

그 '평범하게 잘 사는 것'과, 공부방은 어떻게 연관 지을 수 있는지,

그리고 평범하게 '잘' 사는 것이 과연 무엇인지?

그 숙제를 풀지 못하면 영화는...

 

평범하게 살면서, '잘' 사는 방법.

지금 떠오르는 것은 '편견을 갖지 않는 것', 밖에 생각이 안난다.

선생님들이 은연중에, 생활중에 던지는 한두마디에 녹아있는 그것.

그래서 잡기 힘든 그것들 말이다.

 

음..

근데 사실, 선생님들은

중학생들에게 학생인권운동을 하라고 말하지도 않는다.

고등학생, 이제는 졸업해서 사회인이 된 사람들에게도

어떻게 살아야 한다고 강요하지는 않는 것 같다.

(예를 들어, 회사에 들어간 사람이 있으면 노조에 들라던지....근데; 지금 내가 아는 선에서는 안정적인 '직업'을 가진 청년층은 주변에 없다. 나는 고민하고, 방황하는 청년들만을 알고있을 뿐이다.)

 

흠..

 

편견없이 사는 것, '잘' 사는 것이,

꼭 '투쟁'하는 삶이어야만 하는 것일까?

아니라면 어떤 삶이어야 하는 것일까?

어떤 '태도' 여야 하는 것일까?

 

나는 행동/저항하지 않으면 삶이 바뀌지 않는다고 믿는 사람이다.

아이들에게 더 강력하게(!) 말하지 않는 선생님들을 어떻게 봐야할 것인가.

 

뭐.. 그래도 중요한 것은 역시 '태도' 겠지만..

너무 두루뭉실하고 어렵다-_-;;;;

흠........... 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