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는 “수신료 분리징수는 KBS가 자초한 것이다. 수신료를 전기요금과 통합해 사실상 세금처럼 강제 징수해 온 건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공영방송으로서 역할을 다하라는 취지에서였다. 하지만 KBS는 거꾸로 갔다. 특정 정파에 편향된 방송과 불공정 보도로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방만 경영과 도덕적 해이는 도를 넘은 지 오래”라며 “KBS가 지금 할 일은 헌법소원을 내는 게 아니다. 뼈를 깎는 노력으로 KBS가 공영방송으로 존재해야 할 이유를 보여 주는 것이다. 공정한 보도로 시청자 신뢰를 회복하고 비대한 몸집을 하루빨리 줄이는 게 핵심”이라고 했다.
국민일보도 <KBS 수신료 분리징수, 신뢰받는 공영방송 회복 계기 돼야> 사설에서 “지금 KBS는 정치적으로 편향된 보도와 방만한 경영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다. KBS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방송 장악의 희생양이 돼 어쩔 수 없었다고 변명한다. 하지만 국민들은 KBS가 공영방송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묻고 있다”며 “KBS는 분리징수에 반발만 할 게 아니라 공영방송의 청사진을 내놓아야 한다.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한다면 분리징수는 수신료 거부 운동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했다.
北 김여정 ‘대한민국’ 단어 사용에 조선·동아 “북 의도 분석하고 대응해야”
지난 10일과 11일 이틀 연속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주한미군 정찰기 활동에 대한 비난 담화를 냈다. 비난 담화에서 김여정은 ‘<<대한민국>>의 합동참모본부’ ‘<<대한민국>> 군부 깡패들’ ‘<<대한민국>>족속’ 등으로 표현했다. 그동안 북한은 통상 한국을 ‘남조선’ ‘남조선 괴뢰’ 등으로 지칭해 왔다.
조선일보는 1면 <“남조선” 대신 돌연 “대한민국” 꺼낸 북한> 기사에서 “사실상 처음으로 공식 담화에 한국의 정식 국가명을 사용한 것”이라며 “북한의 대남 정책이 ‘같은 민족이지만 정전협정으로 분단된 특수 관계’ 개념에서 같은 민족이라도 결국 남남이라는 ‘국가 대 국가(두 개의 한국·Two Korea)’ 개념으로 바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