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신문 솎아보기] 누리호 발사에 절반의 성공, 성과는 높이 평가…“독립된 기구 설치해야” 제안도
대장동 의혹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기소한 검찰, 배임 혐의 빠져

 

21일 국내 독자 기술로 만든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된 가운데 ‘절반의 성공’이라는 평가가 내려졌다. 누리호가 예정된 고도까지 상승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탑재한 위성 모사체를 궤도에 정상 투입하는 데는 실패했기 때문이다. 언론은 누리호의 성과에 대해 ‘절반의 성공’, ‘아쉽다’는 평가를 하면서도 “‘우주 독립’ 첫발”이라며 부족한 부분을 내년에 보완할 수 있도록 응원을 보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21일 전두환 정권 옹호 발언을 한 지 이틀 만에 “전두환 정권에 고통을 당하신 분들께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국민에 맞서는 고집은 잘못이다”라는 메시지도 냈지만 언론은 이번 실언과 늦은 대응으로 국민의 힘 내부에서도 질책이 나온다고 전했다.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21일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을 재판에 넘겼지만 배임 혐의는 적용되지 않았다.

▲22일 주요 종합일간지 1면 모음.
▲22일 주요 종합일간지 1면 모음.

다음은 22일 발행하는 주요 종합 일간지 1면의 누리호 관련 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잘 날았다 누리호, 내년엔 우주의 문 열자”
국민일보 “누리호 발사 ‘미완의 성공’ 우주 독립 첫발”
동아일보 “우주독립 문 연 누리호, 한걸음 모자랐다”
서울신문 “우주독립 꿈 날았다 누리호 미완의 성공”
세계일보 “아! 46초 우주로 난 누리호 ‘미완의 성공’”
조선일보 “우주로 간 누리호 46초가 모자랐다”
중앙일보 “100% 우리 힘으로 누리호, 우주에 첫발”
한겨레 “우주를 날았다, 이제 한뼘 남았다”
한국일보 “아쉽다! 46초 성공 문턱서 멈춘 우주 독립”

절반의 성공, 성과는 높이 평가…“독립된 기구 설치해야” 제안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오후 5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이륙한 누리호가 목표로 한 고도 700㎞까지 올라갔지만, 중량 1.5t짜리 위성 모사체를 목표로 삼은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실패했다고 발표했다.

발사 과정 마지막 순간에 3단 엔진이 일찍 꺼지면서 위성을 제 궤도에 투입하기 위한 속도를 얻지 못한 것이 문제였다.

이날 누리호는 애초 예정됐던 시간보다 한 시간 늦게 발사됐는데 발사대 하부 시스템과 발사체 내 밸브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예상보다 시간이 소요됐다. 한 걸음 아쉬운 결과에는 내년 5월 2차 발사, 2027년까지 남은 4차례의 발사를 통해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2010년 시작된 누리호 개발에는 내년까지 1조9572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22일 서울신문 1면.
▲22일 서울신문 1면.

경향신문 1면은 “국내 기술로 만든 75t급 액체엔진이 정상 작동하고, 단 분리 등 중요한 난제들을 해결했다는 점에서 우주선진국으로 가는 중요한 성과를 만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고 썼고 사설에서도 “한국은 이로써 1t급 이상 실용위성을 스스로 쏘아올릴 수 있는 우주 강국 반열에 올랐다”고 평가했다. 이어 “일관성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우주 개발 및 산업을 총괄할 독립적인 기구 설치를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선일보도 1면에 “우주로 간 누리호 46초가 모자랐다”는 기사를 탑기사로 배치했다. 조선일보는 “발사체의 비행능력은 입증했지만 위성을 원하는 곳에 수송하는 마지막 단추를 끼우지 못해 완벽한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고 썼다.

사설 “누리호 위성 궤도 진입에 실패, 좌절말고 계속 도전해야”에서는 “과학적으로, 산업적으로, 안보적으로 의미가 매우 큰일”이라며 “우주 선진국들도 자체 개발한 첫 우주 발사체의 성공비율은 30%에 불과하다. 내년 5월 2차 발사때는 최종 성공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썼다.

▲22일 조선일보 1면. 
▲22일 조선일보 1면. 

그 외 동아일보 “누리호 미완의 성공, 우주로의 도약 큰 걸음 뗐다”(사설), 서울신문 “누리호 절반의 성공, 우주 강국에 바싹 다가섰다”(사설), 중앙일보 “세계 7대 우주 강국의 희망 쏘아올린 누리호”(사설), 한겨레 “우리 독자 기술로 지상 700km 우주의 벽 뚫은 누리호”(사설) 등애서도 공통적으로 완벽한 성공은 아니었지만 큰 성과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전두환 정권 옹호 이틀 만에 사과 윤석열에 “늑장 뒤끝 사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전두환 정권을 옹호한 지 이틀 만에 사과했지만 언론은 이번 실언으로 잃은 것이 많다고 평가했다. 그가 이틀 만에 사과한 것이 늑장 사과이며 사과문에도 ‘뒤끝’이 보인다는 것이다. 윤석열 전 총장의 사과를 1면에 배치한 것은 경향신문과 한국일보였다.

