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저소득층 사망위험 고소득층보다 최대 2.4배

저소득층 사망위험 고소득층보다 최대 2.4배

소득수준별로 최대 2.5배 가까이 사망위험의 차이가 나며 이러한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울산대 의대 강영호 교수(예방의학)는 8일 오전 11시 30분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열린 ‘정책&지식’포럼에서 ‘건강 불평등의 원인과 대책’이라는 발제문을 발표하고, “교육 수준, 직업계층, 소득수준, 재산 등 개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이인 건강 불평등이 증가하고 있다”며 “불평등 수준 비교 연구 등을 통해 이에 대한 정책적 아젠다 형성의 중요성을 일깨워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부모의 지위가 영유아기와 아동기 건강에 영향을 미침을 고려, 사회경제적 위치와 관계없이 아이에서의 건강 위험 요인의 인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발제문에 따르면 건강은 성인기 뿐만 아니라 영유아기, 아동기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데다가 낮은 사회 계층의 경우 아동의 건강 수준 인지와 돌보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게 때문에 사회의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강 교수는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30세 이상 남녀 5607명을 4년동안 사망여부 추적 결과, 교육수준, 직업계층,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가 매우 컸다”며 “소득등급을 4분위로 나누었을 때, 가장 높은 소득등급에 비하여 소득등급이 감소할수록 1.48배, 2.37배, 2.44배로 사망위험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흡연과 폐암의 관계와 같이 건강 위험 요인에의 폭로와 건강 결과가 커다란 시간적 격차를 가지는 경우,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흡연 행태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 2004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98년부터 3년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를 25~64살 남성의 소득을 5분위로 비교분석한 결과, 고소득층의 흡연율은 66.04%에서 58.66%로 떨어진 반면 저소득층의 경우 73.28%에서 73.92%로 오히려 늘었다.

이에 대해 강 교수는 “보건복지부가 사회의 양극화 문제가 부각되면서 건강 불평등 문제를 지속 관리 하겠다고 했지만, 오히려 건강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며 “건강 형평성의 모니터링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할 분야를 찾고 해당 건강 문제에 대한 대책 수립의 근거로 활용,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출처: 헤럴드생생뉴스, 2007. 5. 8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