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조선일보는 <나토 정상회의 불참, 국익 손상 우려된다> 사설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나토 회의에서 동맹국들에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까지 올리라는 요구를 하려고 하고 있다. 올해 우리 국방비는 GDP의 2.3% 정도여서 이 대통령으로서는 여기에 부담을 느꼈을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나토 회의를 피한다고 이런 문제들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우선 이 대통령 취임 후 첫 한미 정상의 대면이 더욱 늦어지게 생겼다. 민감한 시기에 한국이 ‘미국의 주요 동맹’이 대부분 집결하는 회의에 불참한다는 사실만 부각될 가능성도 크다”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22년 이후, 나토 정상회의는 그 성격 자체가 달라졌다.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등 미국의 인도·태평양 동맹 4국이 초청받아 참석하면서 ‘자유 민주 국가 진영’의 회동이 된 것이다. 북·중·러나 이란 같은 전체주의 국가들이 결속해 무력으로 국제 질서를 변경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공동의 인식이 그 바탕에 깔려 있다. 3년 연속 여기 참석했던 한국이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불참한다는 사실을 다른 국가들이 어떻게 보겠나”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이 대통령이 나토 회의에 참석하면 중·러와 멀어진다는 정부와 여당 내 ‘자주파’의 말을 듣고 이런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앞으로 한미 관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백악관은 이 대통령 취임 직후 ‘중국의 개입과 영향력 행사에 우려하며 반대한다’는 이례적 입장을 냈다. 그 의구심이 더 커지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중앙일보도 <‘시계 제로’ 접어든 중동 정세, 최악의 경우까지 대비를> 사설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24~25일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에 국내 현안과 중동 정세의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참석하지 않기로 한 점은 아쉽다. 중동 사태가 우리 안보·경제에 드리운 불확실성 해소를 위한 국제 공조 방안을 모색할 기회였다는 점에서다. 정부는 지난번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당시 트럼프 대통령 측 사정으로 무산됐던 한·미 정상회담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경향 “尹은 3년간 야당과 대화 안 해, 李대통령, 한 달도 안 돼 만나”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여야 지도부와 첫 회동을 가졌다. 취임 후 19일 만에 야당과 만난 것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취임 후 1년11개월 만에 만난 바 있다. 이날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는 1시간45분 간 오찬회동이 열렸다.
우상호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은 이날 오찬 회동이 끝난 뒤 브리핑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를 둘러싼 의혹과 관련해 “야당 지도부는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검증 내용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고, 검증에 임하는 태도도 부적절하다는 문제제기를 했다. 이 대통령은 청문회 과정에서 본인 해명을 지켜보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김병기 대표가 제기한 인사청문회 제도 개선에 대해서도 공감한다는 의견을 말했다. 특히 가족 신상까지 문제 삼는 분위기 때문에 능력 있는 분들이 입각을 꺼린다는 고충도 설명했다”라고 말했다.
최근 댓글 목록