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47개 종교시민사회단체는 12월 12일 ‘10.29 이태원 참사 대전대책회의’를 결성하고, 유가족들과 함께 공동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대전지역 47개 종교시민사회단체는 12월 12일 ‘10.29 이태원 참사 대전대책회의’를 결성하고, 유가족들과 함께 공동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대전지역 47개 종교시민사회단체는 ‘10.29 이태원 참사 대전대책회의’를 결성했다. 지역 단위로는 첫 대책기구 결성이다.

‘10.29 이태원 참사 대전대책회의’는 12월 12일 오후 2시, 대전시청 앞에서 10.29 이태원 참사에 대한 국가 책임 인정과 진상규명 그리고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며 유가족들과 함께 공동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10여명의 유가족도 참석하면서 취재진들도 몰려들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10여명의 유가족도 참석하면서 취재진들도 몰려들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이날 기자회견에는 10여명의 유가족도 참석하면서 취재진들도 몰려들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이날 기자회견 발언에 나선 성서대전 대표 전남식 목사는 “지난 10월 29일의 이태원 참사는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온 국민을 충격에 빠뜨린 사건”이라며, “하지만 이 참사에 대응하는 정부 여당은 그렇게 받아들이지 않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가족과 국민이 분노하는 이유는 윤석열 정부와 여당이 희생자들의 죽음을 가볍게 여기고 있기 때문”이라며, “참사가 발생한 지 6주가 지났지만 정부는 희생자들의 죽음을 기억하고 추모하기는커녕 참사의 기억을 지우려고 발버둥치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전남식 목사는 또한 “이태원 참사를 기점으로 새로운 사회, 보다 안전한 사회, 일상적인 시간과 장소에서 예기치 못한 위험에 맞딱뜨리는 일이 없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우리 국민들과 교회는 유가족 여러분과 함께 할 것”이라며, 어떤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말고, 쉽게 타협하지도 말라고 당부했다.

천주교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장 김용태 신부도 발언에 나서 “이 대규모 참사에 대해 우선적으로 책임을 져야할 국가권력은 도리어 국민들에게 아무 것도 묻지도 말고 따지지도 말라고 강요하고 있다”며, 그 이유에 대해 묻고 따짐으로써 드러나게 되는 실체와 진실이 두려워서고,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국가권력의 방기와 직무유기가 드러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통해서 묻고 따지고 애도하고 추모하며 고인을 떠나보내고 유가족들을 위로하며 더 이상의 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현재의 삶을 정리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전지역 희생자 유족이자 유가족협의회 부대표 송진영 씨(故 송채림 부친)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대전지역 희생자 유족이자 유가족협의회 부대표 송진영 씨(故 송채림 부친)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유가족들의 발언이 이어지면서 유가족들은 흐느껴 울고, 기자회견 참가자들도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대전지역 희생자 유족이자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이하 유가족협의회) 송진영 부대표(故 송채림 부친)는 “정부는 유족들에게 ‘2차 가해하지마라’, ‘트라우마 치료를 받아라’고 말하고 있지만 실상은 정부가 유족을 향해서 2차 가해를 하고 있고, 트라우마로 쓰러져 있는 유족들을 또 한 번 짓밟고 있다”고 말했다.

유가족협의회 이종철(故 이지안 부친) 대표는 첫 기자회견에 나선 유가족들에게 ‘158명을 대변할 수 없다’던 국민의 힘 정진석 비대위원장과 ‘세월호의 길을 따라가지 말라’던 권성동 의원의 망언에 대해 규탄의 목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이만희 국민의힘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간사를 향해 “국정조사 특조위로 복귀하라”고 말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이종철 대표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이종철 대표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이지안의 모친 조미은 씨가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이지안의 모친 조미은 씨가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故 이지안의 모친 조미은 씨도 “죽음의 진상이 투명하게 밝혀질 때까지 다른 유가족들과 함께 투사가 될 것을 맹세한다”며 발언에 나섰다. 조 씨는 “그들의 직업은 배우, 선생님, 간호사, 유학생, 디자이너, 미국 공인회계사, 탐험가, 변호사 11월 1일이 생일이었던 아이”라며 희생자들을 언급하며, “왜 못 구했냐고 묻는 게 아니라 지금 저는 왜 안 구했냐고 묻고 있는 것”이라며, 이태원 참사를 ‘부작위에 의한 살인’이라고 규정했다.

