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우리집에서 찍은 별줄풍뎅이

우리집에서 찍은 별줄풍뎅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인동덩굴에서 찍은 왕팔랑나비

인동덩굴에서 찍은 왕팔랑나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고치에서 우화한 누에나방과 그 알

고치에서 우화한 누에나방과 그 알 (노란것이 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아빠포충망에 앉아있는 광대노린재

아빠포충망에 앉아있는 광대노린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내가 쓰고 있는 생태관찰일지24

                                           7월3일
요즘 여름꽃이 여기저기 많이 피어나고 있다. 여름꽃은 봄꽃에 비해서 아주 꽃이 크고 화려하다. 요즘 우리집에 피어나는 원추리를 봐도 잘알수있다. 원추리가 그렇게 큰꽃을 피울수있는 이유는 봄에 비해서 햇빛도 많이 내려쬐고 물도 많고 습기도 땅에 습기도 많기 때문에 그렇게 큰 꽃을 피울수 있는 것이다. 원추리의 꽃을 보면 알수있겠지만 원추리의 매개곤충은 제비나비같은 큰나비다. 그 큰꽃에 꿀벌같은 작은 곤충이 날아오면 꽃가루 수정은 커녕 꿀만 축내는 꼴이된다. 꽃을 자세히 살펴보면 하얀무늬 같은게 있는데 그 하얀무늬는 곤충을 유인하는 것이다.

마꽃대가 나왔다. 그꽃대를 자세히살펴보면 동글동글한게 붙어있는데 그게 바로 꽃망울이다.

달개비꽃을 보았는데 윗꽃잎 가까이에 x자 모양의 수술이있다. 그수술은 꽃등에를 유인하기 위한 완벽한 미끼고 그 수술조금 옆에 y자형 수술이하나 더있다. 꽃등에가 x자형 꽃가루에 않아서 꽃가루를 먹을때  y자형수술과o자형 수술이 재빨리 꽃등에의 몸에 꽃가루를 묻히는게 닭의장풀의 수정방식이다. 하지만 오후까지 꽃등에가 않오면 수정을 못하고 꽃이 지는 것이다.
  
산길을 가다가 별박이세줄나비를 보았는데  특징이 다른세줄나비와는 달리 날개끝에 무늬가 없었다. 그리고 날개밑쪽에 별같이생긴무늬가 박혀있었다. 그래서 별박이세줄나비라고 부르는 것 같다.

으아리의 열매가 열매가 열려있는데 끝이 조금 뭉툭했고 구슬같지도 않고 하여튼 부풀어있는 모양이었다.

요즘 백금거미가 계속발견되고 있다. 아마 요즘이 백금거미의 활동계절인가 보다. 그리고 버스정류장에 가다보면 호랑거미가 보이는데 호랑거미는 배가아주 뭉툭한것이 긴호랑거미와의 차이점이다. 긴호랑거미와 호랑거미의 특징은 낮에도 거미줄한가운데 있다는 것인데 그렇게 배짱을 부리는 이유는 숨은띠 뒤에 숨으면 새나 말벌같은 천적들에게 들킬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숨은띠가 없는 대다수의 거미는 낮에는 잎뒤에 숨어서 밤이 되기를 기다린다.


엉겅퀴열매가 열렸다. 꽃은 아주 예뻤는데 열매는 조금 지저분한 느낌이 들었다.

드디어 광대노린재사진을 찍었다. 감격감격^^지난번에는 아빠가 돼지무덤앞에서 광대노린재가 있다고 불렀는데 내가 도착했을 때는 벌써 날라가고 없었다. 이번에도 뒷산 가새뽕나무잎새에서 광대노린재를 보았다.이번에도 사진을 찍을려고 하니까 뚝 떨어져버렸다. 그래서 계속찾아보다가 못찾아서 딱지꽃을 보러가는데 아빠나비채에 광대노린재가 붙어있었다. 그 덕분에 사진을 2장이나 찍었다.(내가 찍은건 전부 무광택형이다)



댕댕이덩굴꽃이 피었다. 꽃대가 세갈래로 갈라지는게 특징이다.

딱지꽃이 피었다. 색이아주 노랗고 꽃이 질때 꽃잎이 말린다는게 특징이었다.

우리집밭에 옥수수가 한창수정을 하고 있었다. 그 꽃밥중에 거미줄에 걸린것도 있었는데 걔들은 영원히대가 끊기는 것이다. 거미줄에 걸린 꽃밥이 너무 불쌍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내가 쓰고 있는 생태관찰일지23

                                                 6월26일
요즘 우리집에 밤이 찾아오면 풍뎅이를 비롯해서 온갖 곤충들이 날아온다. 그 곤충을 잡아먹으려고 청개구리가 찾아오고 요즘에는 우리집이 완전히 청개구리의 사냥터가 되어버렸다. 어제는 별줄풍뎅이도 보았다



쥐똥나무에 쥐똥같이 동그란열매가 열렸다. 이제 조금 있으면 검보라색으로 열매가 익을 것 이다.

