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념] 사랑에 대한 몇가지 생각들

2009/04/20 20:44

0. 인간

인간은 체력이나 물질적 에너지로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으로 살아간다


1. 사랑

일상을 벗어난 특별한 삶의 장소는 여행이나 꿈을 통해서 드러난다. 그러나 그 중에서 사랑이 만들어내는 시공간이 가장 독특하다

사랑은 기존 질서에 편입되는 것이 아니라 그 질서를 파괴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반복되는 사랑 안에는 끝없이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진다. 사랑은 카오스이다


2. 죽음

따라서 사랑의 완성은 죽음이다

영원한 그 무엇이 완성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고의 사랑은 신에 대한 사랑이다

죽음에 이르기 위해서 사랑을 하는 것이다


3. 예술

혁명은 예술이다

사랑이 가장 강력한 혁명이며 이 혁명의 표현이 예술이다

인간은 유한하며 죽음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예술을 갈망한다

사랑과 죽음에 대한 공포 때문에 예술이 등장한다

이제 예술이 유일한 돌파구가 된다


4. 섹스

이성 간의 사랑은 뜨겁고 동성 간의 사랑은 더 뜨겁다.

이성간의 섹스는 본능을 전제로 한다

이성간의 섹스에 등장하는 쾌락의 근원은 종족이나 유전자 재생산이라는 본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임신의 공포와 종족번식 본능이 사라진 섹스에서 진정한 원초적 쾌락이 등장하며, 이런 육체적 쾌락의 원천은 동성 간의 사랑이다

그래도 이성간의 섹스가 뜨거운 것은 쾌락의 한계로 인한 처절함 때문이다

그러나 동성이든 이성이든 이들의 사랑에 대한 깊이는 알 수가 없다

사람의 깊이도 알 수 없지만 사랑의 깊이는 더더욱 알 수가 없다


5. 고통

인간은 (다양한) 사랑의 고통 속에서 성장한다

고통의 끝은 편안함이다 고통이 강렬할수록 그 뒤에 찾아오는 편온함이 더 한다

그 깊이가 더 할수록 성숙한 내면의 깊이를 간직하게 된다


6. 부활

사람은 죽지만 자기 마음속에 반드시 부활하다

부활하지 못하는 이유는 죽지 않았거나 사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7. 나

나는 아직 죽음으로 완성되는 사랑을 할 자신이 없다 신을 사랑할 자신이 없다

가끔 푸른 하늘과 태양, 구름 그런 것들이 펼쳐진 하늘을 바라보고 ‘죽어도 좋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을 뿐이다

내가 생각하는 가장 행복한 죽음과 사랑은

내가 죽을 때 내 곁에 있어줄 단 한명의 사람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수준이다

그것이 神이어도 상관이 없다

그리고 이런 정도의 말을 나누면 행복하겠다

‘이젠 쉬어 그리고 잘가...... 내 곁에 있어줘서 고마워’


그런데 가끔은 혼자 있을 때가 가장 행복하다고 느낄 때가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AG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자 가자 깨달음의 열린 삶으로

함께 사는 아름다움으로

아! 찬연한 빈 삶이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AG

우연한 사고(accident )와 사건(evenement)

 

학살(虐殺)

비국민

학살자들은 끝까지 말하지 않는다.

 

우리 사회는 행복하지 않다. 자신이 사회와 일체감을 느낄때 행복감을 느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AG

[메모] 우리 예술 한번 할까요

2009/01/15 06:08

한밤의 짙은 잠에서 깨어보니

난 아직 죽음이 두렵다

아직 내가 인간의 정리(精理)에 약하기 때문이다

 

난 아직 사랑이 그립고,

그래서 예술을 열망한다

 

우리 예술 한번 할까요

 

 

- 2008. 1. 15.  새벽 6시 홍제동에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AG

[메모] 삶과 죽음

2009/01/13 15:38

죽음이 두려운 것은 삶에 대한 공포때문이다

죽음이 아름다운 것은 삶이 아름답기 때문

따라서 부활(復活)의 핵심은 삶!!!

 

삶의 미련은 죽음의 공포로 작동한다

언제나 죽음을 대비하는 삶 (맞이하는 삶, 준비하는 삶)

 

'지금 죽어도 좋다!!!'

깨달음의 핵심은 현실의 삶(현존)

그 삶의 강도

 

삶의 긍정은 죽음에 대한 긍정이다

삶에 대한 열정은 죽음에 대한 열정

삶이 강렬할수록 죽음을 긍정한다

 

강하게 빛나는 태양의 저녁 노을이 (붉게) 아름다운 것은,

가득찬 달(滿月)이 아름다운 것은,

스스로 이즈러질줄 알기 때문이다

 

삶이 강렬해야 이즈러짐이 아름답다

 

아름다운 죽음?

 

- 2009. 1. 11. 북경의 어느 맥주 집에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