158명의 이태원 희생자 중에 뒤늦게 세상을 떠난 156번째 희생자의 고모라고 밝힌 대전에 사는 진창희 씨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158명의 이태원 희생자 중에 뒤늦게 세상을 떠난 156번째 희생자의 고모라고 밝힌 대전에 사는 진창희 씨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158명의 이태원 희생자 중에 뒤늦게 세상을 떠난 156번째 희생자의 고모라고 밝힌 대전에 사는 진창희 씨는 “유가족의 첫 번째 2차 가해자는 이상민 장관”이라며, “경찰 소방 병력을 배치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라고 말할 때 비수에 꽂히는 기분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쟁점은 현장 대응을 넘어서서 사전 예방까지 가야 되고, 사법적 책임을 묻고 도덕적 도의적 책임까지 물을 수 있어야 하는데, 정부는 은폐와 왜곡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 씨는 또한 “간신히 숨을 헐떡이고 있는 우리 유가족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라”며 국정조사에 이어 특검을 요구하기도 했다.

‘10.29 이태원 참사 대전대책회의’는 마지막으로 결성 선언문을 발표했다. 대책회의는 “윤석열 대통령은 시급히 참사의 국가책임부터 인정하고 대통령의 공식적인 사과문을 발표해야 한다”며, “지금이라도 국가는 국가의 책무를 다 하고, 유가족의 요구에 응답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또한 책임적 위치에 있던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과 한덕수 국무총리, 윤희근 경찰청장 파면을 통해 성역없는 진상규명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책회의는 또한 “지역사회에서 희생자와 피해자, 그 가족들이 고립되지 않고 요구가 흩어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 “참사에 대한 국가 책임 인정과 진정한 사과가 이루어지고, 성역없는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이 될 수 있도록 대전시민들의 마음과 실천을 모으는 역할을 하겠다”, “유족들의 소통과 치유를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희생자와 피해자의 입장에서 참사를 바라보고 아픔을 나누며, 유가족들을 보호하는 활동을 해나가겠다”며 희생자와 피해자, 그 가족들과 늘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전시민들께서도 우리 이웃의 아픔을 보듬고 안전한 사회를 위한 대책 마련까지 유가족협의회와 대전대책회의와 함께해주실 것을 호소드린다”고 덧붙였다.

최명진 대전장애인차별철페연대 공동대표(첫째 줄 왼쪽에서 두 번째)와 문성호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첫째 줄 왼쪽에서 세 번째)가 ‘10.29 이태원 참사 대전대책회의’ 결성 선언문을 낭독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최명진 대전장애인차별철페연대 공동대표(첫째 줄 왼쪽에서 두 번째)와 문성호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첫째 줄 왼쪽에서 세 번째)가 ‘10.29 이태원 참사 대전대책회의’ 결성 선언문을 낭독했다. [사진 - 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10.29 이태원 참사 대전대책회의’는 이날부터 참사 49일이 되는 12월 16일까지 집중추모주간으로 설정하고,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 촉구 거리현수막 게시운동’을 펼치고, 15일 저녁 7시에는 유가족과 함께하는 대전시민 추모촛불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추모촛불은 둔산동 타임월드 맞은편 국민은행 앞에서 진행된다.

추모촛불이 개최되는 15일부터 참사 49일을 맞는 16일 저녁 8시까지는 시민분향소도 설치해 운영할 계획이다. 시민분향소에는 희생자 영정 사진과 위패도 걸 계획이다. 대책회의 관계자는 “시민분향소 설치 장소는 아직 협의 중”이라며, “이후 장소가 확정되면 알리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