어제 비올때 보니까 쑥이 잎사귀를 뒤집어 흰부분을 드러내고 있었다. 쑥은 건조한 환경에서 진화했다. 거기서는 낮에는 덥고 밤에는 춥다. 그래서 잎을 닫아 온도를 조절하고 있는 것이다. 쑥의 잎뒷면이 흰것은 털때문에 하얗게 보이는 것이다. 쑥에서 국화하늘소가 짝짓기하는 것을 보았다.

남천꽃이 피었다. 꽃잎은 하얗고 암술하나에 노란수술5개가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 정말 인상적이었다. 이제 열매가 열릴것이고 우리집 겨울을 빨갛게 장식해줄 것이다.

참나리에 꽃게거미가 앉아 있었는데 꽃에 날아든 곤충을 잡아먹으려는 것 같았다. 하지만 아직 꽃은 필 생각을 안하고 거미는 떡줄사람 생각도 않는데 김칫국부터 마시는 꼴이었다.

아빠가 사향제비나비를 잡았는데 뒤집어 보니까 배끝이 열렸다 닫혔다 하고 있었다. 알이 다 나가서 그런가 보다. 한번 찾아봐야겠다.

우리집 옥수수에 수꽃이 피었다. 자세히 살펴보았더니 마디에 옥수수껍질이 삐죽 나와있었고 잎에는 등얼룩풍뎅이가 한마리 앉아있었다.우리가 흔히 옥수수수염이라고 하는 것은 암꽃에서 나온암술대이다. 다른 옥수수의 꽃가루가 바람에 날려서 암술대위에 내려앉으면 수정이되여 옥수수열매가 되는 것이다. 옥수수는 마디가 있고 속이비고 잎은 나란이맥이기 때문에 벼과식물이라는 걸 알수있다. 옥수수는 원래 아스텍인들이 재배한 곡식이고 콜롬부스가 유럽으로 가져간 다음 중국으로 퍼지고 다시 우리나라로 들어온것이다. 옥수수는 벼,밀과 함께 세계3대 곡식중 하나이다. 벼과식물없이 동물들이 과연 살아갈수 있을까?

돼지무덤에서 올해 처음으로 굴뚝나비를 보았다. 굴뚝나비 수십마리가 날고 있어서 안으로 들어가 봤더니 타래난초가 군락을 이루고있었다. 꼬인듯한 줄기에 꽃이 나선형으로 나있는것이 정말특이했다.
망초꽃에 붉은산꽃하늘소가 앉아있었다. 그리고 그밑에는 분홍색 패랭이꽃이 피어있었다.

돼지무덤뒤 규암에서 솔이끼를 보았는데 솔이끼는 줄기와 뿌리,잎새가 분화된것을 보아 우산이끼보다 더 진화한종이라는 것을 알수있다. 자세히 살펴 보니까 뿌리에 흙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 딱딱한 규암을 어떻게 풍화시킬수 있었을까? 이런 이끼들이 바위를 풍화시켜 흙을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토양층 덕분에 육지에 생태계가 형성될수 있었던 것이 정말 신기하고 대단했다.

산초나무의 꽃이피었다.

그 오리나무는 이제 살아숨쉬는 녹색잎사귀를 찾아볼수가 없다. 오리나무잎벌레애벌레는 하다못해 개암나무에까지 퍼졌다. 그런데 그오리나무는 내년까지 잘 살수 있을까? 계속지켜봐야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내가 쓰고 있는 생태관찰일지22

                                              6월19일
참나리에 꽃송이가 맺혀있었다. 나리는 전부 백합과에 속한고 나리마다 생김새가 다른데 하늘나리같은 경우는 이름 그대로 꽃이 하늘을 향하고 있고 참나리나 땅나리는 꽃이 땅을 향하고 있다.

반하꽃이 피어있었다. 꽃을 해부해보면 알같은게 있는데 거기서 고기썩은 냄새가 난다. 반하의 매개곤충은 파리이며 꽃가루를 묻히는 방법은 고기썩은 냄새를 풍겨서 파리를 유인해 꽃속으로 깊숙히 들어가게 만든다. 꽃속은 바깥보다 따뜻하고 파리가 좋아하는 냄새로 가득차있기 때문에 파리에게는 그야말로 파리에게는 환상적인공간이다. 파리가 분위기와 냄새에 취한 상태에서 정신을 차렸을 때는 출구가 다 닫힌 상태이다. 파리가 밖으로 나가려고 하다가 어쩔수없이 포기할 때 쯤 암꽃이 피면서  꽃 밑에 작은 틈이 생긴다. 그 틈으로 빠져 나갈때 수술꽃가루가 잔뜩붙게 된다.

사상자꽃이 피어있었다. 미나리과에 속하며 키가 1m정도 자란다. 그런데 왜 이름이 사상자일까? 한번 찾아봐야 겠다.

인동덩굴꽃이 거의 노란색으로 변했는데 줄기끝에는 아직 아름다운 하얀꽃이 남아있었다.

삽싸리가 우는 모습을 보았다. 뒤다리를 마찰시켜서 싸르르르르르~ 하는 소리를 내는 것이 정말 특이했다.삽싸리의 특징은 초여름에 많이 볼수 있다는 것이다.

