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조현동 주미대사 신임장 수여로 외교라인 재정비를 마친 윤석열 대통령실을 향해선 “외교라인의 공백을 빠르게 메웠지만, 최근 불거진 미국 정보기관의 한국 안보실 도·감청 의혹은 쉽게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국민일보 <방미 앞둔 尹, 외교라인 초고속 정비…도·감청 의혹 진화 주력> 기사는 “대통령실은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돌출 악재인 도·감청 의혹이 혹시라도 이번 방미에 재를 뿌리지 않을까 걱정하는 분위기”라며 “국빈방미 일정을 최종 조율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한 김태효 안보실 1차장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 인근 덜레스공항에서 기자들의 도·감청 의혹 질문에 날카로운 반응을 보인 것도 이 같은 대통령실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고 했다.
도감청 의혹에 대한 대통령실 대응은 비판을 사고 있다. 대통령실이 앞서 유출문건 상당수가 위조됐다며 야권의 비판을 “허위 선동”으로 규정한 가운데, 김태효 1차장은 미국에서 만난 기자들 질문에 “구체적으로 묻지 말라. 같은 주제로 물어보려면 떠나겠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동아일보는 <[사설] 美도 인정한 기밀 유출, “묻지마” 대응은 의구심만 키울 뿐>에서 “미국 기밀문서 유출 사건을 다루는 대통령실의 태도를 보면 너무 성급하고 서투르기 짝이 없어 오히려 의구심을 키우는 모양새”라며 “한미가 이번 논란을 두고 갈등을 드러낼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해도 동맹 간 신뢰에 의문을 갖게 한 의혹에 대해 양국이 제대로 살펴보고 따질 것은 따지는 게 당연하다. 이런 문제로 한미동맹이 흔들릴 만큼 허약하지도 않다”고 했다. 이어 “‘동맹 최우선’을 내세워 모든 사안을 묻어둘 수만은 없다. 가능한 범위에서라도 국민에게 설명하고 공개가 어렵다면 이해를 구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그것 없이는 늘 미국에 기대 매사를 동맹 핑계만 대는 정부의 태도에 국민적 자괴감만 깊어질 뿐”이라고 했다.
한겨레 <국민 인식과 동떨어진 한국 외교안보 실세> 기사는 그간 김태효 1차장의 ‘한·미·일 협력 최우선주의’ 외교 인식이 논란을 부른 사례들을 지적했다. 이번 도감청 질문에 대한 대응 외에도 한-일 정상회담(3월16일) 직후 강제동원 피해자 ‘제3자 변제안’에 대해 “일본이 깜짝 놀랐다. (일본 쪽에서) ‘우리로서는 학수고대하던 해법인 것 같다’(고 반응했다)”고 말한 사례 등이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부에서도 청와대 외교안보 실세였던 김 차장은 2012년 여론과 동떨어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밀실 처리를 주도하다 물러났다”며 “대통령실 안에서는 김 차장의 입지가 더욱 강해졌다는 관측이 많다”고 전했다.
검찰, 불법 정치자금 혐의로 민주당 현역 의원들 압수수색
검찰이 2021년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를 앞둔 불법 정치자금 의혹 관련해 윤관석, 이성만 민주당 의원 압수수색에 나섰다. 당시 전당대회를 앞두고 윤 의원 등이 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을 통해 강래구 한국공공기관 감사협회장에게 6000만 원을 받아 민주당 현역 의원 10명에게 건넨 정황에 대해서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 김영철)는 12일 정당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 관련해 두 의원과 강래구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의 사무실과 자택 등 20여 곳을 동시 압수수색했다. 주요 신문들은 1면에 관련 기사를 배치했다.
경향신문: 불법 정치자금 의혹 민주당 윤관석 압색
국민일보: 檢, 하루 새 의원 2명 압백…野전대 수사확대
동아일보: ‘민주당 全大 돈봉투 의혹’ 윤관석-이성만 압수수색
서울신문: 檢, 하루에 민주당 의원 2명 동시 압수수색
세계일보: 野 전대 ‘돈봉투 의혹’ 윤관석·이성만 압색
조선일보: “의원엔 300만원”…민주당 전대 때 돈 살포 정황
중앙일보: 민주당 전대 돈봉투 의혹, 윤관석·이성만 의원 압수수색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