▲22일 한국일보 1면. 
▲22일 한국일보 1면. 

윤 전 총장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전두환 전 대통령 발언은) 저의 설명과 비유가 부적절했다는 지적과 비판을 수용하고 유감을 표한다”고 말한 이후 오후에 페이스북을 통해 다시 한번 사과문을 올렸다.

한국일보는 1면에 “상처만 남긴 윤석열 늑장 사과”라는 기사를 배치하고 그가 결국 사과했지만 “이틀 동안 상처를 있는 대로 입은 뒤였다. 정치적 내상이 깊다”며 “페이스북 사과문엔 ‘뒤끝’도 남겼다”고 평가했다.

윤 전 총장이 “정치인이라면 ‘자기 발언이 늘 편집될 수 있다’는 생각까지 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아들인다”고 썼는데 이에 대해 한국일보는 “자신이 궁지에 몰린 것이 언론 등의 발언 왜곡 탓도 크다는 인식을 은근히 드러낸 것”이라며 “그러나 발언 전문을 보면, 그는 확신에 차 있었다. 순간적인 말실수나 발언 짜깁기라고 보긴 어렵다”고 다시 한번 비판했다.

한국일보는 “사과까지 이틀이나 걸리면서 윤 전 총장의 위기 대응력도 도마에 올랐다”며 “이틀간 윤 전 총장은 ‘오류를 인정하지 않는 지도자’로 비쳤다”고 썼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사과를 한 모습도 ‘대리사과’처럼 비춰진다고 지적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21일 전남 여수와 순천을 방문해 “윤 전 총장의 전 전 대통령 관련 발언에 동의하기 어렵다. 호남시민들에게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22일 경향신문 1면. 
▲22일 경향신문 1면. 

경향신문도 1면에 “윤석열 ‘전두환 옹호’ 마지못해 사과”라는 기사를 배치하고 “대선 유력주자의 역사관 부재 논란으로 ‘5공의 강’에 끌려들어간 국민의힘에서도 엇갈린 목소리가 나왔다”며 “보수정당의 어두운 과거사가 대선 경선 전면에 불려나오면서 여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썼다.

반면 조선일보의 경우 해당 이슈를 6면 정치면에 배치하고 “국민의힘에선 ‘5·18 폄훼 발언’ 2년 만에 당이 ‘전두환의 늪’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며 “이번 사태로 호남 민심을 끌어안기 위해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에서 이준석 대표로 이어진 국민의힘의 ‘서진(西進) 전략’에 제동이 걸렸다는 분석도 나온다”고 전했다.

중앙일보도 이 이슈를 6면에 배치하고 “논란이 말끔하게 잦아드는 분위기는 아니다”라고 썼다.

▲22일 조선일보 6면.
▲22일 조선일보 6면.

검찰, 유동규 기소했지만 배임 혐의는 적용되지 않아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21일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을 재판에 넘겼지만 배임 혐의는 적용되지 않았다.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김태현 4차장검사)은 이날 3억5200만원의 뇌물을 수수하고 700억원의 뇌물을 받기로 약속한 혐의로 유 전 기획본부장을 재판에 넘겼다.

검찰은 남욱 변호사 등 뇌물공여자들로부터 3억원의 금품이 유 전 본부장에게 전달됐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검찰은 이외에도 유 전 본부장이 2014년부터 화천대유 이익을 극대화하는 개발 사업을 설계하고 김만배씨로부터 700억원대 뇌물을 받기로 약속했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이날 성남시청 시장실과 비서실을 압수수색했는데 수사착수 23일 만으로 뒷북 수사라는 지적도 나왔다.

▲22일 국민일보 1면.
▲22일 국민일보 1면.

국민일보는 1면에 “검찰, 유동규 기소…영장에 있던 배임은 빠졌다”라는 기사를 배치하고 “유 전 본부장의 구속영장에 적시됐던 1100억원대 배임 혐의는 공소장에서 빠졌다.

법원이 발부한 영장에 들어있던 범죄 혐의가 공소단계에서 제외된 것은 아주 이례적인 일”이라며 “뇌물수수 규모 역시 절반 이상 줄었다”고 썼다. 그러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눈치보기 수사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특검도입 여론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라고 썼다.

▲22일 조선일보 1면.
▲22일 조선일보 1면.

경향신문, 동아일보, 세계일보, 조선일보도 해당 이슈를 1면에 배치했다. 조선일보 1면 기사의 제목은 “이재명 눈치봤나 검찰, 유동규 배임 빼고 기소”였고 “배임도 김만배 5억도 빠져…檢내부 ‘영장혐의 3분의2가 날아가”라고 제목을 뽑고 검찰 안팎에서 부실수사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고 전달했다.

한겨레는 이 이슈를 4면에 배치하고 “이날 검찰 기소 내용을 보면 유 전 본부장이 실제 수수했다는 뇌물 액수는 1억4800만원이 줄었고, 700억원 약정설은 유지했으며, 배임 액수는 특정하지 못했다”고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