까치수영꽃이 피었다. 밑에는 벌써 열매를 맺었다. 밑에서부터 시작해서 위까지 차례대로 꽃이 피는게 특징이였다.열매의 특징은 길쭉하고 약간 삼각형꼴이었다.

그 길가에 있는 오리나무는 전보다 더 증세가 심해졌다. 잎새도 부족해서가지랑 줄기까지 애벌레의 놀이터가 되어 버렸다. 그 오리나무가 너무 불쌍했다.

산쵸나무가 꽃봉우리를 이제 막 만들려고 하고 있었다. 아빠말을 들어 보니까 미나리과 비슷한 꽃을 피운다고 한다.

노루발풀과 매화노루발풀꽃이 지고 구슬같이 동그란 열매를 맺었다. 그 열매로 한번 구슬치기를 해봐야지

대나물을 보았다. 잎새가 대나무처럼 길쭉~하고 폭이 좁아서 붙여진 이름같다.

산을 내려오다가 고삼꽃을 보았는데 거기서 어리호박벌과 꿀벌을 보았다.

대새풀과 대사초를 보았다.

우리집앞에 채송화가 피었다. 채송화는 오후5시까지 곤충이 날아오지 않으면 자가수정을 한다는게 특징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내가 쓰고 있는 생태관찰일지21

                                                  6월12일
쥐똥나무의 꽃이 거의다 졌다. 그 많던 곤충들은 어디 갔는지 보이지 않고
늦은 꿀벌 한마리가 찾아왔다.

해당화 열매가 열렸는데 구슬만했다.

상사화잎이 반쯤 말랐다. 이제 며칠 지나면 잎이 다 마르고 한여름에 꽃대를 내어서 분홍색 꽃을 피워 올릴 것이다. 상사화는 부자불견 상사화라고도 하는데 아버지와 아들이 서로 만나지 못하는 것처럼 잎새와 꽃이 서로를 만나지 못하고 서로 그리워 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산딸나무 꽃이 거의 다 지고 열매가 자라고 있다. 이제 가을이 되면 몇배 자란 열매가 붉게 익을 것이다. 작년 가을에 산딸나무 열매를 먹어봤는데 새콤달콤했다.

찔레꽃이 다 지고 열매가 꽃받침뒤로 자라고 있다. 꽃받침뒤로 열매가 자라고 둥근모양의 열매를 맺는 것이 장미과의 특징인가보다.확인해봐야 되겠다.

마잎새 위에서 명주딱정벌레를 보았다.

노린재나무잎 위에서 침노린재가 짝짓기를 하고 있었다.  

은사시나무에서 황닷거미를 보았다. 지금까지 내가 본거미 중에서 가장컸고 먹이를 잡을려고 잠복해 있었다. 거미중에는 왕거미처럼 공중에 줄을 쳐놓고 먹이를 잡는 조망성거미와 돌아다니면서 먹이를 사냥하는 배회성거미가 있다. 조망성거미는 눈이 나쁜반면에 배회성거미는 먹이를 쫓아가며 잡아야되니까 눈이 특히 발달해있다.



산버찌가 열려있었다. 익은 것도 있고 안익은 것도 있었는데 아빠말을 들어 보니까 약간 씁쓸한 맛이 난다고 한다. 이따가 무심천을 걸어가다가 한번 먹어봐야 겠다.

오리나무잎벌레애벌레 때문에 둥그레봉 정상부근에 있는 오리나무가 완전히 초토화되어 있었다. 그런데 다른 오리나무에는 잎벌레애벌레가 별로 없었다. 차이는 단 한가지 다른 오리나무는 길가를 벗어나서 살고있고 그 오리나무는 길가에 자라고 있다는 것이다. 아마 사람이 자꾸 밟아서 땅이 딱딱해져서 물과 영양분이 잘 공급이 안되고 스트레스 때문에 면역력에 문제가 생겼나 보다.

노루발풀의 꽃이 피어있었다. 색깔이 하얀색인게 아주 청초하고 아름다웠다. 여기서 잠깐!! 노루발풀과 매화노루발풀의 차이점 매화노루발풀은 잎새폭이 좁고 꽃이 층층이 나지 않는다.

엉겅퀴 꽃에서 큰줄흰나비를 보았다. 줄흰나비종류는 줄흰나비와 큰줄흰나비가 있는데 줄흰나비는 줄흰나비는 높은 산 부근에서 살기 때문에 우리 둥그레봉에서는 찾을수가 없다. 그 밖에도 좀뒤영벌,호리꽃등에,꿀벌을 보았다.

우리가 쓰러진 참나무를 잘못밟아서 개미집이 드러나 일개미들이 고치를 옮기느라 정신이 없었다 그야말로 개미사회의 대혼란이었다. 그 때는 정말미안했다. 앞으로 조심해서 걸어다녀야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세계곤충학슴체험전에서 찍은 로바타나뭇잎사마귀

세계곤충학슴체험전에서 찍은 로바타나뭇잎사마귀(이름표보시면 아실테지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청남대에서 찍은 속이 파먹힌 사슴풍뎅이시체

청남대에서 찍은 속이 파먹힌 사슴풍뎅이시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