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18년 고령사회, 2026년엔 초고령사회"

"2018년 고령사회, 2026년엔 초고령사회"

고령친화산업 기반은 취약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지만 고령친화산업의 기반은 매우 취약해 정부 차원의 육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7일 한국은행이 펴낸 `고령친화산업의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고령화 속도가 더욱 빨라져 2018년에는 고령사회,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유엔이 제시한 기준에 따르면 한 국가의 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14%, 20% 이상이면 각각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보고서는 그러나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고령친화제품에 대한 인식부족과 관계 법령 및 제도 미비 등으로 내수 및 공급 기반이 모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또 고령친화산업이 중소기업적 특성을 갖고 있으나 중소기업의 참여가 부진해 연구개발(R&D) 투자 및 전문인력도 부족한 실정이다.

고령친화산업별 현황을 보면 의료관련 서비스업의 경우 중풍 등 중증질환 노인을 수용하는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및 전문병원 수가 2006년 말 현재 153개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급증하는 등 2003년 이후 높은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유료 양로시설과 유료 노인복지주택 등 고령친화 주거관련 서비스업도 매년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반면 고령자용 침대, 신발, 휠체어, 의료기기 등 노인들의 생활과 건강 보조기능을 등을 갖춘 고령친화제품은 인지도가 낮고 영세기업이 많아 성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실제로 고령친화제품의 제조업체 수(177개) 및 종업원 수(3천378명)가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0.05%와 0.1%로 미미한 수준이다.

자본금 10억원 미만인 업체가 89%에 달하며 업체가 소유 중인 지적재산권은 평균 7.5개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고령화 충격을 줄이기 위해 급증하는 고령인구의 신규 거대 수요를 우리 경제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전환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중소기업에 더 적합한 고령친화산업을 활성화할 경우 내수촉진과 고용창출을 통해 지역균형발전을 유도할 수 있고 수출증대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정부가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해 고령친화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출처: 연합뉴스, mbn 등, 2007. 5. 7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