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단독] 세계 최대 ‘주한미군 평택기지’에 위험천만 ‘생화학 실험실’도 들어섰다

주한미군·국방부, ‘살아있는 샘플’ 실험 의혹에도 “북한 공격 방어용, 생화학 실험 아니다” 기존 답변만 되풀이

김원식 전문기자
발행 2019-03-14 08:21:13
수정 2019-03-14 08:21:13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2013년 주한미군 생화학 실험 프로젝트인 ‘주피터’와 관련해 주한미군 병사들이 관련 장비를 설치하고 실험을 하고 있는 모습, (자료 사진)
2013년 주한미군 생화학 실험 프로젝트인 ‘주피터’와 관련해 주한미군 병사들이 관련 장비를 설치하고 실험을 하고 있는 모습, (자료 사진)ⓒ미 육군 공개 사진
 

단일 기지로는 세계 최대 규모라는 주한미군 평택기지에 주한미군의 이전과 함께 ‘생화학 실험실’도 함께 들어서 본격 가동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엄청난 국민 혈세를 들여 새로운 미군기지를 지어줬지만, 한쪽에서는 위험천만한 생화학 무기 관련 시설이 운영되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사실은 기자가 미 국방부가 발행한 ‘2019 회계연도(2018년 10월 1일~2019년 9월 30일) 생화학방어 프로그램 예산 평가서’를 확보해 분석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이 예산 관련 문서에 의하면, 2018년 회계연도에는 생화학 시스템 설치 완료 이외에는 배정되지 않았던 주한미군 평택기지(캠프 험프리, Camp Humphreys) 생화학 실제 실험 관련 예산이 다시 540만 달러(약 61억2천만 원)가 배정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 용산에 있던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가 경기도 평택시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배정되지 않았던 실제 실험 관련 예산이 이전 후 본격적으로 집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이전 완료와 함께 다시 주한미군 생화학 실험실이 본격 가동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2018년 회계연도에는 한 푼도 배정되지 않았던 생화학탐지구별(BICS) 87만9천 달러(약 10억 원), 환경탐지평가(AED) 147만2천 달러(약 16억7천만 원), 조기경보(EW) 245만8천 달러(약 28억9천만 원), 생화학감시포털(BSP) 59만1천 달러(약 6억7천만 원)가 각각 예산으로 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방부가 발행한 ‘2019 회계연도 생화학방어 프로그램 예산 평가서’에서 새로 이전한 주한미군 평택기지에서 본격적으로 ‘생화학 실험실’이 운영되고 있는 것이 드러났다.
미국 국방부가 발행한 ‘2019 회계연도 생화학방어 프로그램 예산 평가서’에서 새로 이전한 주한미군 평택기지에서 본격적으로 ‘생화학 실험실’이 운영되고 있는 것이 드러났다.ⓒ해당 문서 캡처

미 국방부에서 생화학 전쟁을 담당하는 ‘생화학방어합동참모국(JPEO-CBD)’이 그동안 ‘주피터(JUPITR)’라는 이름으로 주한미군에서 생화학전 관련 여러 실험을 진행하고 있음이 그동안 본보의 여러 차례 단독 보도로 밝혀진 바 있다. 

하지만 여러 시민단체는 물론 지역사회 주민들의 반대에도 폐쇄되지 않았던 이 실험실이 주한미군이 평택기지로 이전하면서 다시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사회의 거센 반발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주한미군과 국방부는 그동안 ‘주피터’는 생화학 탐지와 방어만 하는 기술이라고 해명했지만, 군사전문가들은 생화학전에서 ‘방어와 공격은 차이가 없다’며 위험성을 계속 제기하고 있다. 특히, 생화학전 특성상 살아있는 샘플을 사용할 수밖에 없고 이 과정에서 치명적인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지난 2015년 5월에는 실제로 살아있는 탄저균이 주한미군에도 배달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엄청난 파문을 몰고 오기도 했다. 또 현재도 주한미군에서 생화학 실험의 특성상 치명적인 ‘살아 있는’ 샘플도 계속 사용하고 있다는 의혹이 거듭 제기된 바 있다. 

기자는 이와 관련해 이미 미 국방부 문서를 인용해 주한미군이 실시하는 ‘주피터’라는 이름의 생화학 실험에도 ‘생물무기감시(BSV)’ 프로그램 과정에 ‘살아 있는(live) 매개체 테스트 전체 시스템(WSLAT, Whole System Live Agent Test)’이 포함돼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부산항 8부두 주한미군 ‘생화학 실험장’도 계속 운영 중인 것으로 밝혀져

특히 주한미군은 당시 기존 평택기지에서 운영되고 있던 생화학 실험실이 큰 파문을 불러오자, 용산기지의 평택기지 이전을 계기로 뜬금없이 주거 밀집 지역인 부산항 8부두 미군기지에 또 다른 생화학 실험실을 설치해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불려왔다. 

이번 예산 관련 문서에서 확인한 결과, 부산항 8부두에 설치된 생화학 실험실의 2019년 회계연도 예산도 350만 달러(약 39억7천만 원)가 책정된 것으로 드러나, 새로 이전한 평택기지와는 별도로 계속 운영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관해 주한미군 관계자는 13일 “새로 이전한 평택기지에서 주피터 관련 시설이 운영 중인 것은 아직 알지 못한다”면서 “운영 중이라고 하더라도 살아있는 샘플 실험이 전혀 아니라, 방어와 탐지만을 위한 생화학 방어 훈련”이라고 기존 입장을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도 이날 “주한미군 주피터 프로그램은 북한 생물위협을 탐지, 분석 및 경고하는 방어용 체계로 이미 시험을 통해 검증된 장비를 사용하고 있어 생화학 실험과는 관계가 없다”고 기존 입장을 그대로 되풀이했다. 

그러면서 “2015년 탄저균 배달사고와 관련 SOFA(소파) 체결 이후 현재까지 반입된 사균 샘플은 없으며, 주피터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앞으로도 한미가 긴밀히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즉, ‘살아있든 죽었든’ 도입된 샘플 자체가 없다고 해명한 셈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주한미군이 거의 극비로 다루는 생화학 실험과 관련해 한미 간에 공조가 잘 되고 있는지도 의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군 소식통은 이날 기자에게 “부산항 8부두 관련 시설도 민원 발생 후 한 번밖에 가보지 못했다”고 실토했다.

국방부 당국자는 이에 관해 기자가 ‘한미 긴밀 공조를 말하지만, 주한미군에서만 주거 밀집 지역에서 미군의 생화학 관련 프로젝트가 실행되고 있다’는 지적에 “관련 제반 사항을 면밀하게 다시 파악해 국민 불안이나 민원이 발생하지 않게끔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