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첩자

'역사를 훔친 첩자' 의 서평기사.

 

고구려는 상당히 이른 시기인 기원 전부터 첩자를 썼다. 중원 왕조나 북방 민족과 국경을 접한 지정학적 조건에서 비롯한다. 고구려는 주변국과의 혼인관계를 첩자 활용의 수단으로 삼거나 승려들을 첩자로 적극 이용했다. 자신의 아내를 첩자로 둔갑시킨 호동왕자, 비수를 식기에 숨겨 적장을 암살해 나라의 위기상황을 타개한 유유, 심리전에 능숙했던 을지문덕, 백제를 멸망으로 몰아넣은 위장간첩 승려 도림, 당 태종에게 사로잡혀 그 이름을 남긴 연개소문의 첩자 고죽리 등 문학소재로 삼기에도 넉넉한 사건과 사례가 적지 않다.


신라는 7세기 이후 고구려와 백제의 협공에 시달리며 생존 돌파구를 모색했다. 그 결과 신라는 당과의 연합을 성사시켰고, 결국 삼국을 통합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일찍이 첩자의 중요성을 인식한 김유신의 구실이 상당히 컸다. 첩자에 관한 한 김유신은 군계일학이었다. 왕의 동생들을 탈출시키기 위해 고구려와 왜로 간 박제상의 행적, 역사의 전기를 마련한 김춘추의 고구려행과 양국간 치열한 첩보전, 젊은 날 고구려에 잠입해 첩보활동을 벌인 거칠부 등 극적인 첩자가 많다.


백제의 첩자 활동이 성공해 신라를 낭패에 빠뜨리고 결국 김춘추를 궁지로 몰아 고구려행을 결행케 만든 대야성 전투 등 중대 사건도 있다. 특히 이 사건에는 신라 내부의 치정관계를 백제가 이용하는 등 한 편의 드라마 같은 요소가 다분하다. 고구려와의 칠중성 전투에서 신라가 패하는 데 결정적 원인을 제공한 신라인 이중간첩 비삽 등도 흥미를 더한다.


첩자와 관련한 백제의 기록은 열악하다. 그러나 백제는 고구려와 수의 2차 전쟁 때 수와 고구려를 동시에 내통하는 줄타기 외교로 국가적 위기를 넘기기도 했다. 왜에까지 첩자를 심어놓는 등 첩자 활용이나 첩보력이 만만치 않았다. 나라가 멸망한 뒤에도 부흥군 조직을 가동, 첩보 활동을 계속했다.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0201969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