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책을 읽은 소감 또는 책읽기를 권하는 글을 싣겠습니다.

3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5/01/21
    수단 항구 (PORT - SUDAN) (1994)
    풀소리

수단 항구 (PORT - SUDAN) (1994)

이 한 권의 책을 권하며.

제목 : 수단 항구 (PORT - SUDAN) (1994)
올리비에 롤랭 지음 / 우종길 옮김
도서출판 열린책들에서 1999년 8월 초판 간행

‘수단항구’는 세상과 사랑하는 여인으로부터 버림받은 사람을 그린 소설입니다. 사랑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이별의 이야기, 단절의 이야기이기도 하지요. 이 소설을 구상하고 집필하면서 내가 염두에 두었던 것은 이 시대와 이제는 더 이상 어울리지 않는 감정, 느낌, 관념들을 지닌 인물을 그려 내는 것이었습니다. ……. 실패한 혁명에 대한 미련과 나르시스적인 향수가 이 소설의 동기는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나는 역사가 진정으로 우리 삶 속에 파고들었던 그 시절, 유럽의 도덕적 몰락을 다 함께 염려하던 그 시절, 살기와 쓰기의 접점을 추구하던 그 시절을 그리워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 작가의 말

위의 글은 이 소설책 맨 뒷장에 나오는 작가의 말이다. 혹 이미 읽으신 분들도 있겠지만 예민한 분들은 읽지 않고 위의 작가의 말만 읽고도 어떠한 소설이라는 것을 짐작하실 게다.

이 소설은 68혁명을 함께 겪은 두 남자와 이후 세대인 한 여자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이다. 한 남자는 혁명실패 후 자청하여 유배를 떠나듯 외항선에 올랐고, 한 남자(A)는 소설을 계속 썼으며, 한 여자는 A를 사랑하다 끝내 그를 버리고 떠나버린다. 외항선에 오른 남자는 더 이상 배를 탈 수 없어 스스로 택한 유배지 수단항구(영어명 Port of Sudan)에 정착한다. 그러던 어느날 A가 죽었다는 소식과 함께 ‘여보게 친구’로 시작하였지만, 더 이상 글을 잇지 못한 그 친구의 편지를 받아보고는 25년 만에 프랑스로 떠난다.

유배.
그렇다 유배다. 우리도 동시에 겪은 유배다.
애국적 사회 진출이다 뭐다 온갖 화려한 수식어가 붙는다고 하더라도 80년대를 몸으로 겪은 사람들이라면 자본주의 사회질서에 편입된다는 게 유배가 아니고 무엇이랴.
수십 년째 내란으로 무정부상태에 빠져 있는 나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무역선이 오고 가기도 어려운, 그 나라 유일한 국제항구. 살인과 폭력이 난무하고, 마약과 인신매매가 횡횡하는 곳. 뜨거운 누비아 사막의 모래바람이 수시로 불어오고, 시체를 찾아 헤메이는 독수리떼가 어슬렁거리는 곳. 이곳이 유배지 수단항구의 모습이다.
여러분은 어떠한가. 현재 그대들이 가 있는 유배지는 어떠한가. 이보다 형편이 좀 나은가.

'여보게 친구’. 그리고 더 이어지지 못한 편지. 자살.
A가 택한 유배지의 삶은 어떠할까.
항구의 사나이는 편지 한 통을 들고 프랑스로 향한다.
‘여보게 친구’ 다음에 썼을 편지 내용은 무엇일까. 항구의 사나이는 생략된 부분을 재구성 해보고자 한다. 재구성해가는 과정, 그것이 이 소설의 줄거리이다.
그러기에 항구의 사나이가 스치는 프랑스에서의 여정은 A가 택한 유배지에 대한 순례이며, 동시에 엄숙한 참배이기도 하다.

‘우리, 즉 A와 나는 약 25년 전(1968년)에 서로 알게 된 사이였다. 우리는 그 당시에 원대하면서도 막연한 희망을 공유하고 있었다. 세상을 변화시켜 보겠다는 그 이상에는 모험으로 가득 한 삶에 대한 기대감이 뒤섞여 있었다. 나는 그 시절을 결단코 경멸하지도 않을 것이고, 그것을 비웃는 사람들에 합류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 후로 갖가지 심각하고 까다로운 일들을 수도 없이 겪게 되었지만, 그 당시 우리의 사전에는 두려움도 시기심도 비겁함도 없었다. 우리는 신을 믿지도 않았지만, 우스꽝스럽게도 부르주아라는 화신을 가진 악마를 신봉하지도 않았다. 우리는 지극히 대담했으며 다감했다. 우리의 젊음을 욕되게 하지 않기에는 그것으로 충분했다. 하지만 이윽고 그것도 끝이 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무기력한 세계가 승리를 거두었고, 그런 세계에 대항하던 우리의 젊은이다운 활력은 이미 고갈되었으며, 다른 시대에도 그랬듯이 절대적인 신념은 정치로 썩어 들어 갔고, 관객들은 뻔해진 싸움의 결말에 박수를 보냈다.’

소설은 이렇듯 기죽을 만치 현란한 수사로 가득한 문장으로 시작한다.
그러나 이책을 다 읽고 나면, 이것은 작가의 문장력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A에 대한 조사(弔辭)임을 알게 된다. 그렇게 이 책은 A에 대한, 한 시대에 대한 조사로 시작된다.

한 때는 모두 한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고 믿었으나, 이제는 황량한 벌판에 추락한 비행기의 생존자들처럼,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서로 노려보며 으르렁거리는 곳. 그곳은 작가의 말대로 오히려 ‘정직’한 곳인가. 연봉이 인격이 되고, 인격이 명성이 되고, 명성이 다시 돈이 되고…. 놀이판은 미친 듯이 돌아가고, 그곳에서 떨어질까봐, 그곳에 끼이지 못해 안달을 하고…. 온갖 외면과 자기 합리화로 떡화장을 하고, 판단을 가진자들의 도박판이 되어버린 여론에 맡겨둔 채 패배가 예정된 싸움일지라도 한 번 싸워보지도, 준비해보지도 못하고 격류에 휩쓸려가는 곳. 혹시, 그곳에…..

그렇다고 이 소설은 결코 정치적인 선전을 담은 팜플렛은 결코 아니다.
예견되었기는 하지만, 동구와 소비에트의 붕괴와 자본의 전 세계적인 승리와 한 놈에게 모두 몰아주자는 신자유주의의 득세는 사회주의자들에게는 넋 놓을 충격 그 자체였다. 1990년대 초반은 그 충격을 추스리는 시기였다면, 이 책은, 그런 충격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우리에게 이제 우리는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야 하는가를 진지하게 묻고 있다.

<2003. 6. 14>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