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윤 대통령 ‘미와 밀착’ 승부수…중·러 ‘반발’ 극복 과제로> 기사의 경우 “러시아에 이어 중국이 전면에 등장하면서 판이 꼬였다”며 “자유와 민주를 앞세운 윤 대통령의 ‘가치외교’가 시험대에 올랐다”고 했다. 이 신문은 “중러와 얼굴을 붉히면서까지 미국으로 쏠린 만큼, 몸값을 확실히 높여 국익을 극대화할 때다. 안보는 확장억제, 경제는 반도체법 등에서 미국의 확실한 약속을 받아내는 것이 급선무”라며 “윤 대통령의 가치외교에 ‘플랜 B’를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의 대만 발언에 대한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한겨레는 1면에 <대만 문제 ‘선 넘었다’ 본 중국> 기사를 배치했다. 이번 발언에 대해 “‘외교 문외한’인 윤 대통령의 발언 자체가 극히 거칠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윤 대통령이 1992년 시작된 한-중 수교의 기본 전제인 ‘하나의 중국’ 원칙을 부정한다는 오해를 살 수 있는 위험천만한 발언”이라고 한 것이다. 그러면서 “중국이 이례적인 분노를 쏟아내는 근본 원인은 윤석열 정부 집권 이후 점점 분명해지고 있는 미국 편향 외교 탓인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경향신문 <[사설] 실리·균형 외교 시험대 선 윤 대통령의 방미>의 경우 “10년 넘게 한·미관계는 한·일관계와 달리 상대적으로 국내 정치적 논란 대상이 아니었다. 하지만 윤 대통령 태도는 정당하게 평가받아야 할 한·미관계 성과마저 정치화할 위험성을 안고 있다”며 “윤 대통령은 이번 방문에서 국내의 초당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 북핵 대응뿐 아니라 한국 반도체·자동차 기업의 차별 해소 약속을 받아야 한다. 또 미국의 대통령실 도·감청에 대한 사과도 필요하다. 우크라이나·대만 문제는 윤 대통령 인터뷰로 외교안보 갈등의 불씨가 됐다. 그걸 한·미 정상 공식 문서에 남기는 것은 차원이 다르다. 사려 깊고 멀리 보는 윤 대통령의 방미 일정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중앙일보 <[사설] ‘불장난’ 등 비외교적 언사, 한·중 우호엔 도움 안 된다>는 “중국이 비외교적 언사까지 동원하며 과민하게 반응한 것은 한·중 우호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시점에 한·중 관계가 과도하게 영향받으면 오랜 이웃인 한·중 모두에 이로울 것이 없음을 냉정하게 인식해야 한다”면서도 “외교는 다양한 상대가 있어 양자 외교를 하더라도 제3자의 입장과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는 노련함이 요구된다. 지난 1월 아랍에미리트(UAE) 순방 중에 300억 달러(37조원) 원전 수주에 고무된 나머지 “아랍에미리트의 적은 이란”이란 불필요한 발언으로 곤욕을 치렀다. 순방 외교 리스크는 줄이되 기회는 최대한 살리는 지혜를 대통령실이 발휘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세계일보 <[사설] 尹 대통령 언급에 막말 퍼붓는 中, 이를 두둔하는 野>, 서울신문 <한국 대통령에게 막말 퍼부은 中, 이를 거드는 野> 등은 야권이 중국의 비판에 동조해선 안 된다고 했다. 서울신문은 “오만한 중국보다 더 이해하기 어려운 게 더불어민주당의 중국 동조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언급을 ‘자해 외교’라 비난했다”며 “문 정권 5년의 사대주의 외교가 초래한 막말 사태를 뒤늦었지만 바로잡을 때가 왔다”고 했다.
전세사기 대책, 구멍 없도록 보완 촉구
대통령실과 정부, 여당이 23일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이번주 내로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및 주거 안정을 위한 특별법’을 발의하기로 했다. 피해자에게 우선매수(청구)권을 부여하고, 피해자가 임차로 계속 살고 싶은 경우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에서 우선매수권을 대신 행사하는 방식으로 주택을 매입해 공공임대주택으로 제공하는 방안 등이다.
한국일보 <“전세사기 피해 대책 쏟아지는데…이미 경매로 팔린 집은 어쩌나”> 기사는 “이미 주택이 매각된 피해자들에 대한 구제 방안도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피해자들은 거주권 보장 요구가 받아들여진 것에 대해선 환영하면서도 피해자단체 등과의 소통을 통한 빠른 추진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