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9/03/13 09:19
  • 수정일
    2019/03/13 09:19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2019. 03. 12
조회수 720 추천수 0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
 
05.jpg» 생태학자가 찍은 생태 사진전에서 대상으로 뽑힌 투명 날개 나비. 페루의 안데스 산맥 운무림에서 촬영했다. 마리안 일리야 제공.
 
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
 
과학기술과 의학 분야의 학술저널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오픈 액세스 출판사인 바이오메드 센트럴(BMC)은 9일 현장 생태학자들이 촬영한 사진 145점 가운데 대상작으로 마리안 일리야 프랑스 소르본대 연구원의 ‘수수께끼의 투명 날개 나비’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심사위원인 쟝즈강 중국 과학아카데미 교수는 “빼어나게 아름답고 수수께끼인 종을 잘 묘사했다”고 평했다. 이 나비의 투명한 날개는 포식자의 눈길을 피하는 데는 도움이 되겠지만, 정확히 어떤 생태적 기능을 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날개가 투명한 이유는 털처럼 생긴 특이한 비늘 덕분인데, 이 비늘이 빛의 반사를 막고 투과하도록 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나비가 사는 습하고 차가운 날씨에 이런 형태의 비늘이 어떻게 단열과 방수 기능을 하는지는 의문으로 남아 있다.
 
03.jpg» 또 다른 종의 투명 날개 나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이번 공모전의 다른 주요 입상작은 다음과 같다.
 
07.jpg» 그리폰 독수리의 지배 행동을 그린 ‘넘보지 마!’. 필라 올리바 비달 스페인 예이다 대 생태학자가 먹이로 사냥한 멧돼지를 동료에게 빼앗기지 않으려는 행동을 촬영했다. 필라 올리바 비달 제공.
 
06.jpg» ‘식탁 예절이 없는 배고픈 듀공’. 마테오 산톤 독일 튜빙겐대 박사가 홍해 해초 숲에서 풀을 뜯는 듀공을 찍었다. 듀공과 공생하며 먹이를 얻어먹는 대가로 기생충을 잡아주는 길잡이 물고기가 보인다. 마테오 산톤 제공.
 
02.jpg» ‘작은 다리’. 동태평양의 외딴 섬인 코코제도 고유종인 거미가 물 위에 현수교 비슷한 거미줄을 쳤다. 다르코 다보르 코토라스 비에드마 제공.
 
01.jpg» 청개구리의 눈에서 물을 핥아 먹는 파리의 일종. 엔리케 가르시아 멜로 제공.
 
04.jpg» 담수에 사는 세계에서 가장 큰 새의 하나이지 멸종위기종인 달마시아 펠리컨이 아주 작은 민물고기를 낚아채는 데 성공했다. 나이덴 차카로프 제공.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